"화통도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개념정보 |대표명칭 = 화통도감 |DB유형 = 민족기록화 |한글표기 = 화통도감 |한문표기 = 火筒都監 |이칭표기 = |시대 = 고려 |분야 = 제도 |...)
 
(참고문헌)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3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개념정보
+
{{단체정보
|대표명칭 = 화통도감
+
|사진= 민족팀_일러_관청.png
|DB유형 = 민족기록화
+
|사진출처= 
|한글표기 = 화통도감
+
|대표명칭= 화통도감
|한문표기 = 火筒都監
+
|한자표기= 火筒都監
|이칭표기 =  
+
|영문명칭=
|시대 = 고려
+
|이칭=
|분야 = 제도
+
|유형= 관청
|유형 = 관청
+
|창립자=
|image =
+
|창립시대= 고려
 +
|창립일= 1377년
 +
|변경일= 1388년
 +
|해체일=
 +
|주요업무=
 +
|담당업무=
 +
|관련기관=
 +
|관련단체= [[군기시]]
 +
|소재지=
 +
|웹사이트=
 
}}
 
}}
 +
=='''정의'''==
 +
고려시대 [[화약]]·화기의 제조를 맡아보던 임시관청이다.
 +
 +
=='''내용'''==
 +
1377년([[고려 우왕]] 3)에 [[최무선|최무선(崔茂宣)]]의 건의로 설치되었다.<ref>정학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4918 화통도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
[[화통도감]]에서 제조된 각종 화기들은 모두 18가지로, 이 중에서 총포의 종류는 [[대장군포|대장군포(大將軍砲)]]·[[이장군포|이장군포(二將軍砲)]]·[[삼장군포|삼장군포(三將軍砲)]]·[[육화석포|육화석포(六火石砲)]]·[[화포|화포(火砲)]]·[[신포|신포(信砲)]]·[[화통|화통(火筒)]] 등이며, 발사물로는 [[화전]]·[[철령전|철령전(鐵翎箭)]]·[[피령전]] 등이 있다. 그 밖에 [[질려포]]·[[철탄자]]·[[천산오룡전|천산오룡전(穿山五龍箭)]]·[[유화|유화(流火)]]·[[촉천화|촉천화(觸天火)]]와 로켓무기인 [[주화|주화(走火)]]가 있다. [[화통도감]]에서 제조된 화기들은 왜구를 물리치는 데 사용되었다.<ref>정학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4918 화통도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
1388년([[고려 창왕]] 1)에 폐지되어 [[군기시]]에 소속되었다.<ref>정학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4918 화통도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지식 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25/C025.htm '''"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최대섭)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25/C025.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 [[화통도감]]||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
 +
| [[최무선]]  || [[화통도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최무선]]  || [[최해산]]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 [[최해산]] ||  [[군기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화통도감]] || [[군기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시각자료'''==
 +
===가상현실===
 +
===갤러리===
 +
===동영상===
 +
*'''[NATV]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한국 역사상 최초로 화약무기 시대를 열다. 최무선(게시일: 2015년 1월 19일)'''
 +
<html>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b9qnieZxeaQ"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주석'''==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 웹 자원
 +
#* 정학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4918 화통도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유용한 정보===
 +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4640 화통도감]",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한국고전용어사전 편찬위원회, 『한국고전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9078&cid=41826&categoryId=41826 화통도감]", 한국고전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단체]]

2017년 12월 25일 (월) 02:28 기준 최신판

화통도감(火筒都監)
민족팀 일러 관청.png
대표명칭 화통도감
한자표기 火筒都監
유형 관청
창립시대 고려
창립일 1377년
변경일 1388년
관련단체 군기시


정의

고려시대 화약·화기의 제조를 맡아보던 임시관청이다.

내용

1377년(고려 우왕 3)에 최무선(崔茂宣)의 건의로 설치되었다.[1]
화통도감에서 제조된 각종 화기들은 모두 18가지로, 이 중에서 총포의 종류는 대장군포(大將軍砲)·이장군포(二將軍砲)·삼장군포(三將軍砲)·육화석포(六火石砲)·화포(火砲)·신포(信砲)·화통(火筒) 등이며, 발사물로는 화전·철령전(鐵翎箭)·피령전 등이 있다. 그 밖에 질려포·철탄자·천산오룡전(穿山五龍箭)·유화(流火)·촉천화(觸天火)와 로켓무기인 주화(走火)가 있다. 화통도감에서 제조된 화기들은 왜구를 물리치는 데 사용되었다.[2]
1388년(고려 창왕 1)에 폐지되어 군기시에 소속되었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화통도감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최무선 화통도감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최무선 최해산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최해산 군기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화통도감 군기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동영상

  • [NATV]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한국 역사상 최초로 화약무기 시대를 열다. 최무선(게시일: 2015년 1월 19일)

주석

  1. 정학수, "화통도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정학수, "화통도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정학수, "화통도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정학수, "화통도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유용한 정보

  1. "화통도감", 『doopedia』online, 두산백과.
  2. 한국고전용어사전 편찬위원회, 『한국고전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온라인 참조: "화통도감", 한국고전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