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시각자료)
(시각자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50번째 줄: 50번째 줄: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iframe width="100%" height="74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06/stele_jeoljung_heungnyeongsa.htm "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100%" height="74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D006/stele_jeoljung_heungnyeongsa.htm "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관련항목===
 
===관련항목===
105번째 줄: 105번째 줄:
 
===가상현실===
 
===가상현실===
 
<html>
 
<html>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06/beopheungsa.htm "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D006/beopheungsa.htm "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br/>
 
</html><br/>
{{clickable button|[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00/S006/beopheungsa.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clickable button|[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D006/beopheungsa.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갤러리===
132번째 줄: 132번째 줄:
  
 
{{승탑비문 Top icon}}
 
{{승탑비문 Top icon}}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탑비]] [[분류:승탑/교열완료]]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탑비]]

2024년 4월 21일 (일) 11:44 기준 최신판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寧越 興寧寺址 澄曉大師塔碑)
BHST Beopheungsa Jinghyo stele.jpg
대표명칭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영문명칭 Stele for Buddhist Monk Jinghyo at Heungnyeongsa Temple Site, Yeongwol
한자 寧越 興寧寺址 澄曉大師塔碑
주소 강원도 영월군 수주면 무릉법흥로 1352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제612호
문화재 지정일 1977년 8월 22일
찬자 최언위(崔彦撝)
서자 최윤(崔潤)
각자 최오규(崔奧規)
서체 해서(楷書)
승려 절중(折中)
건립연대 944년
승탑 영월 징효국사부도



정의

강원도 영월군 수주면 흥녕사지(興寧寺址)에서 발견된 신라시대의 승려 징효대사 절중(澄曉大師 折中, 826-900)탑비.

내용

개요

사자산문(獅子山門)의 제2조인 징효대사 절중(澄曉大師 折中)의 행적을 기리기 위한 탑비로, 흥녕선원(興寧禪院)의 옛터인 강원도 영월군 법흥사(法興寺)에 있다.[1] 비신 높이 2.77m, 너비 1.14m이며, 귀부(龜趺) 위에 비신(碑身)[2]을 세우고 그 위에 이수(螭首)로 덮은, 신라·고려의 전형적인 석비이다. 화강암으로 만들어졌는데, 비신 일부에 약간의 손상이 있을 뿐 완전한 형태로 남아 보존상태가 매우 좋다.[3]

이 비는 본래 신라 때에 건립할 예정이었지만 후삼국의 혼란기에 비문의 찬술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여 고려가 건국한 후인 924년에 비로소 비문이 완성되었고, 944년(혜종 원년)에 건립되었다. 고려 초의 대표적 문장가로 여러 고승들의 탑비를 지은 최언위(崔彦撝)가 비문을 지었으며, 최윤(崔潤)이 당시에 유행하던 구양순(歐陽詢)해서체(楷書體)로 글씨를 쓰고, 최오규(崔奧規)가 글자를 새겼다.[4]

1977년 보물 제612호로 지정되었다.[5]

비문

비문은 징효대사 절중(澄曉大師 折中)의 가계, 19세에 장곡사(長谷寺)에서 구족계(具足戒)를 받아 탁월한 총명으로 수행하고 교화한 것, 75세 때인 901년(효공왕 5)에 입적하였음을 기록하였다. 또 효공왕징효대사와 '보인(寶印)'이라는 탑명을 증시(贈諡)[6]한 것 등을 적고, 말미에 대사의 공덕을 기리는 명문을 새겼다.[7]

비신(碑身)의 뒷면에는 징효대사의 제자들의 명단이 기록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징효대사와 개인적인 관계를 맺었떤 인물들뿐 아니라 당대의 대표적 고승(高僧)과 고위 관료들의 이름이 다수 보이고 있다. 특히 태조의 아들로 흥녕선원(興寧禪院)이 있는 영월 지역에 영향력을 가지고 있던 충주 유씨(忠州 劉氏)를 외가로 하는 왕요(王堯), 왕소(王昭) 등의 이름도 보이고 있어 이 비의 건립에 충주 유씨가 직접적으로 관여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8]

특히 944년 6월 거의 동시에 진행된 징효대사탑비와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忠州 淨土寺址 法鏡大師塔碑)의 음기(陰記)[9] 기재 세력을 분석해보면, 당대 전국에 걸친 불교계 대표 인사들의 초청과, 왕실 및 중앙관인, 지방 관반층이 폭넓게 초청되었음을 알 수 있다. 충주 유씨는 정토사(淨土寺)현휘(玄暉)흥녕선원절중을 모두 추모하는 기념행사를 함으로써, 왕요의 왕위 계승 자격과 의지를 드러내는 행사를 했다는 것이다.[10]

비문 보러가기
최연식, 「흥녕선원 징효대사비」,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한국국학진흥원, 2014, 35-53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영월흥녕사징효대사탑비",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지식관계망

  •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절중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영월 징효국사부도 절중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A ekc:isStupaOf B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영월 법흥사 A는 B에 있었다 A edm:formerLocation B
영월 흥녕사지 영월 법흥사 A는 B의 터이다 A edm:isRelatedTo B
영월 법흥사 영월 흥녕사지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영월 법흥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최언위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A ekc:writer B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최윤 A는 B가 비문을 썼다 A ekc:calligrapher B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최오규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A ekc:inscriber B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고려 정종 A는 B를 기록하였다 A ekc:mentions B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고려 광종 A는 B를 기록하였다 A ekc:mentions B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충주유씨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충주유씨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현휘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충주 정토사지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900년 절중이 강화도 은강선원에서 입적함.
906년 절중의 승탑이 동림사에 건립됨.
924년 최언위절중을 위한 탑비의 비문을 완성함.
944년 절중의 탑비인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영월 흥녕선원에 건립됨.
1977년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가 보물로 지정됨.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주석

  1. 최연식, 「흥녕선원 징효대사비」,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한국국학진흥원, 2014, 35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2. 비문을 새긴 비석의 몸체
  3. 선주선,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최연식, 「흥녕선원 징효대사비」,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한국국학진흥원, 2014, 35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5.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6. 임금이 신하에게 시호(諡號)를 지어 줌
  7. 선주선,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8. 최연식, 「흥녕선원 징효대사비」,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한국국학진흥원, 2014, 35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9. 비갈(碑碣)의 등뒤에 새긴 글
  10. 이인재, 「충주 정토사 현휘와 영월 흥녕사 절중 - 고려 혜종대 정변과 관련하여」, 『한국고대사연구』49, 2008, 318쪽.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