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제신 신도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잔글 (내용)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4번째 줄: 24번째 줄:
  
 
=='''내용'''==
 
=='''내용'''==
신도비는『[[목은문고|목은문고(牧隱文藁)]]』권15와 『[[동문선|동문선(東文選)]]』 권119에 실려 있으며, 1382년([[고려 우왕|우왕]] 8)에 [[이색|이색(李穡)]]이 작성하였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1667 염제신신도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
+
고려 후기의 문신 [[염제신|염제신(廉濟臣, 1304-1482)]]을 기리는 비이다. 이 신도비는『[[목은문고|목은문고(牧隱文藁)]]』권15와 『[[동문선|동문선(東文選)]]』 권119에 실려 있으며, 1382년(고려 [[고려 우왕|우왕]] 8)에 [[이색|이색(李穡)]]이 작성하였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1667 염제신신도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
  
신도비에 따르면 [[염제신]]은 고모부인 원나라 사람 중서평장(中書平章) 말길공(末吉公) 밑에서 10여 년간 수업을 받은 후 원나라 진종 황제를 숙위하면서 원나라에서 벼슬을 시작하였다. [[고려 충숙왕|충숙왕]] 때 고려에 와서 벼슬을 시작하여 충목·충정·공민·우왕 때까지 고려에서 벼슬을 하였다. 특히 [[고려 공민왕|공민왕]] 때 공민왕의 개혁, 홍건적의 난, 안동으로 피신한 [[고려 공민왕|공민왕]]을 호종 하는 일 등으로 공신과 곡성부원군(曲城府院君)에 책봉되었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1667 염제신신도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
+
신도비에 따르면 [[염제신]]은 고모부인 원나라 사람 중서평장(中書平章) 말길공(末吉公) 밑에서 10여 년간 수업을 받은 후 원나라 진종 황제를 숙위하면서 원나라에서 벼슬을 시작하였다. [[고려 충숙왕|충숙왕]] 때 고려에 와서 충목·충정·공민·우왕 때까지 관직을 역임하였다. 특히 [[고려 공민왕|공민왕]] 때 공민왕의 개혁, 홍건적의 난, 안동으로 피신한 [[고려 공민왕|공민왕]]을 호종 하는 일 등으로 공신과 곡성부원군(曲城府院君)에 책봉되었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1667 염제신신도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
  
[[염제신]]은 두 번 장가들었다. 완산군부인(完山郡夫人) 배씨(裵氏)는 정(挺)의 딸로, 자식이 없이 일찍 죽었다. 진한국대부인(辰韓國大夫人) 권씨(權氏)는 한공(漢功)딸이다. 3남 5녀를 낳았다. 장남은 [[염국보|국보(國寶)]], 다음은 [[염흥방|흥방(興邦)]], 그 다음은 [[염정수|정수(廷秀)]]이다. 장녀는 홍징(洪徵)에게, 다음은 임헌(任獻)에게, 다음은 정희계(鄭熙啓)에게 각각 출가하였다. 다음은 신비(愼妃)이다. 다음은 이송(李悚)에게 출가하였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1667 염제신신도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
+
[[염제신]]의 묘는 그의 고향인 경기도 장단군에 있다. 강화군에 [[염제신 신도비]]가 세워진 것은 냉정리에 있는 조선 [[조선 철종|철종]]의 외가가 용담 염씨 집안이기 때문이다.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2018년 1월 13일 (토) 20:09 기준 최신판

염제신 신도비
(廉濟臣 神道碑)
대표명칭 염제신 신도비
한자표기 廉濟臣 神道碑
시대 고려시대
관련인물 염제신(廉濟臣)
관련물품 목은문고(牧隱文藁)』,『동문선(東文選)


정의

경기도 강화군 선원면 냉정리에 있는 비이다.

내용

고려 후기의 문신 염제신(廉濟臣, 1304-1482)을 기리는 비이다. 이 신도비는『목은문고(牧隱文藁)』권15와 『동문선(東文選)』 권119에 실려 있으며, 1382년(고려 우왕 8)에 이색(李穡)이 작성하였다.[1]

신도비에 따르면 염제신은 고모부인 원나라 사람 중서평장(中書平章) 말길공(末吉公) 밑에서 10여 년간 수업을 받은 후 원나라 진종 황제를 숙위하면서 원나라에서 벼슬을 시작하였다. 충숙왕 때 고려에 와서 충목·충정·공민·우왕 때까지 관직을 역임하였다. 특히 공민왕 때 공민왕의 개혁, 홍건적의 난, 안동으로 피신한 공민왕을 호종 하는 일 등으로 공신과 곡성부원군(曲城府院君)에 책봉되었다.[2]

염제신의 묘는 그의 고향인 경기도 장단군에 있다. 강화군에 염제신 신도비가 세워진 것은 냉정리에 있는 조선 철종의 외가가 용담 염씨 집안이기 때문이다.

지식관계망

  • 염제신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염제신 신도비 염제신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염제신 신도비 이색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A ekc:writer B
염제신 신도비 한수 A는 B가 비문을 썼다 A ekc:calligrapher B
염제신 염국보 A는 B의 아버지다 A ekc:hasSon B
염제신 염흥방 A는 B의 아버지다 A ekc:hasSon B
염제신 염정수 A는 B의 아버지다 A ekc:hasSon B

주석

  1. "염제신신도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2. "염제신신도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염제신신도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