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전면)
(지식관계망)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3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6번째 줄: 16번째 줄:
 
|서체=해서(楷書)
 
|서체=해서(楷書)
 
|승려=[[해린|해린(海麟)]]
 
|승려=[[해린|해린(海麟)]]
 +
|건립연대=1085년
 
|승탑=[[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승탑=[[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비문=[[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문]]
 
 
}}
 
}}
  
 
=='''정의'''==
 
=='''정의'''==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원주 법천사지]]에 있는 [[해린|지광국사 혜린(智光國師 海麟, 984-1070)]]의 탑비.
+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원주 법천사지|법천사지(法泉寺址)]]에 있는 [[해린|지광국사 해린(智光國師 海麟, 984-1070)]]의 [[탑비]].
 
 
  
 
=='''내용'''==
 
=='''내용'''==
 
===개요===
 
===개요===
비신의 높이 2.97m, 너비 1.42m.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는 거북받침돌 위로 비몸돌을 세우고 왕관 모양의 이수를 올린 모습이다. 거북은 목을 곧게 세우고 입을 벌린 채 앞을 바라보고 있는데, 얼굴은 거북이라기보다 용의 얼굴에 가까운 형상으로, 턱 밑에는 길다란 수염이 달려 있고 눈을 부릅뜨고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11,00590000,32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검색』<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귀부 등은 여러개의 사각형으로 면을 나누고 ‘王’자를 새겼다. 비신 양쪽 옆에는 구름과 용을 표현하고 가장자리에는 보상당초문을 새겼다. 이수에는 귀꽃이 달려있고 그 중심에는 3단으로 이루어진 연꽃무늬 조각이 얹어져있다.<ref>행복한놀부, "[http://yinolbu.blog.me/150156630173?Redirect=Log&from=postView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블로그 - 절(터)로 떠나는 불교기행』<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3년 1월 16일.</ref> 비문은 [[정유산|정유산(鄭惟産)]]이 짓고 [[안민후|안민후(安民厚)]]가 썼다. 글씨는 구양순체를 기본으로 부드러움과 단아함을 추구하였다.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지광국사탑]]은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 보관중이며<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11,00590000,32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검색』<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탑비는 국보 제59호로 지정되어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2756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비신(碑身)<ref>비문을 새긴 비석의 몸체</ref>의 높이 2.97m, 너비 1.42m. 이 탑비는 거북받침돌 위로 비몸돌을 세우고 왕관 모양의 [[이수|이수(螭首)]]를 올린 모습이다. 거북은 목을 곧게 세우고 입을 벌린 채 앞을 바라보고 있는데, 얼굴은 거북이라기보다 용의 얼굴에 가까운 형상으로, 턱 밑에는 길다란 수염이 달려 있고 눈을 부릅뜨고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11,00590000,32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거북이의 등은 여러 개의 사각형으로 면을 나누고 '王'자를 새겼다. 비신 양쪽 옆에는 구름과 용을 표현하고 가장자리에는 [[보상당초문|보상당초문(寶相唐草文)]]<ref>보상꽃과 당초 덩굴로 나타낸 장식 무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392 보상당초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을 새겼다. [[이수]]에는 귀꽃이 달려있고 그 중심에는 3단으로 이루어진 연꽃무늬 조각이 얹어져있다.<ref>행복한놀부, "[http://yinolbu.blog.me/150156630173?Redirect=Log&from=postView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블로그 - 절(터)로 떠나는 불교기행』<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3년 1월 16일.</ref> 비문은 [[정유산|정유산(鄭惟産)]]이 짓고 [[안민후|안민후(安民厚)]]가 썼다. 글씨는 [[구양순체|구양순체(歐陽詢體)]]를 기본으로 부드러움과 단아함을 추구하였다.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지광국사탑]]은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 보관중이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11,00590000,32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1962년 국보 제59호로 지정되었다.
+
 
 
===비문===
 
===비문===
 
====전면====
 
====전면====
비문에는 지광국사가 불교에 입문해서 목숨을 다할 때까지의 행장과 공적을 추모하는 글이 새겨져 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2756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구체적으로는 지광국사가 태어나 출가하여 [[개성 왕륜사|왕륜사]] 대선장에서 승과에 급제하고 궁궐에서 법화경을 강설하는 내용으로 시작한다. 이후 문벌 [[이자연|이자연(李子淵)]]의 아들인 [[소현|소현(韶顯)]]을 제자로 받아들이고 [[고려 문종]]에 의해 현화사에 주석하게 되며 왕사와 국사로 연이어 책봉을 받고 입적하여 비를 세우게 된 과정을 기술하였다. 이 내용 중에서 왕사로 책봉할 때의 과정과 승계가 올라갈 때마다 가사를 하사받고 법호를 받았던 사실을 알 수 있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61 법천사지광국사현묘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원.</ref>
+
비문에는 [[해린|지광국사(智光國師)]]가 불교에 입문해서 목숨을 다할 때까지의 행장(行狀)<ref>몸가짐과 품행을 통틀어 이르는 말</ref>과 공적을 추모하는 글이 새겨져 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2756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비문의 내용은 [[해린|지광국사]]가 태어나 출가하여 [[개성 왕륜사|왕륜사(王輪寺)]] 대선장(大選場)에서 [[승과|승과(僧科)]]에 급제하고 궁궐에서 [[법화경|법화경(法華經)]]을 강설하는 내용으로 시작한다. 이후 문벌 [[이자연|이자연(李子淵)]]의 아들인 [[소현|소현(韶顯)]]을 제자로 받아들이고 [[고려 문종]]에 의해 [[개성 현화사|현화사(玄化寺)]]에 주석하게 되며 [[왕사|왕사(王師)]]와 [[국사|국사(國師)]]로 연이어 책봉을 받고 입적하여 비를 세우게 된 과정을 기술하였다. 이 내용 중에서 [[왕사]]로 책봉할 때의 과정과 승계가 올라갈 때마다 가사(袈裟)<ref>승려가 입는 법의</ref>를 하사받고 법호를 받았던 사실을 알 수 있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61 법천사지광국사현묘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
  
 
====후면====
 
====후면====
음기에는 국사의 문도를 열거하였는데 수교계업자(受敎繼業者)<ref>직접 제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766 선생]",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수직가계자(隨職加階者)<ref>고승이 주관하는 불사를 도와서 품계가 올라간 승려.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766 선생]",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와 모덕귀화자(慕德歸化者)<ref>다른 고승의 제자였으나 감화를 받아 제자로 된 승려.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766 선생]",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와 선후사이몰세자(先後師而沒世者)의 네 부류로 구분하여 각각의 부류마다 [[승통|승통(僧統)]], [[수좌|수좌(首座)]], [[삼중대사|삼중대사(三重大師)]], [[중대사|중대사(重大師)]], [[대사|대사(大師)]], [[대덕|대덕(大德)]]으로 나누어 언급된 인명이 1400인에 이른다. 고려의 승려 문도를 성격에 따라 구분한 좋은 예를 보여주는 자료이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61 법천사지광국사현묘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원.</ref>
+
음기에는 [[해린|지광국사]]의 문도를 열거하였는데 수교계업자(受敎繼業者, 지광국사로부터 가르침을 받아 그의 학업을 계승한 스님들)<ref>이지관,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 진응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66쪽, 주298 '受敎繼業者'.</ref>, 수직가계자(隨職加階者, 직책에 따라 법계(法階)를 상가(上加)받은 스님들)<ref>이지관,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 진응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67쪽, 주299 '隨職加階者'.</ref>와 모덕귀화자(慕德歸化者, 지광국사의 덕을 흠모하여 귀화(歸化)한 스님들)<ref>이지관,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 진응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67쪽, 주300 '慕德歸化者'.</ref>와 선후사이몰세자(先後師而沒世者)의 네 부류로 구분하여 각각의 부류마다 [[승통|승통(僧統)]], [[수좌|수좌(首座)]], [[삼중대사|삼중대사(三重大師)]], [[중대사|중대사(重大師)]], [[대사|대사(大師)]], [[대덕|대덕(大德)]]으로 나누어 언급된 인명이 1400인에 이른다. 고려의 승려 문도를 성격에 따라 구분한 좋은 예를 보여주는 자료이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61 법천사지광국사현묘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
 +
 
 +
{{비문정보
 +
|비문1="[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61 법천사지광국사현묘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
|비문3=
 +
}}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12/stele_haerin_beobcheonsaji.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련항목===
 
===관련항목===
42번째 줄: 51번째 줄: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 [[혜린]]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 [[해린]]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 [[정유산]]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 [[정유산]]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 [[안민후]]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 [[안민후]]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
|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 [[원주 법천사지]]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 [[원주 법천사지]] || A는 B에 있다 ||
+
|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 [[구양순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55번째 줄: 66번째 줄:
 
===갤러리===
 
===갤러리===
  
 +
===영상===
 +
<html>
 +
<iframe width="550" height="530" src="http://www.heritage.go.kr/heritage/education/edu_3d_popup.jsp?movUrl=gosee_3d_OLD141217_013"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주석'''==
 
=='''주석'''==
61번째 줄: 76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조용욱, 『우리 역사문화의 갈래를 찾아서』, 역사공간, 2011.  
 
* 조용욱, 『우리 역사문화의 갈래를 찾아서』, 역사공간, 2011.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11,00590000,32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검색』<sup>online</sup></online></html>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11,00590000,32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행복한놀부, "[http://yinolbu.blog.me/150156630173?Redirect=Log&from=postView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블로그 - 절(터)로 떠나는 불교기행』<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3년 1월 16일.
 
* 행복한놀부, "[http://yinolbu.blog.me/150156630173?Redirect=Log&from=postView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블로그 - 절(터)로 떠나는 불교기행』<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3년 1월 16일.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2756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2756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61 법천사지광국사현묘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원
+
* "[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61 법천사지광국사현묘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승탑비문 Top icon}}
 
{{승탑비문 Top icon}}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탑비]] [[분류:승탑/검토요청]]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국보]] [[분류:탑비]] [[분류:승탑/교열완료]]

2017년 11월 21일 (화) 09:11 기준 최신판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原州 法泉寺址 智光國師塔碑)
BHST Stele.png
대표명칭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영문명칭 Stele for State Preceptor Jigwang at Beopcheonsa Temple Site, Wonju
한자 原州 法泉寺址 智光國師塔碑
주소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법천리 산70
문화재 지정번호 국보 제59호
문화재 지정일 1962년 12월 20일
찬자 정유산(鄭惟産)
서자 안민후(安民厚)
서체 해서(楷書)
승려 해린(海麟)
건립연대 1085년
승탑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정의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법천사지(法泉寺址)에 있는 지광국사 해린(智光國師 海麟, 984-1070)탑비.

내용

개요

비신(碑身)[1]의 높이 2.97m, 너비 1.42m. 이 탑비는 거북받침돌 위로 비몸돌을 세우고 왕관 모양의 이수(螭首)를 올린 모습이다. 거북은 목을 곧게 세우고 입을 벌린 채 앞을 바라보고 있는데, 얼굴은 거북이라기보다 용의 얼굴에 가까운 형상으로, 턱 밑에는 길다란 수염이 달려 있고 눈을 부릅뜨고 있다.[2] 거북이의 등은 여러 개의 사각형으로 면을 나누고 '王'자를 새겼다. 비신 양쪽 옆에는 구름과 용을 표현하고 가장자리에는 보상당초문(寶相唐草文)[3] 을 새겼다. 이수에는 귀꽃이 달려있고 그 중심에는 3단으로 이루어진 연꽃무늬 조각이 얹어져있다.[4] 비문은 정유산(鄭惟産)이 짓고 안민후(安民厚)가 썼다. 글씨는 구양순체(歐陽詢體)를 기본으로 부드러움과 단아함을 추구하였다. 지광국사탑은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 보관중이다.[5] 1962년 국보 제59호로 지정되었다.

비문

전면

비문에는 지광국사(智光國師)가 불교에 입문해서 목숨을 다할 때까지의 행장(行狀)[6]과 공적을 추모하는 글이 새겨져 있다.[7] 비문의 내용은 지광국사가 태어나 출가하여 왕륜사(王輪寺) 대선장(大選場)에서 승과(僧科)에 급제하고 궁궐에서 법화경(法華經)을 강설하는 내용으로 시작한다. 이후 문벌 이자연(李子淵)의 아들인 소현(韶顯)을 제자로 받아들이고 고려 문종에 의해 현화사(玄化寺)에 주석하게 되며 왕사(王師)국사(國師)로 연이어 책봉을 받고 입적하여 비를 세우게 된 과정을 기술하였다. 이 내용 중에서 왕사로 책봉할 때의 과정과 승계가 올라갈 때마다 가사(袈裟)[8]를 하사받고 법호를 받았던 사실을 알 수 있다.[9]

후면

음기에는 지광국사의 문도를 열거하였는데 수교계업자(受敎繼業者, 지광국사로부터 가르침을 받아 그의 학업을 계승한 스님들)[10], 수직가계자(隨職加階者, 직책에 따라 법계(法階)를 상가(上加)받은 스님들)[11]와 모덕귀화자(慕德歸化者, 지광국사의 덕을 흠모하여 귀화(歸化)한 스님들)[12]와 선후사이몰세자(先後師而沒世者)의 네 부류로 구분하여 각각의 부류마다 승통(僧統), 수좌(首座), 삼중대사(三重大師), 중대사(重大師), 대사(大師), 대덕(大德)으로 나누어 언급된 인명이 1400인에 이른다. 고려의 승려 문도를 성격에 따라 구분한 좋은 예를 보여주는 자료이다.[13]


비문 보러가기
"법천사지광국사현묘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지식관계망

  •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해린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정유산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A ekc:writer B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안민후 A는 B가 비문을 썼다 A ekc:calligrapher B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원주 법천사지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구양순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비문을 새긴 비석의 몸체
  2.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3. 보상꽃과 당초 덩굴로 나타낸 장식 무늬. "보상당초문",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행복한놀부,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네이버 블로그 - 절(터)로 떠나는 불교기행』online, 작성일: 2013년 1월 16일.
  5.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6. 몸가짐과 품행을 통틀어 이르는 말
  7.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8. 승려가 입는 법의
  9. "법천사지광국사현묘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10. 이지관,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 진응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66쪽, 주298 '受敎繼業者'.
  11. 이지관,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 진응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67쪽, 주299 '隨職加階者'.
  12. 이지관,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 진응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67쪽, 주300 '慕德歸化者'.
  13. "법천사지광국사현묘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