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구법유학) |
(→지식관계망)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3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영문명칭= | |영문명칭= | ||
|한자=樂眞 | |한자=樂眞 | ||
− | |생년= | + | |생년=1050년 |
− | |몰년= | + | |몰년=1119년 |
|시호=원경(元景) | |시호=원경(元景) | ||
|호=오공통혜(悟空通慧) | |호=오공통혜(悟空通慧) | ||
22번째 줄: | 22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고려시대의 승려 | + | 고려시대의 승려. |
=='''내용'''== | =='''내용'''== | ||
===가계와 탄생=== | ===가계와 탄생=== | ||
− | 원경왕사 낙진(元景王師 樂眞)은 | + | 원경왕사 낙진(元景王師 樂眞)은 1050년([[고려 문종|문종]] 4)에 태어났으며, 그의 선조는 이천군(利川郡)의 우족(右族)<ref>우족(右族): 적자(嫡子)의 계통. 고귀한 가문. 지방의 호족(豪族). 출처: |
이지관, "합천 반야사 원경왕사 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86쪽, 주37.</ref>이었다.<ref>이지관, "합천 반야사 원경왕사 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85쪽.</ref> | 이지관, "합천 반야사 원경왕사 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86쪽, 주37.</ref>이었다.<ref>이지관, "합천 반야사 원경왕사 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85쪽.</ref> | ||
{{blockquote | {{blockquote | ||
34번째 줄: | 34번째 줄: | ||
}} | }} | ||
− | === | + | ===출가 수행=== |
− | 낙진은 어렸을 때 출가하여 [[개성 영통사|영통사(靈通寺)]] | + | 낙진은 어렸을 때 출가하여 [[개성 영통사|영통사(靈通寺)]] [[난원|경덕국사(景德國師)]]의 제자가 되어 학문을 닦았고, 1056년([[고려 문종|문종]] 10) 12세에 [[구족계|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 1063년([[고려 문종|문종]] 17) 19세에 [[승과|승과(僧科)]]에 급제하여 [[대덕|대덕(大德)]]이 되었으며,<ref>정병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1658 낙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난원|경덕국사]]의 문하에서 계속 수학하였다.<ref>이지관, "합천 반야사 원경왕사 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86쪽.</ref> |
{{blockquote | {{blockquote | ||
|(결락) 지의귀(志依歸) (결락) 승통(僧統) 균찬(均粲)에 의하여 삭발하고 스님이 되었다. (결락) 또 경덕국사(景德國師)에게서 수학하였다. 청령(淸寧) 2년 병신세(丙申歲)에 (결락) 사(寺)에 나아가서 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 함옹(咸雍) 4년 무신세(戊申歲)에는 대선장(大選場)에 합격하여 대덕(大德) 법계(法階)를 받았다. 이로부터 경덕(景德)의 문하(門下)를 떠나지 아니하고 수학하였다. | |(결락) 지의귀(志依歸) (결락) 승통(僧統) 균찬(均粲)에 의하여 삭발하고 스님이 되었다. (결락) 또 경덕국사(景德國師)에게서 수학하였다. 청령(淸寧) 2년 병신세(丙申歲)에 (결락) 사(寺)에 나아가서 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 함옹(咸雍) 4년 무신세(戊申歲)에는 대선장(大選場)에 합격하여 대덕(大德) 법계(法階)를 받았다. 이로부터 경덕(景德)의 문하(門下)를 떠나지 아니하고 수학하였다. | ||
41번째 줄: | 41번째 줄: | ||
}} | }} | ||
− | === | + | ===구법 유학=== |
− | 낙진은 [[난원|경덕국사]]가 입적한 후에는 [[의천|대각국사 의천(大覺國師 義天)]]에게 사사(師事) | + | 낙진은 [[난원|경덕국사]]가 입적한 후에는 [[의천|대각국사 의천(大覺國師 義天)]]에게 사사(師事)하였으며, 1085년([[고려 선종|선종]] 2) [[의천]]이 송나라에 가자 왕명으로 뒤따라갔다.<ref>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97773&cid=50763&categoryId=50784 낙진]", 용어해설,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그곳에서 낙진은 [[의천]]과 함께 [[송 철종|철종(哲宗)]] 황제를 만나고, [[화엄종|화엄종(華嚴宗)]]의 승려인 [[유성|유성법사(有誠法師)]]와 [[항주 고려사|항주 혜인원(抗州 惠因院)]]의 [[정원|진수법사(晉水法師)]]를 만나 불법을 배웠다. 이후 낙진은 1086년([[고려 선종|선종]] 3) 귀국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74615&cid=40942&categoryId=33382 낙진]",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blockquote | {{blockquote | ||
|경덕국사가 입적하고, 대각국사가 경덕국사의 법통(法統)을 계승하였다. 왕사는 경덕문인(景德門人)으로 (결락) 강하(講下)에서 수학하였다. 대각국사는 일찍부터 원경(元景)의 사람됨을 잘 알고 있었다. 인위상(引爲上) (결락) 지기강(之紀綱). 문정(門庭) (결락) 무소굴(無所屈) (결락) 대각국사가 원경과 더불어 이야기할 때에는 흔연(欣然)히 그의 의견(意見)을 청납(聽納)하지 않음이 없었다. 왕사도 또한 지기(知己)를 만났다고 기꺼워하였다. 사(思) (결락) 대각국사가 일찍 위로하여 말하기를, "그대의 지극한 정성으로 불법(佛法)을 받드는 신심(信心)이 아니었더라면 어찌 능히 이와 같이 되었겠는가"라 하였다. | |경덕국사가 입적하고, 대각국사가 경덕국사의 법통(法統)을 계승하였다. 왕사는 경덕문인(景德門人)으로 (결락) 강하(講下)에서 수학하였다. 대각국사는 일찍부터 원경(元景)의 사람됨을 잘 알고 있었다. 인위상(引爲上) (결락) 지기강(之紀綱). 문정(門庭) (결락) 무소굴(無所屈) (결락) 대각국사가 원경과 더불어 이야기할 때에는 흔연(欣然)히 그의 의견(意見)을 청납(聽納)하지 않음이 없었다. 왕사도 또한 지기(知己)를 만났다고 기꺼워하였다. 사(思) (결락) 대각국사가 일찍 위로하여 말하기를, "그대의 지극한 정성으로 불법(佛法)을 받드는 신심(信心)이 아니었더라면 어찌 능히 이와 같이 되었겠는가"라 하였다. | ||
55번째 줄: | 55번째 줄: | ||
===활동=== | ===활동=== | ||
+ | 낙진은 [[의천]]이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과 『원종문류(圓宗文類)』를 편집할 때 작업을 도왔으며, [[개성 흥왕사|흥왕사(興王寺)]]에 [[교장도감|교장도감(敎藏都監)]]을 두고 『[[교장|속장경(續藏經)]]』을 조판할 때는 교정 작업을 맡았다.<ref>정병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1658 낙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blockquote | ||
+ | |대각국사가 흥왕사(興王寺)에 교장도감(敎藏都監)을 두고 속장경(續藏經)을 판각할 때 교정을 맡아 보았다. (결락) 대각국사가 왕에게 상언(上言)하되, "근고(近古) 이래로 제종(諸宗)의 장소(章䟽)가 다분히 그 책이 일실(逸失)되었사오니, 청하옵건대 그 책들을 구입하여 (결락) 케 하여 주시옵소서"라 했다. 원경왕사 등 의학(義學)에 속하는 명승(名僧)을 한 자리에 모아 서로 더불어 교정(校正)하고 각공(刻工)에 명하여 판각(板刻)함으로써 이미 일실(逸失)된 경전이 다시 세상에 유행(流行)케 되었으니, 이는 오로지 왕사의 힘이 크게 작용한 것이라 하겠다. (결락) 사기등잡문(事記等雜文). 성지(聖旨)를 받들어 사(賜) (결락) 석원사림(釋苑詞林) (결락) 원종문류(圓宗文類)는 문인(門人)으로 수좌(首座)인 각순(覺純) 등이 거듭 상정(詳定)을 더하여 부류별로 나누어 엮어 250권으로 하고 금년(今年: 1101~1108 사이)에 끝을 맺었다. | ||
+ | |출처=이지관, "합천 반야사 원경왕사 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90-91쪽. | ||
+ | }} | ||
+ | |||
+ | 낙진은 [[고려 숙종|숙종]](재위: 1095년-1105년) 때 [[수좌|수좌(首座)]]를 거쳐 [[승통|승통(僧統)]]이 되었으며,<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74615&cid=40942&categoryId=33382 낙진]",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1114년([[고려 예종|예종]] 9)에는 [[왕사|왕사(王師)]]가 되어 '오공통혜(悟空通慧)'라는 법호(法號)를 받았다.<ref>정병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1658 낙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에 [[고려 예종|예종]]은 [[개성 귀법사|귀법사(歸法寺)]]와 [[성주 법수사|법수사(法水寺)]]를 정진(精進)과 기도의 처소로 삼게 했으며, 낙진은 두 절에서 주석하였다.<ref>이지관, "합천 반야사 원경왕사 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92쪽.</ref> | ||
+ | {{blockquote | ||
+ | |갑오년(甲午年) 3월 예종(睿宗)이 봉은사(奉恩寺)에 행행(幸行)하여 배(拜) (결락) 임금께서 왕사로 모시고자 하였으나, 스님은 간절히 사양하였다. 이(而) (결락) 그리하여 또 '오공통혜(悟空通慧)'란 법호(法號)를 첨가(添加)하였다. 왕사의 법호가 최초에는 '자응구리(慈應究理)'라고 받았는데, 그 후로부터 연오(演奧)·정관(正觀)·원응(圓應)·법인(法印) 등으로 여러 차례에 걸쳐 첨가를 받았다. 그리고 이제 또 오공통혜(悟空通慧)라는 사자(四字)를 가한 것은 모두 왕사의 덕행(悳行)을 나타낸 것이다. 식자(識者)들은 왈양(曰楊) (결락) 객우(客尤) (결락) 예종(睿宗)께서 귀법사(歸法寺)로써 스님의 연식(燕息)할 장소로 삼고, 법수사(法水寺)로써 왕사가 향화(香火)를 받들면서 기도하는 처소로 삼게 하였다. | ||
+ | |출처=이지관, "합천 반야사 원경왕사 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91-92쪽. | ||
+ | }} | ||
===입적=== | ===입적=== | ||
+ | 1119년([[고려 예종|예종]] 14) 낙진은 [[개성 귀법사|귀법사(歸法寺)]]에서 나이 70세, 승랍 62세로 입적했다. 이에 [[고려 예종|예종]]은 제문(祭文)을 지어 위로하고, 시호를 '원경(元景)'이라 추증했다. 다비는 [[개성 귀법사|귀법사]] 서쪽 산기슭에서 행하였으며, 1120년([[고려 예종|예종]] 15)에는 왕의 명에 따라 신좌(神座)를 야로현(冶爐縣: 경남 합천)의 [[합천 반야사|반야사(般若寺)]]로 옮겨 안치했다.<ref>이지관, "합천 반야사 원경왕사 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92-93쪽.</ref> | ||
+ | {{blockquote | ||
+ | |병을 앓게 되어 왕이 어의(御醫)를 보내어 치료케 하였으나, 스님은 이르기를, "노인(老人)의 병은 인간의 자연적인 상태이므로 번거롭게 다스릴 것이 없다"면서 수치(受治)를 거부하였다. 3월 3일 (결락) 쌍석(雙舃)은 사가(私家)의 문턱을 밟지 아니하고, 육근(六根)은 욕계(欲界)의 티끌에 얽매이지 않으니, 이것은 내 스스로 다짐한 바이지만, 자네들도 공지(共知)할 사항이다. 국가에서 용렬하고 덕(德)이 없는 나를 왕사로 하여 과록(過錄)하면, 임금님의 체면을 욕되게 하는 것이다. 한(恨)스러운 바는 덕은 박하고 재주는 얕아서 (결락) 이(以) (결락) 금자(今者) (결락) 임종의 유훈(遺訓)을 마치시고 곧 입멸(入滅)하였으니, 속수(俗壽)는 70이요, 법하(法夏)는 62세였다. 임금께서 부음(訃音)을 들으시고 크게 진도(震悼)하여 시신(侍臣)을 보내 제문(祭文)을 지어 위로하고 많은 부의금과 장례물(葬禮物)을 보냈으며, 시호(諡號)를 원경(元景)이라 추증하였다. 그리고 (결락) 에게 명하여 장사(葬事)를 감호(監護)케 하였다. 이달 6일 귀법사(歸法寺) 서쪽 산기슭에서 다비(茶毗)하였다. (결락) 도(道) (결락) 원(院). 경자년(庚子年) 10월에 이르러 신좌(神座)를 합천관내(陜川管內) 야로현(冶爐縣) 반야사(般若寺)로 옮겨 절의 동남쪽 산등성이에 안치하였으니, 이는 왕의 근본 교지(敎旨)에 의한 것이다. | ||
+ | |출처=이지관, "합천 반야사 원경왕사 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92-93쪽. | ||
+ | }} | ||
− | = | + | 1125년([[고려 인종|인종]] 3) 낙진의 문인인 각순(覺純)은 조정에 탑비 건립을 청했고, 이에 [[고려 인종|인종]]은 [[김부일|김부일(金富佾)]]에게 명하여 비문을 짓도록 하였다.<ref>이지관, "합천 반야사 원경왕사 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84쪽.</ref> 글씨는 [[이원부|이원부(李元符)]]가 쓰고, [[김윤|김윤(金允)]]이 새겼다. 현재 탑비는 [[합천 해인사|해인사]]의 일주문 동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1963년 보물 제128호로 지정되었다. |
− | " | + | {{blockquote |
+ | |인종(仁宗) 임금께서 즉위(卽位)하신지 3년만에 원경왕사(元景王師)의 문인(門人)인 수좌(首座) 각순(覺純) 등이 조정에 고(告)하여 이르기를, "왕사(王師)께서 입적(入寂)하여 장례를 지낸지도 이미 여러 해가 되었나이다. 이젠 마땅히 비(碑)를 세워 왕사의 위대하신 업적(業跡)이 인멸되지 않도록 배려(配慮)하여 주십시오"라고 주청(奏請)하였다. 이위(以爲) (결락) 유이(惟爾). "왕사가 (결락) 예종대(睿宗代)에 능히 화엄대교(花嚴大敎)로써 국가를 보익(補益)케 함이 많았으니,내 어찌 감히 그 은혜를 잊을 수 있겠는가”라 하시고, 이에 신(臣) 부일(富佾)에게 명(命)하여 이르시기를, "경(卿)이 왕사의 비명(碑銘)을 지으라"고 하였다. | ||
+ | |출처=이지관, "합천 반야사 원경왕사 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84쪽. | ||
+ | }} | ||
− | === | + | =='''지식 관계망'''== |
+ | *'''원경왕사 낙진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49/monk_wongyeong.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합천 반야사지 원경왕사비]] || [[낙진]]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 |- | ||
+ | | [[난원]] || [[낙진]]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 | | [[의천]] || [[낙진]]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 | | [[낙진]] || [[유성]]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 |- | ||
+ | | [[낙진]] || [[정원]]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 |- | ||
+ | | [[신편제종교장총록]] || [[낙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원종문류]] || [[낙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교장]] || [[낙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낙진]] || [[왕사]] || A의 유형은 B이다 || A dcterms:type B | ||
+ | |- | ||
+ | | [[낙진]] || [[개성 귀법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낙진]] || [[개성 귀법사]] || A는 B에서 입적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낙진]] || [[성주 법수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낙진]] || [[항주 고려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69번째 줄: | 122번째 줄: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 |- | ||
+ | | 1050년 || [[낙진]] 출생 | ||
+ | |- | ||
+ | | 1056년 || [[낙진]]은 [[구족계|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 | ||
+ | |- | ||
+ | | 1063년 || [[낙진]]은 [[승과|승과(僧科)]]에 급제하여 [[대덕|대덕(大德)]]이 되었다. | ||
+ | |- | ||
+ | | 1085년 || [[낙진]]은 [[의천]]을 따라 송나라에 갔다. | ||
+ | |- | ||
+ | | 1086년 || [[낙진]]은 송나라에서 귀국하였다. | ||
+ | |- | ||
+ | | 1114년 || [[낙진]]은 [[왕사|왕사(王師]]가 되어 '오공통혜(悟空通慧)'라는 법호(法號)를 받았다. | ||
+ | |- | ||
+ | | 1119년 || [[낙진]]은 [[개성 귀법사]]에서 나이 70세, 승랍 62세로 입적하였다. | ||
+ | |- | ||
+ | | 1120년 || [[낙진]]의 사리를 [[합천 반야사]]로 옮겨 안치하였다. | ||
+ | |- | ||
+ | | 1125년 || [[낙진]]의 문인인 각순(覺純)은 조정에 탑비의 건립을 청하였다. | ||
|} | |} | ||
78번째 줄: | 149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 | *이지관, "합천 반야사 원경왕사 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72-103쪽. | |
+ | *정병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1658 낙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97773&cid=50763&categoryId=50784 낙진]", 용어해설,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74615&cid=40942&categoryId=33382 낙진]",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승탑비문 Top icon}} | {{승탑비문 Top icon}} | ||
85번째 줄: | 159번째 줄: | ||
[[분류:승려]] | [[분류:승려]] | ||
[[분류:고려]] | [[분류:고려]] | ||
− | [[분류:승탑/ | + | [[분류:승탑/교열완료!]] |
2017년 11월 27일 (월) 01:45 기준 최신판
낙진(樂眞) | |
대표명칭 | 낙진 |
---|---|
한자 | 樂眞 |
생몰년 | 1050년-1119년 |
시호 | 원경(元景) |
호 | 오공통혜(悟空通慧) |
자 | 자정(子正) |
성씨 | 신씨 |
출신지 | 경기 이천 |
승탑비 | 합천 반야사지 원경왕사비 |
목차
정의
고려시대의 승려.
내용
가계와 탄생
원경왕사 낙진(元景王師 樂眞)은 1050년(문종 4)에 태어났으며, 그의 선조는 이천군(利川郡)의 우족(右族)[1]이었다.[2]
출가 수행
낙진은 어렸을 때 출가하여 영통사(靈通寺) 경덕국사(景德國師)의 제자가 되어 학문을 닦았고, 1056년(문종 10) 12세에 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 1063년(문종 17) 19세에 승과(僧科)에 급제하여 대덕(大德)이 되었으며,[3] 경덕국사의 문하에서 계속 수학하였다.[4]
구법 유학
낙진은 경덕국사가 입적한 후에는 대각국사 의천(大覺國師 義天)에게 사사(師事)하였으며, 1085년(선종 2) 의천이 송나라에 가자 왕명으로 뒤따라갔다.[5] 그곳에서 낙진은 의천과 함께 철종(哲宗) 황제를 만나고, 화엄종(華嚴宗)의 승려인 유성법사(有誠法師)와 항주 혜인원(抗州 惠因院)의 진수법사(晉水法師)를 만나 불법을 배웠다. 이후 낙진은 1086년(선종 3) 귀국했다.[6]
활동
낙진은 의천이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과 『원종문류(圓宗文類)』를 편집할 때 작업을 도왔으며, 흥왕사(興王寺)에 교장도감(敎藏都監)을 두고 『속장경(續藏經)』을 조판할 때는 교정 작업을 맡았다.[7]
낙진은 숙종(재위: 1095년-1105년) 때 수좌(首座)를 거쳐 승통(僧統)이 되었으며,[8] 1114년(예종 9)에는 왕사(王師)가 되어 '오공통혜(悟空通慧)'라는 법호(法號)를 받았다.[9] 이에 예종은 귀법사(歸法寺)와 법수사(法水寺)를 정진(精進)과 기도의 처소로 삼게 했으며, 낙진은 두 절에서 주석하였다.[10]
입적
1119년(예종 14) 낙진은 귀법사(歸法寺)에서 나이 70세, 승랍 62세로 입적했다. 이에 예종은 제문(祭文)을 지어 위로하고, 시호를 '원경(元景)'이라 추증했다. 다비는 귀법사 서쪽 산기슭에서 행하였으며, 1120년(예종 15)에는 왕의 명에 따라 신좌(神座)를 야로현(冶爐縣: 경남 합천)의 반야사(般若寺)로 옮겨 안치했다.[11]
1125년(인종 3) 낙진의 문인인 각순(覺純)은 조정에 탑비 건립을 청했고, 이에 인종은 김부일(金富佾)에게 명하여 비문을 짓도록 하였다.[12] 글씨는 이원부(李元符)가 쓰고, 김윤(金允)이 새겼다. 현재 탑비는 해인사의 일주문 동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1963년 보물 제128호로 지정되었다.
지식 관계망
- 원경왕사 낙진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합천 반야사지 원경왕사비 | 낙진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난원 | 낙진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의천 | 낙진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낙진 | 유성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낙진 | 정원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신편제종교장총록 | 낙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원종문류 | 낙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교장 | 낙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낙진 | 왕사 | A의 유형은 B이다 | A dcterms:type B |
낙진 | 개성 귀법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낙진 | 개성 귀법사 | A는 B에서 입적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낙진 | 성주 법수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낙진 | 항주 고려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050년 | 낙진 출생 |
1056년 | 낙진은 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 |
1063년 | 낙진은 승과(僧科)에 급제하여 대덕(大德)이 되었다. |
1085년 | 낙진은 의천을 따라 송나라에 갔다. |
1086년 | 낙진은 송나라에서 귀국하였다. |
1114년 | 낙진은 왕사(王師가 되어 '오공통혜(悟空通慧)'라는 법호(法號)를 받았다. |
1119년 | 낙진은 개성 귀법사에서 나이 70세, 승랍 62세로 입적하였다. |
1120년 | 낙진의 사리를 합천 반야사로 옮겨 안치하였다. |
1125년 | 낙진의 문인인 각순(覺純)은 조정에 탑비의 건립을 청하였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우족(右族): 적자(嫡子)의 계통. 고귀한 가문. 지방의 호족(豪族). 출처: 이지관, "합천 반야사 원경왕사 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86쪽, 주37.
- ↑ 이지관, "합천 반야사 원경왕사 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85쪽.
- ↑ 정병조, "낙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지관, "합천 반야사 원경왕사 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86쪽.
- ↑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낙진",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낙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정병조, "낙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낙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정병조, "낙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지관, "합천 반야사 원경왕사 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92쪽.
- ↑ 이지관, "합천 반야사 원경왕사 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92-93쪽.
- ↑ 이지관, "합천 반야사 원경왕사 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84쪽.
참고문헌
- 이지관, "합천 반야사 원경왕사 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72-103쪽.
- 정병조, "낙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낙진",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낙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