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무학 진영(통도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시간정보)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역사인물초상화
 
{{역사인물초상화
|이미지= muhak at tongdosa.PNG
+
|사진= muhak at tongdosa.PNG
 +
|사진출처= "[http://www.tongdomuseum.or.kr/display/d04_view.php?listmode=&itemno=1339395288 통도사 삼화상 진영]", 괘불탱 특별전(괘불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통도사 성보박물관』<sup>online</sup></online></html>.
 
|대표명칭=무학 진영(통도사)
 
|대표명칭=무학 진영(통도사)
 
|한자명칭=無學 眞影(通度寺)
 
|한자명칭=無學 眞影(通度寺)
|영문명칭=
+
|영문명칭=  
|작가= [[인총|인총(印摠)]], [[의윤|의윤(義允)]]
+
|작가= [[의윤]]
 
|제작시기= 1807년
 
|제작시기= 1807년
|소장처= [[양산 통도사]]
+
|소장처=[[양산 통도사]]
|문화재지정사항= 경남유형문화재 제277호
+
|문화재지정사항=
|유형=유물
+
|유형=[[진영]]
|크기(세로×가로)=75㎝×146㎝
+
|크기(세로×가로)= 147.0×77.0cm
 +
|필드수=
 
}}
 
}}
 
 
=='''정의'''==
 
=='''정의'''==
고려 말의 승려 [[무학(無學, 1327-1405)]]의 진영.
+
고려 말, 조선 초의 고승 [[자초|무학(1327∼1405)]]의 모습을 그린 진영.
  
 
=='''내용'''==
 
=='''내용'''==
1807년([[조선 순조|순조]] 7) [[인총|인총(印摠)]]이 증명(證明)하고, [[의윤|의윤(義允)]]이 비단 바탕에 채색하여 그린 이 삼화상도는 의자에 앉아 있는 모습의 의좌상(倚坐像)이다.<ref>김창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9283 통도사삼화상진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진영의 제작 및 보관===
 +
[[양산 통도사]]의 <무학 진영>은 화사 [[의윤|의윤(依允)]]이 책임을 맡아 1807년에 조성되었다. 색채와 표현기법 등에 있어 조선 후기 양식을 보이고 있으며, 의자상 형식의 전형적인 양식을 보여주는 진영이다.<ref>주우목, 「의성 大谷寺 三和尙 眞影 연구」,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불교예술문화학과 석사학위논문, 2017, 31쪽.</ref> 현재 [[양산 통도사 삼성각|통도사 삼성각(三聖閣)]]에 봉안되어 있다. [[자초|무학]]의 [[진영]]은 같은 고려 말의 선승인 [[지공]], [[혜근|나옹]]과 함께 삼화상 진영의 형태로 그려지는 경우가 보통이다. 고려 말기의 이들 삼화상은 조선시대 조사 신앙(祖師信仰)의 대상이 되어 전국의 사찰에 모셔졌다. [[양산 통도사|통도사]]<무학 진영>도 삼화상 형식으로 삼화상을 한 폭에 한 명씩 그린 단독상 형식으로 그려졌다.<br/>  
 +
<무학 진영>은 조성 시기가 확실하고 19세기 삼화상 진영 중 작품의 품격이 높은 작품이다.
  
[[무학|무학(無學)]]은 얼굴과 몸을 오른쪽으로 돌려 중앙을 바라보게 하였으며, 오른손으로 주장자(拄杖子)를 들고 왼손으로 의자 손잡이를 잡고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2770000,38 통도사삼화상진영]",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진영에 묘사된 모습===
 
+
[[양산 통도사]]의 <무학 진영>은 삼화상 형식으로 [[지공]]을 가운데 두고 우측에 배치되었다. [[우안팔분면]]의 [[자초|무학]]은 연회색 [[장삼]]에 적색 [[가사]]를 착용하고, [[주장자]]를 들고 의자에 앉아 있는 모습으로 과 왼팔 부분의 [[가사]] 자락에 ‘天’자가 쓰여 있는 것 외에는 [[혜근|나옹]]의 모습과 좌우를 바꾸어 놓은 듯 거의 동일한 모습을 하고 있다.<br/>  
그림의 우측 상단에 ‘漢陽太祖師妙嚴尊者無學大和尙(한양태조사묘엄존자무학대화상)’이라고 쓰여 있어 조성 연대를 확실히 알 수 있다.<ref>김창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9283 통도사삼화상진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둥근 얼굴에 삭발을 하고 짧은 수염을 기른 모습인데 얼굴이 [[혜근|나옹]]과 [[자초|무학]]은 좌우만 바꾸어 놓은 형상이다. 대상인물의 개성을 표현하는 초상화가 아닌 조사 신앙의 종교화로 유형화된 모습이다.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7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무학 진영(통도사)]] || [[무학]] || A는 B를 묘사하였다 ||
+
| [[무학 진영(통도사)]] || [[진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
 +
| [[무학 진영(통도사)]]  || [[자초]]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무학 진영(통도사)]]  || [[양산 통도사]]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무학 진영(통도사)]] || [[의윤]]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무학 진영(통도사)]] || [[나옹 진영(통도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무학 진영(통도사)]] || [[양산 통도사]] || A는 B에 있다 ||  
+
| [[우안팔분면]] || [[무학 진영(통도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무학 진영(통도사)]] || [[무학 진영(신륵사)]] || A는 B와 관련있다 ||  
+
| [[장삼]] || [[무학 진영(통도사)]]||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 [[무학 진영(통도사)]] || [[지공 진영(통도사)]] || A는 B와 관련있다 ||
+
| [[가사]] || [[무학 진영(통도사)]]||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 [[무학 진영(통도사)]] || [[나옹 진영(통도사)]] || A는 B와 관련있다 ||
+
| [[주장자]] || [[무학 진영(통도사)]]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
 
|}
  
 
===시간정보===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7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1807년 || [[무학 진영(통도사)]]가 제작되었다
+
| 1807년 || [[무학 진영(통도사)]]이 그려졌다.
 +
|-
 +
|}
 +
 
 +
===공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1990년 || 경남유형문화재 제277호로 지정되었다
+
| 35.4879260 || 129.0642560  ||  [[무학 진영(통도사)]]은 [[양산 통도사]]에 소장되어 있다.
 
|-
 
|-
 
|}
 
|}
 +
 +
=='''시각자료'''==
 +
===갤러리===
 +
<gallery>
 +
파일: muhak at tongdosa.PNG|[[무학 진영(통도사)]]<ref>"[http://www.tongdomuseum.or.kr/display/d04_view.php?listmode=&itemno=1339395288 통도사 삼화상 진영]", 괘불탱 특별전(괘불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통도사 성보박물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gallery>
  
 
=='''주석'''==
 
=='''주석'''==
53번째 줄: 77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김창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9283 통도사삼화상진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유용한 정보===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2770000,38 통도사삼화상진영]",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김창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9283 통도사삼화상진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2770000,38 통도사삼화상진영]",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더 읽을거리===
 +
# 단행본
 +
#* 문명대 감수, 중앙일보사, 『한국의 미』16 조선불화, 중앙일보사, 1984.
 +
#* 문명대, 『한국의 불화』, 열화당, 1977.
 +
#* 국립문화재연구소,  『다시보는 우리 초상의 세계 : 조선시대 초상화 학술논문집』,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
#* 성보문화재연구원 , 『한국의 불화』22, 성보문화재연구원 , 2001.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초상화]][[분류:문헌]][[분류:문화유산]]

2017년 11월 24일 (금) 00:40 기준 최신판


무학 진영(통도사)
"통도사 삼화상 진영", 괘불탱 특별전(괘불전), 『통도사 성보박물관』online.
한자명칭 無學 眞影(通度寺)
작가 의윤
제작시기 1807년
소장처 양산 통도사
유형 진영
크기(세로×가로) 147.0×77.0cm


정의

고려 말, 조선 초의 고승 무학(1327∼1405)의 모습을 그린 진영.

내용

진영의 제작 및 보관

양산 통도사의 <무학 진영>은 화사 의윤(依允)이 책임을 맡아 1807년에 조성되었다. 색채와 표현기법 등에 있어 조선 후기 양식을 보이고 있으며, 의자상 형식의 전형적인 양식을 보여주는 진영이다.[1] 현재 통도사 삼성각(三聖閣)에 봉안되어 있다. 무학진영은 같은 고려 말의 선승인 지공, 나옹과 함께 삼화상 진영의 형태로 그려지는 경우가 보통이다. 고려 말기의 이들 삼화상은 조선시대 조사 신앙(祖師信仰)의 대상이 되어 전국의 사찰에 모셔졌다. 통도사의 <무학 진영>도 삼화상 형식으로 삼화상을 한 폭에 한 명씩 그린 단독상 형식으로 그려졌다.
<무학 진영>은 조성 시기가 확실하고 19세기 삼화상 진영 중 작품의 품격이 높은 작품이다.

진영에 묘사된 모습

양산 통도사의 <무학 진영>은 삼화상 형식으로 지공을 가운데 두고 우측에 배치되었다. 우안팔분면무학은 연회색 장삼에 적색 가사를 착용하고, 주장자를 들고 의자에 앉아 있는 모습으로 과 왼팔 부분의 가사 자락에 ‘天’자가 쓰여 있는 것 외에는 나옹의 모습과 좌우를 바꾸어 놓은 듯 거의 동일한 모습을 하고 있다.
둥근 얼굴에 삭발을 하고 짧은 수염을 기른 모습인데 얼굴이 나옹무학은 좌우만 바꾸어 놓은 형상이다. 대상인물의 개성을 표현하는 초상화가 아닌 조사 신앙의 종교화로 유형화된 모습이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무학 진영(통도사) 진영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무학 진영(통도사) 자초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무학 진영(통도사) 양산 통도사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무학 진영(통도사) 의윤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무학 진영(통도사) 나옹 진영(통도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우안팔분면 무학 진영(통도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장삼 무학 진영(통도사)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가사 무학 진영(통도사)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주장자 무학 진영(통도사)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807년 무학 진영(통도사)이 그려졌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5.4879260 129.0642560 무학 진영(통도사)양산 통도사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주우목, 「의성 大谷寺 三和尙 眞影 연구」,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불교예술문화학과 석사학위논문, 2017, 31쪽.
  2. "통도사 삼화상 진영", 괘불탱 특별전(괘불전), 『통도사 성보박물관』online.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1. 김창균, "통도사삼화상진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통도사삼화상진영",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더 읽을거리

  1. 단행본
    • 문명대 감수, 중앙일보사, 『한국의 미』16 조선불화, 중앙일보사, 1984.
    • 문명대, 『한국의 불화』, 열화당, 1977.
    • 국립문화재연구소, 『다시보는 우리 초상의 세계 : 조선시대 초상화 학술논문집』,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 성보문화재연구원 , 『한국의 불화』22, 성보문화재연구원 ,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