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이창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계정보)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인물정보
 
{{인물정보
|사진=
+
|사진=joseon_mungwan_old.png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 이창운
 
|대표명칭= 이창운
34번째 줄: 35번째 줄:
  
 
=='''내용'''==
 
=='''내용'''==
추천에 의하여 1738년([[조선 영조|영조]] 14) 선전관이 되고, 그 이듬해 무과에 급제하고 훈련원주부 겸사복시내승(訓練院主簿兼司僕寺內乘)에 임명되었다. 1747년 상원군수로 부임하여 병무 행정을 간소화하고 창고를 충실히 하였다. 1752년 안동영장(安東營將)이 되었으며, 1754년 가선대부로 승진하여 동지중추부사가 되고 함춘군(咸春君)에 봉하여졌다. 1776년(정조 즉위년) 삼도수군통제사가 되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6223&cid=46622&categoryId=46622 이창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90982&cid=40942&categoryId=34298 이창운]",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추천에 의하여 1738년([[조선 영조|영조]] 14) 선전관이 되고, 그 이듬해 무과에 급제하고 훈련원주부 겸사복시내승(訓練院主簿兼司僕寺內乘)에 임명되었다. 1747년 상원군수로 부임하여 병무 행정을 간소화하고 창고를 충실히 하였다. 1752년 안동영장(安東營將)이 되었으며, 1754년 가선대부로 승진하여 동지중추부사가 되고 함춘군(咸春君)에 봉하여졌다. 1776년(정조 즉위년) [[수군통제사|삼도수군통제사]]가 되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6223&cid=46622&categoryId=46622 이창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90982&cid=40942&categoryId=34298 이창운]",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1779년 차대(次對) 때에 왕이 통영의 조폐(凋弊) 이유를 묻자, 대답하기를 “균역법 실시 전에는 어염(魚鹽)과 미역밭에 내왕하는 배를 통영에서 관리하므로 그곳 주민 3,000여호가 모두 부유하였으나, 지금은 수리(水利)를 잃고 쇠퇴하고 있으니 균역법을 폐지하여야 합니다.”고 주장하였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6223&cid=46622&categoryId=46622 이창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1779년 차대(次對) 때에 왕이 통영의 조폐(凋弊) 이유를 묻자, 대답하기를 “균역법 실시 전에는 어염(魚鹽)과 미역밭에 내왕하는 배를 통영에서 관리하므로 그곳 주민 3,000여호가 모두 부유하였으나, 지금은 수리(水利)를 잃고 쇠퇴하고 있으니 균역법을 폐지하여야 합니다.”고 주장하였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6223&cid=46622&categoryId=46622 이창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41번째 줄: 42번째 줄: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
* [http://dh.aks.ac.kr/Encyves/Graph/E005/E005.htm  이삼과 이순신과 이창운 지식관계망]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html>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05/E005.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이창운]] || [[균역법]] || A는 B와 관련있다 ||
+
|[[이창운]]||[[균역법]]||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이창운 공신도상(단령본)]] ||[[이창운]] || A는 B를 그렸다 ||
+
|[[이창운 공신도상(단령본)]]||[[이창운]]||A는 B를 묘사하였다||A ekc:depicts B
 
|-
 
|-
|[[이창운 공신도상(군복본)]] || [[이창운]] || A는 B를 그렸다 ||
+
|[[이창운 공신도상(군복본)]]||[[이창운]]||A는 B를 묘사하였다||A ekc:depicts B
 
|-
 
|-
 +
|[[이창운]]||[[수군통제사]]||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81번째 줄: 90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분류:역사인물]] [[분류:인물]]
+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역사인물]][[분류:인물]]

2017년 11월 27일 (월) 00:32 기준 최신판


이창운(李昌運)
Joseon mungwan old.png
대표명칭 이창운
한자표기 李昌運
생몰년 1713년-1791년
본관 함평(咸平)
성유(聖兪)
시대 조선시대
대표직함 선전관, 안동영장, 삼도수군통제사, 어영대장
경력(經歷) 이수구(李壽龜)



정의

조선시대 무신.

내용

추천에 의하여 1738년(영조 14) 선전관이 되고, 그 이듬해 무과에 급제하고 훈련원주부 겸사복시내승(訓練院主簿兼司僕寺內乘)에 임명되었다. 1747년 상원군수로 부임하여 병무 행정을 간소화하고 창고를 충실히 하였다. 1752년 안동영장(安東營將)이 되었으며, 1754년 가선대부로 승진하여 동지중추부사가 되고 함춘군(咸春君)에 봉하여졌다. 1776년(정조 즉위년) 삼도수군통제사가 되었다.[1][2]

1779년 차대(次對) 때에 왕이 통영의 조폐(凋弊) 이유를 묻자, 대답하기를 “균역법 실시 전에는 어염(魚鹽)과 미역밭에 내왕하는 배를 통영에서 관리하므로 그곳 주민 3,000여호가 모두 부유하였으나, 지금은 수리(水利)를 잃고 쇠퇴하고 있으니 균역법을 폐지하여야 합니다.”고 주장하였다.[3]

그 뒤 우포도대장이 되어서는 국가를 변란시키려는 음모를 사전에 적발하는 등 활약이 컸다. 1781년 어영대장이 되었고, 그뒤 총융사로 있으면서 경연의 주강(晝講)에서는, 북한산성을 수비하는 성장(城將)도 남한산성의 경우처럼 곡식을 들이는 일과 성곽수호만을 하게 하자고 건의하였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창운 균역법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창운 공신도상(단령본) 이창운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이창운 공신도상(군복본) 이창운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이창운 수군통제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713년 이창운이 출생하였다
1738년 이창운이 선전관이 되었다
1747년 이창운이 상원군수로 부임하였다
1752년 이창운이 안동영장이 되었다
1754년 이창운이 가선대부로 승진하고 동지중추부사가 도었다
1776년 이창운이 삼도수군통제사가 되었다
1781년 이창운이 어영대장이 되었다

시각자료

주석

  1. "이창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이창운", 『두산백과』online,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이창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4. "이창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