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조오례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체제 및 내용) |
|||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2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문헌정보 | {{문헌정보 | ||
− | |사진= | + | |사진=old_book.png |
|사진출처= | |사진출처= | ||
|대표명칭=국조오례의 | |대표명칭=국조오례의 | ||
28번째 줄: | 28번째 줄: | ||
}} | }} | ||
==정의== | ==정의== | ||
−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는 조선 전기 신숙주(申叔舟)·정척(鄭陟) 등이 왕명을 받아 | +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는 조선 전기 [[신숙주 | 신숙주(申叔舟)]]·정척(鄭陟) 등이 왕명을 받아 편찬한 예전(禮典)이다. |
+ | |||
==내용== |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국조오례의』편찬=== | ===『국조오례의』편찬=== | ||
− | + | 건국 초 조선왕실은 국가 사전의 개혁과 정비가 시급한 과제였기 때문에 태종 조에 오례 중 일단 길례에 관하여 서례(序禮)와 의식을 규정하였다.<ref>김해영, 「조선 초기 예제(禮制) 연구와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의 편찬」, 『朝鮮時代史學報』Vol.55, 조선시대사학회, 2010, 73-74쪽. </ref> [[조선 세종|세종]]이 즉위한 후 [[허조]] 등에게 명하여 오례에 관한 것을 저술하게 하였다. 허조 등이 고금의 예서(禮書)와 『홍무예제(洪武禮制)』 등을 참작하고 『두씨통전(杜氏通典)』을 모방하여 편찬에 착수하였다. 그러나 중간에 [[조선 세종 | 세종]]이 승하하여 이를 완성하지 못하고 실록에 싣는 것에 그쳤다.<ref>홍현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6512 국조오례의]",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이 때 실린 [[오례의 | 『오례의』]]는 태종조의 길례를 제외한 나머지 네 가지 예제의 내용을 담고 있으며 후에 『국조오례의』의 바탕이 되었다. <ref>김해영, 「조선 초기 예제(禮制) 연구와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의 편찬」, 『朝鮮時代史學報』Vol.55, 조선시대사학회, 2010, 73-74쪽. </ref> | |
+ | [[조선 세조 | 세조]] 또한 [[강희맹 | 강희맹(姜希孟, 1424~1483)]] 등을 통해 『홍무예제洪武禮制』를 비롯한 고금의 각종 예서들을 참작하여 편찬하도록 하였지만, 이 또한 완성하지 못하였다. 결국, 성종대인 1474년에 이르러 [[신숙주]]・[[정척]] 등이 오례를 중심으로 한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를 완성하였다. <ref> |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61208&cid=58728&categoryId=58728 국조오례의]", 한국일생의례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민속박물관. </ref> | ||
===체제 및 내용=== | ===체제 및 내용=== | ||
− | + | 『국조오례의』의 체재는 오례, 즉 길례吉禮・가례嘉禮・빈례殯禮・군례軍禮・흉례凶禮로 나누어 예식 별로 서례와 의식으로 나누어 세부 조목을 마련하였다. 길례 56개 조목, 가례 50개 조목, 빈례 6개 조목, 군례 7개 조목, 흉례 91개 조목으로 구성되었고, 전체 8권 5책으로 간행되었다. <ref> | |
− | 『국조오례의』의 체재는 오례, 즉 길례吉禮・가례嘉禮・빈례殯禮・군례軍禮・흉례凶禮로 나누어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61208&cid=58728&categoryId=58728 국조오례의]", 한국일생의례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민속박물관. </ref>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지식 관계망== | ||
+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 [[국조오례의]] || [[신숙주]]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국조오례의]] || [[정척]]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국조오례의]] || [[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국조오례의]] || [[왕세자 가례 차비관 발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국조오례의]] || [[종묘의궤]]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세종실록 오례의]] || [[국조오례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세종실록 오례의]] || [[허종]]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조선 세종]] || [[오혜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주석== | ||
+ | <references/> | ||
+ | ==참고문헌== | ||
+ | ===더 읽을 거리=== | ||
+ | *논문 | ||
+ | **박수정, 「《국조오례의》 의례 시행과 개정 논의」, 『정신문화연구』 vol.40,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 | ||
+ | **안유경,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와 그 속보(續補)편의 편찬과정 및 내용」, 『유교문화연구』,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10. | ||
+ | **장동우, 「《國朝五禮儀》에 규정된 大夫·士·庶人의 四禮에 관한 고찰」, 『한국학연구』 vol.31,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 ||
+ | **임민혁, 「조선 초기 국가의례와 왕권 : 《국조오례의》를 중심으로」, 『역사와실학』 vol.43, 역사실학회, 2010. | ||
+ | ===유용한 정보=== | ||
+ | *김문식,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32&aid=0000058825 국조오례의]", 『경향신문』, 작성일: 2004년 03월 20일. | ||
2017년 11월 24일 (금) 14:35 기준 최신판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
대표명칭 | 국조오례의 |
---|---|
한자표기 | 國朝五禮儀 |
유형 | 문헌 |
저자 | 정척 |
편자 | 신숙주 |
저술시기 | 1474년 |
시대 | 조선 |
수량 | 8건 6책 |
정의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는 조선 전기 신숙주(申叔舟)·정척(鄭陟) 등이 왕명을 받아 편찬한 예전(禮典)이다.
내용
『국조오례의』편찬
건국 초 조선왕실은 국가 사전의 개혁과 정비가 시급한 과제였기 때문에 태종 조에 오례 중 일단 길례에 관하여 서례(序禮)와 의식을 규정하였다.[1] 세종이 즉위한 후 허조 등에게 명하여 오례에 관한 것을 저술하게 하였다. 허조 등이 고금의 예서(禮書)와 『홍무예제(洪武禮制)』 등을 참작하고 『두씨통전(杜氏通典)』을 모방하여 편찬에 착수하였다. 그러나 중간에 세종이 승하하여 이를 완성하지 못하고 실록에 싣는 것에 그쳤다.[2] 이 때 실린 『오례의』는 태종조의 길례를 제외한 나머지 네 가지 예제의 내용을 담고 있으며 후에 『국조오례의』의 바탕이 되었다. [3] 세조 또한 강희맹(姜希孟, 1424~1483) 등을 통해 『홍무예제洪武禮制』를 비롯한 고금의 각종 예서들을 참작하여 편찬하도록 하였지만, 이 또한 완성하지 못하였다. 결국, 성종대인 1474년에 이르러 신숙주・정척 등이 오례를 중심으로 한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를 완성하였다. [4]
체제 및 내용
『국조오례의』의 체재는 오례, 즉 길례吉禮・가례嘉禮・빈례殯禮・군례軍禮・흉례凶禮로 나누어 예식 별로 서례와 의식으로 나누어 세부 조목을 마련하였다. 길례 56개 조목, 가례 50개 조목, 빈례 6개 조목, 군례 7개 조목, 흉례 91개 조목으로 구성되었고, 전체 8권 5책으로 간행되었다. [5]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국조오례의 | 신숙주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국조오례의 | 정척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국조오례의 | 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국조오례의 | 왕세자 가례 차비관 발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국조오례의 | 종묘의궤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세종실록 오례의 | 국조오례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세종실록 오례의 | 허종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조선 세종 | 오혜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주석
- ↑ 김해영, 「조선 초기 예제(禮制) 연구와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의 편찬」, 『朝鮮時代史學報』Vol.55, 조선시대사학회, 2010, 73-74쪽.
- ↑ 홍현식, "국조오례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해영, 「조선 초기 예제(禮制) 연구와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의 편찬」, 『朝鮮時代史學報』Vol.55, 조선시대사학회, 2010, 73-74쪽.
- ↑
"국조오례의", 한국일생의례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국립민속박물관. - ↑
"국조오례의", 한국일생의례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국립민속박물관.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박수정, 「《국조오례의》 의례 시행과 개정 논의」, 『정신문화연구』 vol.40,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
- 안유경,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와 그 속보(續補)편의 편찬과정 및 내용」, 『유교문화연구』,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10.
- 장동우, 「《國朝五禮儀》에 규정된 大夫·士·庶人의 四禮에 관한 고찰」, 『한국학연구』 vol.31,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 임민혁, 「조선 초기 국가의례와 왕권 : 《국조오례의》를 중심으로」, 『역사와실학』 vol.43, 역사실학회, 2010.
유용한 정보
- 김문식, "국조오례의", 『경향신문』, 작성일: 2004년 03월 2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