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여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새 문서: {{인물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황여헌 |한자표기=黃汝獻 |영문명칭= |본관=장수(長水) |이칭= |시호= |호=유촌(柳村) |자=헌지(獻之)...) |
(→지식관계망)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40번째 줄: | 40번째 줄: | ||
이어 이조참의와 울산군수를 지냈으나, 1533년 사건으로 금산(金山) 옥에서 도망하였다가 다시 체포되어 장류(杖流)의 형을 받았다. 그러나 혐의가 있는 전 도사 [[정공청|정공청(鄭公淸)]]의 죄를 폭로하는 투서를 사헌부에 낸 뒤 양사(兩司)의 주청에 의하여 감형, 석방되었다.<ref>윤용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243 황여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이어 이조참의와 울산군수를 지냈으나, 1533년 사건으로 금산(金山) 옥에서 도망하였다가 다시 체포되어 장류(杖流)의 형을 받았다. 그러나 혐의가 있는 전 도사 [[정공청|정공청(鄭公淸)]]의 죄를 폭로하는 투서를 사헌부에 낸 뒤 양사(兩司)의 주청에 의하여 감형, 석방되었다.<ref>윤용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243 황여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는데, [[소세양|소세양(蘇世讓)]]·[[정사룡|정사룡(鄭士龍)]] 등과 어깨를 겨룰 정도로 당시 이름이 높았다. 그가 지은 | + |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는데, [[소세양|소세양(蘇世讓)]]·[[정사룡|정사룡(鄭士龍)]] 등과 어깨를 겨룰 정도로 당시 이름이 높았다. 그가 지은 『[[죽지사]]』는 명나라 사람들에게까지 격찬을 받았다. 저서로 『[[유촌집]]』이 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9%A9%EC%97%AC%ED%97%8C 황여헌]",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한때, 조선 중기의 승려인 [[유정|사명대사 유정(四溟大師 惟政)]] | + | 한때, 조선 중기의 승려인 [[유정|사명대사 유정(四溟大師 惟政)]]에게 『맹자』를 가르치기도 했다.<ref>김용덕,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1805 유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지식관계망'''== | + | =='''지식 관계망'''== |
− | === | + | *'''황희 지식관계망'''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12/E01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2017년 11월 24일 (금) 15:30 기준 최신판
황여헌(黃汝獻) | |
대표명칭 | 황여헌 |
---|---|
한자표기 | 黃汝獻 |
생몰년 | 1486(성종 17)-미상 |
본관 | 장수(長水) |
호 | 유촌(柳村) |
자 | 헌지(獻之) |
시대 | 조선 |
부 | 황관(黃灌) |
모 | 강미수(姜眉壽)의 딸 |
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
내용
영의정 황희(黃喜)의 현손이며, 황보신(黃保身)의 증손이다.[1]
1509년(중종 4)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이듬해 저작·박사를 거쳐, 1511년 사가독서(賜暇讀書)한 뒤 이조좌랑을 역임하고 1515년 전적이 되었다.[2]
이어 이조참의와 울산군수를 지냈으나, 1533년 사건으로 금산(金山) 옥에서 도망하였다가 다시 체포되어 장류(杖流)의 형을 받았다. 그러나 혐의가 있는 전 도사 정공청(鄭公淸)의 죄를 폭로하는 투서를 사헌부에 낸 뒤 양사(兩司)의 주청에 의하여 감형, 석방되었다.[3]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는데, 소세양(蘇世讓)·정사룡(鄭士龍) 등과 어깨를 겨룰 정도로 당시 이름이 높았다. 그가 지은 『죽지사』는 명나라 사람들에게까지 격찬을 받았다. 저서로 『유촌집』이 있다.[4]
한때, 조선 중기의 승려인 사명대사 유정(四溟大師 惟政)에게 『맹자』를 가르치기도 했다.[5]
지식 관계망
- 황희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황희 | 황여헌 | A는 B의 선조이다 | A ekc:hasDescendant B |
황보신 | 황여헌 | A는 B의 선조이다 | A ekc:hasDescendant B |
정공청 | 황여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유촌집 | 황여헌 | A는 B가 썼다 | A dcterms:creator B |
황여헌 | 유정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시각자료
주석
- ↑ 윤용혁, "황여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윤용혁, "황여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윤용혁, "황여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황여헌",
『위키백과』online . - ↑ 김용덕, "유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