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오승우-행주대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시각적안내)
 
(사용자 7명의 중간 판 6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민족/기획기사보기|
 +
|기획기사=[[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임진왜란 3대 대첩]]
 +
}}
 
{{틀:민족기록화 Top icon}}
 
{{틀:민족기록화 Top icon}}
 
{{민족기록화_샘플
 
{{민족기록화_샘플
5번째 줄: 8번째 줄:
 
|작가= [[오승우]]
 
|작가= [[오승우]]
 
|제작연도= 1975년
 
|제작연도= 1975년
|규격= 300호(290.9x197cm)
+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군사
+
|유형= 전쟁
 
|분류= 유화
 
|분류= 유화
|소장처= 독립기념관
+
|소장처= [[독립기념관]]
|필드수=7
+
|필드수=8
 
}}
 
}}
 +
 +
=='''정의'''==
 +
1592년([[조선 선조]] 25)에 [[권율]]이 [[행주산성]]을 포위 공격해 오는 왜군을 격퇴하는 장면을 그린 [[오승우]]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설명'''==
권율 장군이 행주산성을 포위 공격해 오는 왜군을 격퇴하는 장면
+
===작품 소재===
 +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오승우-행주대첩(권율)-1975s.jpg|right|450px]]
 +
[[권율|권율(權慄, 1537~1599)]]은 1592년 7월([[조선 선조|선조]] 25) 배티 싸움에서 대승한 공로로 전라도 관찰사 겸 순찰사가 된 후 호남의 병력을 이끌고 전주·공주·천안·오산을 거처 [[독산성]](禿山城)에서 왜적을 물리쳤다. 그리고 평양을 수복하고 남하하는 명나라 원군과 호응하여 한양을 되찾기 위하여 북상하였다.<br/>
 +
[[권율]]은 조방장(助防將) [[조경]](趙儆, 1541~ 1609)에게 명하여 병력을 주둔할 곳을 물색하던 중 최종 주둔지를 왜군의 본진이 자리한 한양에서 불과 20여 리 밖에 떨어지지 않은 [[행주산성]](幸州山城)으로 정하고, 산성 외부에 목책(木柵)을 설치하고 1만여 명의 군사를 주둔시켰다. 이에 왜군은 총대장 우키타(宇喜多秀家)를 선두로 7개의 부대 3만여 명의 병력으로 [[행주산성]]을 포위·공격하였다.<br/>
 +
여러 차례의 공격이 조선군의 격렬한 저항으로 실패하자, 왜장 고바야가와(小早川隆景)가 군사를 이끌고 성의 서북쪽을 공격해 승군(僧軍) 진영을 뚫고 성 안으로 들어오려고 시도하였다. 이에 승군들이 크게 동요하였으나, 권율이 대검을 빼어들고 싸움을 독려하니 승병(僧兵)들이 심기일전하여 왜병과 아군 사이에 치열한 백병전이 벌어졌다.<ref>이장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2859 행주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
===작품 배경===
 +
[[행주산성]]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위치한 삼국시대의 산성으로, 강을 끼고 돌출된 산봉우리의 정상부를 둘러싼 소규모의 내성(內城)과 북쪽의 작은 골짜기를 따라 축조한 외성(外城)으로 이루어진 이중 구조로 되어 있다. 1593년 2월에 왜군과 벌인 [[행주대첩]]은 [[임진왜란 3대첩]]의 하나로도 유명하다. 현재 성안에는 1603년에 세운 행주대첩비와 1963년에 다시 세운 대첩비가 있으며, 1970년에 대대적인 정화작업을 벌여 [[권율]]을 모시는 충장사(忠壯祠)를 건립하였다.<ref>차용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2861 행주산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시각적안내'''==
+
===작품 구도===
<imagemap>Image:오승우-행주대첩(권율)-1975s|center|900px|그림에서 인물을 클릭하면 해당 기사로 이동합니다.
+
그림의 아래 중앙에는 머리에 커다란 '''⑧돌을 맞은 왜병'''이 핏자국이 낭자한 채 처참한 모습으로 쓰러져 있고, 돌에 '''⑥얼굴을 맞은 다른 왜병'''은 왼손에 긴 창을 든 채 얼굴을 감싸쥐고 괴로워하고 있다. 성 아래에서 '''③⑥⑨산성을 행하여 진격하고 있는 왜병'''의 모습과 곳곳에 돌무더기를 쌓아놓고 '''①④⑤⑦⑧투석전을 벌이고 있는 승병들''' 뒤로 백마를 타고 긴 칼을 빼어 들고 '''①싸움을 독려하는 장수'''(권율로 추정)의 모습이 보인다. '''⑨무너진 목책''', '''④앙상한 가지만 남은 나무''', '''①②③먹구름으로 뒤덮인 하늘'''이 전투의 비장함과 처절함을 나타내고 있다.<br/>
 +
 
 +
===그림 읽기===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
<imagemap>Image:오승우-행주대첩(권율)-1975s.jpg|center|900px|그림에서 인물을 클릭하면 해당 기사로 이동합니다.
 +
rect 231 60 287 143 [[권율|권율]]
 
</imagemap>
 
</imagemap>
 
<br/>
 
<br/>
  
=='''관련 민족기록화'''==
+
=='''지식 관계망'''==
임진왜란 관련한 민족기록화
+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31/C031.htm "행주대첩"(오승우) 지식관계망]
<gallery>
+
<html>
파일:강대운-진주성싸움(김시민)-1975s.jpg|[[강대운-진주성싸움]]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파일:김태-정암진싸움(곽재우)-1976s.jpg|[[김태-홍의장군 곽재우]]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파일:박항섭-연안성싸움(이정암)-1975s.jpg|[[박항섭-연안성싸움]]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31/C03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파일:박석호-추풍령싸움(정기룡)-1975s.jpg|[[박석호-추풍령싸움]]
+
</html>
파일:오승우-행주대첩(권율)-1975s.jpg|[[오승우-행주대첩]]
 
파일:정창섭-금산전투(조선)-1976s.jpg|[[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파일:김형구-한산대첩(이순신)-1975s.jpg|[[김형구-한산대첩]]
 
파일:김기창-명량대첩(이순신)-1975s.jpg|[[김기창-명량대첩]]
 
파일:박서보-왜장감화(사명당)-1976s.jpg|[[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파일:박광진-승군(서산대사)-1976s.jpg|[[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gallery>
 
  
 
+
===관계정보===
===관련항목===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노드||width="33%"|관계||width="33%"|노드
+
|-
 +
|[[오승우-행주대첩]] || [[오승우]]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오승우-행주대첩]] || [[독립기념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오승우-행주대첩]] ||[[행주대첩]]||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오승우-행주대첩]] ||[[행주산성]]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
 +
| [[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임진왜란 3대 대첩]] || [[오승우-행주대첩]] || A는 B를 포함하는 기획기사이다||A dcterms:hasPart B
 +
|-
 +
|[[권율]] ||[[행주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처영]] ||[[행주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조경]] ||[[행주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이빈]] ||[[행주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
|-
 +
|[[선거이]] ||[[행주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권율]] ||[[이치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황진]] ||[[이치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권율]] ||[[독산성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수차석포]] ||[[행주대첩]]|| A는 B에 이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
 +
|[[권율]] ||[[고양 충장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
|[[권율]] ||[[이항복]]|| A는 B와 인척 관계이다 || A ekc:isAffinalKinOf B
 +
|-
 +
|[[권원수실적]] ||[[권율]]||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행주대첩비]] || [[행주대첩]]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행주대첩비]] ||[[최립]]||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행주대첩비]] ||[[한호]]||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행주대첩비]] ||[[김상용]]||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행주대첩비]] ||[[이항복]]||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행주대첩비]] ||[[행주산성]]|| A는 B에 위치한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고양 충장사]] ||[[행주산성]]|| A는 B에 위치한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변이중화차]] || [[행주대첩]] ||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
 
|-
|{{PAGENAME}} ||~에 의해 그려지다|| [[오승우]]
 
 
|}
 
|}
  
 
===시간정보===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PAGENAME}}||제작연도|| 1975년
+
| 1975년 || [[오승우]]가 [[오승우-행주대첩]]을 제작하였다
 
|-
 
|-
|수도군단사령부||소장처|| 1979년
+
|1979년 || 육군이 [[오승우-행주대첩]]을 대여하였다
 
|-
 
|-
|독립기념관||소장처 (임대)|| 1991년
+
|1991년 01월 31일-1992년 01월 30일 || [[독립기념관]]은 [[오승우-행주대첩]]을 대여하였다
 
|-
 
|-
|독립기념관||소장처|| 2017년
+
|1998년-현재 || [[독립기념관]]은 [[오승우-행주대첩]]을 소장하고 있다
 
|}
 
|}
  
===그래프===
+
===공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37.600465|| 126.824704|| [[오승우-행주대첩]]은 [[행주산성]]을 배경으로 한다
 +
|-
 +
|36.7835383 || 127.2210151|| [[독립기념관]]은 [[오승우-행주대첩]]을 소장되어 있다
 +
|}
 +
 
 +
*'''임진왜란 3대첩'''
 
<html>
 
<html>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민족기록화/오승우-행주대첩.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 Map "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oogle/GoogleMapsKML.htm?kml=https://dh.aks.ac.kr/Encyves/Map/C026/C026.kml"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참고문헌'''==
+
===관련 민족기록화===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 『민족기록화, 전승편』, 1981년
+
<gallery mode=packed caption="임진왜란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박석호-추풍령싸움(정기룡)-1975s.jpg|[[박석호-추풍령싸움]]
 +
파일:김태-정암진싸움(곽재우)-1976s.jpg|[[김태-홍의장군 곽재우]]
 +
파일:김형구-한산대첩(이순신)-1975s.jpg|[[김형구-한산대첩]]
 +
파일:박서보-왜장감화(사명당)-1976s.jpg|[[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
파일:박항섭-연안성싸움(이정암)-1975s.jpg|[[박항섭-연안성싸움]]
 +
파일:정창섭-금산전투(조선)-1976s.jpg|[[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파일:강대운-진주성싸움(김시민)-1975s.jpg|[[강대운-진주성싸움]]
 +
파일:박광진-승군(서산대사)-1976s.jpg|[[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
파일:오승우-행주대첩(권율)-1975s.jpg|[[오승우-행주대첩]]
 +
파일:김기창-명량대첩(이순신)-1975s.jpg|[[김기창-명량대첩]]
 +
</gallery>
 +
 
 +
=='''시각자료'''==
 +
===가상현실===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031/S001/S0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br/>
 +
{{clickable button|[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031/S001/S001.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갤러리===
 +
 
 +
===영상===
 +
*'''NATV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위기의 조국을 구한 행주대첩의 명장 권율(게시일: 2015년 5월 11일)'''
 +
<html>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yZRqMZ-pYgQ"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군사]][[분류:조선]]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단행본
 +
#*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 『민족기록화, 전승편』, 한국도서출판공사, 1981, 86-90쪽.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문헌]]

2024년 3월 14일 (목) 14:06 기준 최신판



오승우-행주대첩
오승우-행주대첩(권율)-1975s.jpg
작가 오승우
제작연도 1975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전쟁
분류 유화
소장처 독립기념관



정의

1592년(조선 선조 25)에 권율행주산성을 포위 공격해 오는 왜군을 격퇴하는 장면을 그린 오승우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민족기록화 인덱스맵 오승우-행주대첩(권율)-1975s.jpg

권율(權慄, 1537~1599)은 1592년 7월(선조 25) 배티 싸움에서 대승한 공로로 전라도 관찰사 겸 순찰사가 된 후 호남의 병력을 이끌고 전주·공주·천안·오산을 거처 독산성(禿山城)에서 왜적을 물리쳤다. 그리고 평양을 수복하고 남하하는 명나라 원군과 호응하여 한양을 되찾기 위하여 북상하였다.
권율은 조방장(助防將) 조경(趙儆, 1541~ 1609)에게 명하여 병력을 주둔할 곳을 물색하던 중 최종 주둔지를 왜군의 본진이 자리한 한양에서 불과 20여 리 밖에 떨어지지 않은 행주산성(幸州山城)으로 정하고, 산성 외부에 목책(木柵)을 설치하고 1만여 명의 군사를 주둔시켰다. 이에 왜군은 총대장 우키타(宇喜多秀家)를 선두로 7개의 부대 3만여 명의 병력으로 행주산성을 포위·공격하였다.
여러 차례의 공격이 조선군의 격렬한 저항으로 실패하자, 왜장 고바야가와(小早川隆景)가 군사를 이끌고 성의 서북쪽을 공격해 승군(僧軍) 진영을 뚫고 성 안으로 들어오려고 시도하였다. 이에 승군들이 크게 동요하였으나, 권율이 대검을 빼어들고 싸움을 독려하니 승병(僧兵)들이 심기일전하여 왜병과 아군 사이에 치열한 백병전이 벌어졌다.[1]

작품 배경

행주산성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위치한 삼국시대의 산성으로, 강을 끼고 돌출된 산봉우리의 정상부를 둘러싼 소규모의 내성(內城)과 북쪽의 작은 골짜기를 따라 축조한 외성(外城)으로 이루어진 이중 구조로 되어 있다. 1593년 2월에 왜군과 벌인 행주대첩임진왜란 3대첩의 하나로도 유명하다. 현재 성안에는 1603년에 세운 행주대첩비와 1963년에 다시 세운 대첩비가 있으며, 1970년에 대대적인 정화작업을 벌여 권율을 모시는 충장사(忠壯祠)를 건립하였다.[2]

작품 구도

그림의 아래 중앙에는 머리에 커다란 ⑧돌을 맞은 왜병이 핏자국이 낭자한 채 처참한 모습으로 쓰러져 있고, 돌에 ⑥얼굴을 맞은 다른 왜병은 왼손에 긴 창을 든 채 얼굴을 감싸쥐고 괴로워하고 있다. 성 아래에서 ③⑥⑨산성을 행하여 진격하고 있는 왜병의 모습과 곳곳에 돌무더기를 쌓아놓고 ①④⑤⑦⑧투석전을 벌이고 있는 승병들 뒤로 백마를 타고 긴 칼을 빼어 들고 ①싸움을 독려하는 장수(권율로 추정)의 모습이 보인다. ⑨무너진 목책, ④앙상한 가지만 남은 나무, ①②③먹구름으로 뒤덮인 하늘이 전투의 비장함과 처절함을 나타내고 있다.

그림 읽기

권율그림에서 인물을 클릭하면 해당 기사로 이동합니다.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오승우-행주대첩 오승우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오승우-행주대첩 독립기념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오승우-행주대첩 행주대첩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오승우-행주대첩 행주산성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임진왜란 3대 대첩 오승우-행주대첩 A는 B를 포함하는 기획기사이다 A dcterms:hasPart B
권율 행주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처영 행주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조경 행주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이빈 행주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선거이 행주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권율 이치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황진 이치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권율 독산성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수차석포 행주대첩 A는 B에 이용되었다 A ekc:isUsedIn B
권율 고양 충장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권율 이항복 A는 B와 인척 관계이다 A ekc:isAffinalKinOf B
권원수실적 권율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행주대첩비 행주대첩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행주대첩비 최립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행주대첩비 한호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행주대첩비 김상용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행주대첩비 이항복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행주대첩비 행주산성 A는 B에 위치한다 A edm:currentLocation B
고양 충장사 행주산성 A는 B에 위치한다 A edm:currentLocation B
변이중화차 행주대첩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5년 오승우오승우-행주대첩을 제작하였다
1979년 육군이 오승우-행주대첩을 대여하였다
1991년 01월 31일-1992년 01월 30일 독립기념관오승우-행주대첩을 대여하였다
1998년-현재 독립기념관오승우-행주대첩을 소장하고 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600465 126.824704 오승우-행주대첩행주산성을 배경으로 한다
36.7835383 127.2210151 독립기념관오승우-행주대첩을 소장되어 있다
  • 임진왜란 3대첩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 NATV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위기의 조국을 구한 행주대첩의 명장 권율(게시일: 2015년 5월 11일)

주석

  1. 이장희, "행주대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차용걸, "행주산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 『민족기록화, 전승편』, 한국도서출판공사, 1981, 86-9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