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 무량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정의) |
잔글 (→관계정보) |
||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6번째 줄: | 26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 |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공주 마곡사|마곡사(麻谷寺)]]의 말사로서 여러 차례의 중건, 중수를 거쳤으나 자세한 연대는 전하지 않는다. 다만, 9세기 때 [[범일|범일(梵日)]]이 창건했고<ref>곽철환, 『시공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참조:"[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98808&cid=50292&categoryId=50292 무량사]", 용어해설,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신라 말기의 고승 [[무염|무염(無染)]]이 일시 머물렀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고려시대에 크게 중창하였으며, [[김시습|김시습(金時習)]]이 이 절에서 말년을 보내다가 | + |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공주 [[공주 마곡사|마곡사(麻谷寺)]]의 말사로서 여러 차례의 중건, 중수를 거쳤으나 자세한 연대는 전하지 않는다. 다만, 9세기 때 [[범일|범일(梵日)]]이 창건했고<ref>곽철환, 『시공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참조:"[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98808&cid=50292&categoryId=50292 무량사]", 용어해설,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신라 말기의 고승 [[무염|무염(無染)]]이 일시 머물렀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고려시대에 크게 중창하였으며, [[김시습|김시습(金時習)]]이 이 절에서 말년을 보내다가 입적하였다. 조선 중기의 고승 [[진묵|진묵(震默)]]이 아미타불을 점안하고 나무 열매로 술을 빚어서 마시면서 도도한 시심(詩心)을 펼쳤던 사찰이기도 하다.<ref>장충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8996 무량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경내문화유산=== | ===경내문화유산=== | ||
49번째 줄: | 49번째 줄: | ||
| [[부여 무량사]] || [[범일]]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 [[부여 무량사]] || [[범일]]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
|- | |- | ||
− | | [[부여 무량사]] || [[무염]] || A는 B와 | + | | [[부여 무량사]] || [[무염]]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부여 무량사]] || [[김시습]] || A는 B와 | + | | [[부여 무량사]] || [[김시습]]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2018년 1월 12일 (금) 00:10 기준 최신판
부여 무량사 (扶餘 無量寺) |
|
대표명칭 | 부여 무량사 |
---|---|
한자표기 | 扶餘 無量寺 |
시대 | 신라 |
관련인물 | 김시습 |
|
정의
충남 부여군 외산면 만수산(萬壽山) 남쪽 기슭에 있는 사찰이다.
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공주 마곡사(麻谷寺)의 말사로서 여러 차례의 중건, 중수를 거쳤으나 자세한 연대는 전하지 않는다. 다만, 9세기 때 범일(梵日)이 창건했고[1] 신라 말기의 고승 무염(無染)이 일시 머물렀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고려시대에 크게 중창하였으며, 김시습(金時習)이 이 절에서 말년을 보내다가 입적하였다. 조선 중기의 고승 진묵(震默)이 아미타불을 점안하고 나무 열매로 술을 빚어서 마시면서 도도한 시심(詩心)을 펼쳤던 사찰이기도 하다.[2]
경내문화유산
지식 관계망
- 김시습과 성삼문과 박팽년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부여 무량사 | 범일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부여 무량사 | 무염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부여 무량사 | 김시습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영상
- 부여백제방송, "부여 무량사", YouTube, 게시일: 2013. 10. 2.
주석
- ↑ 곽철환, 『시공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참조:"무량사",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장충식, "무량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곽철환, 『시공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참조:"무량사",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장충식, "무량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더 읽을 거리
- 웹자원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4 - 충남』, 돌베개, 2012. 온라인참조:"무량사", 답사여행의 길잡이:충남,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신정일,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5: 충청도』, 다음생각, 2012. 온라인참조:"무량사에는 진묵스님의 자취가 남아",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5 - 충청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무량사", 사진으로보는 한국전통건축,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사진으로보는 한국전통건축)』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온라인참조:"무량사", 문화원형백과,『네이버지식백과』online . - "무량사",
『두산백과』online .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4 - 충남』, 돌베개, 2012. 온라인참조:"무량사", 답사여행의 길잡이:충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