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항주 고려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사찰사지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항주 고려사 |영문명칭= |한자=杭州 高麗寺 |이칭=혜인선사(慧因禪寺), 혜인사(惠因寺), 慧因高...)
 
(지식 관계망)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3번째 줄: 23번째 줄:
  
 
=='''내용'''==
 
=='''내용'''==
 +
927년에 창건되어 혜인선사(慧因禪寺)라 하였다. 1085년([[고려 성종|성종]] 2) 고려의 승려인 [[의천]]과 [[낙진]]은 화엄조사(華嚴祖師)인 [[정원|정원법사(淨源法師)]]를 찾아 이 절에 머물렀으며, [[정원]]에게서 화엄교학을 배웠다. [[의천]]이 고려에 귀국하여 『금장경(金藏經)』 500부를 보내고, 또 중창을 도운 뒤부터 항주 고려사(杭州 高麗寺)라고 하였다. 뒷날 이 절은 몇 차례에 걸친 병화로 인하여 참화를 입었으며, 1757년에는 청나라의 황제가 친히 고려사에 이르러 법운사(法雲寺)라 사액하였다. 1920년대에 독립운동가인 [[신건식|신건식(申健植)]]이 당우를 수리하고 다시 절 이름을 고려사로 고쳤다.<ref>김상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2413 항주고려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항주 고려사에는 [[의천]]의 소상(塑像)이 봉안되어 있는데, 이 소상과 관련하여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어느 날 장씨(張氏)라는 사람이 절 근처 밭에서 일을 하다가 갑자기 큰 흙 담이 무너져 그 속에 3일 동안 갇혔다. 비몽사몽간에 금관을 쓰고 중국옷을 입은 선인(仙人)이 와서 그를 구해 주고 사라졌다. 장씨는 이상하게 여겨 황폐한 절터를 방황하다가 의천의 소상이 그 선인과 비슷한 것을 보았다. 이에 그 은혜에 보답하고자 10여 칸의 전각을 세우고 소상을 봉안, 그것이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다.<ref>김상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2413 항주고려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항주 고려사와 관련 있는 의천, 낙진, 정원의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49/monk_wongyeong.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관련항목===
 
===관련항목===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정원]] || [[항주 고려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
| [[정원]] || [[항주 고려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의천]] || [[항주 고려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의천]] || [[항주 고려사]] || A는 B와 관련있다 ||
+
| [[낙진]] || [[항주 고려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낙진]] || [[항주 고려사]] || A는 B의 원찰이다 ||
+
| [[신건식]] || [[항주 고려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시각자료'''==
 
=='''시각자료'''==
 +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heights=230px>
 +
파일:BHST Goryeosa.jpg|혜인원(慧因院), 현재의 항주 고려사<ref>하늘호수, "[http://blog.naver.com/1717bh/221078035697 중국 항주, 항저우 가볼만한곳 혜인 고려사와 의천 대각국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블로그 - 느리게 The 느리게』<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7년 8월 20일.</ref>
 +
파일:BHST Goryeosa Daegakjeon.jpg|고려사 대각전(大覺殿)<ref>하늘호수, "[http://blog.naver.com/1717bh/221078035697 중국 항주, 항저우 가볼만한곳 혜인 고려사와 의천 대각국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블로그 - 느리게 The 느리게』<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7년 8월 20일.</ref>
 +
파일:BHST Goryeosa Uicheon.jpg|고려사 대각전에 모셔진 [[의천|대각국사 의천]]의 동상<ref>하늘호수, "[http://blog.naver.com/1717bh/221078035697 중국 항주, 항저우 가볼만한곳 혜인 고려사와 의천 대각국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블로그 - 느리게 The 느리게』<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7년 8월 20일.</ref>
 +
</gallery>
  
 
=='''주석'''==
 
=='''주석'''==
42번째 줄: 60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김상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2413 항주고려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승탑비문 Top icon}}
 
{{승탑비문 Top icon}}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사찰]]  
 
[[분류:사찰]]  
[[분류:승탑/작성중]]
+
[[분류:승탑/검토요청]]

2017년 11월 22일 (수) 17:00 기준 최신판

항주 고려사
(杭州 高麗寺)
대표명칭 항주 고려사
한자 杭州 高麗寺
이칭 혜인선사(慧因禪寺), 혜인사(惠因寺), 慧因高丽寺
주소 중국 절강성(Zhejiang) 항주(Hangzhou) 서호(Xihu) 삼태산로(Santaishan Rd)



정의

중국 항주(杭州)에 있는 사찰.

내용

927년에 창건되어 혜인선사(慧因禪寺)라 하였다. 1085년(성종 2) 고려의 승려인 의천낙진은 화엄조사(華嚴祖師)인 정원법사(淨源法師)를 찾아 이 절에 머물렀으며, 정원에게서 화엄교학을 배웠다. 의천이 고려에 귀국하여 『금장경(金藏經)』 500부를 보내고, 또 중창을 도운 뒤부터 항주 고려사(杭州 高麗寺)라고 하였다. 뒷날 이 절은 몇 차례에 걸친 병화로 인하여 참화를 입었으며, 1757년에는 청나라의 황제가 친히 고려사에 이르러 법운사(法雲寺)라 사액하였다. 1920년대에 독립운동가인 신건식(申健植)이 당우를 수리하고 다시 절 이름을 고려사로 고쳤다.[1]

항주 고려사에는 의천의 소상(塑像)이 봉안되어 있는데, 이 소상과 관련하여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어느 날 장씨(張氏)라는 사람이 절 근처 밭에서 일을 하다가 갑자기 큰 흙 담이 무너져 그 속에 3일 동안 갇혔다. 비몽사몽간에 금관을 쓰고 중국옷을 입은 선인(仙人)이 와서 그를 구해 주고 사라졌다. 장씨는 이상하게 여겨 황폐한 절터를 방황하다가 의천의 소상이 그 선인과 비슷한 것을 보았다. 이에 그 은혜에 보답하고자 10여 칸의 전각을 세우고 소상을 봉안, 그것이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다.[2]

지식 관계망

  • 항주 고려사와 관련 있는 의천, 낙진, 정원의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정원 항주 고려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의천 항주 고려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낙진 항주 고려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신건식 항주 고려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김상현, "항주고려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김상현, "항주고려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하늘호수, "중국 항주, 항저우 가볼만한곳 혜인 고려사와 의천 대각국사", 『네이버 블로그 - 느리게 The 느리게』online, 작성일: 2017년 8월 20일.
  4. 하늘호수, "중국 항주, 항저우 가볼만한곳 혜인 고려사와 의천 대각국사", 『네이버 블로그 - 느리게 The 느리게』online, 작성일: 2017년 8월 20일.
  5. 하늘호수, "중국 항주, 항저우 가볼만한곳 혜인 고려사와 의천 대각국사", 『네이버 블로그 - 느리게 The 느리게』online, 작성일: 2017년 8월 20일.

참고문헌

  • 김상현, "항주고려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