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마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Monica-jang (토론 | 기여)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궁중기록화관 Top icon}} | {{궁중기록화관 Top icon}} | ||
{{복식정보 | {{복식정보 | ||
− | | | + | |사진= 궁중기록화 복식 견마기01 석주선박물관.jpg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 덕온공주(德溫公主, 1822~1844)의 견마기,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http://museum.dankook.ac.kr/) 소장 |
|대표명칭= 견마기 | |대표명칭= 견마기 | ||
|한자표기= 肩亇只 | |한자표기= 肩亇只 | ||
|이칭별칭= 곁마기, 겻마기[旁障衣] | |이칭별칭= 곁마기, 겻마기[旁障衣] | ||
− | | | + | |구분= 의복 |
− | |착용신분=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외명부]] | + | |착용신분= [[황후]], [[황태자비]],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외명부]], [[궁녀]] |
|착용성별= 여성 | |착용성별= 여성 | ||
− | |||
− | |||
}} | }} | ||
− | ==정의== | + | =='''정의'''== |
− | + | 대한제국의 [[황후]]와 [[황태자비]], 조선의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내외명부 및 반가(班家)의 여성들이 의례에 참석할 때나 외출할 때 착용하는 저고리이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81쪽.</ref> | |
− | ==내용== | + | =='''내용'''== |
− | + | 외출용 웃옷으로 일상적인 [[저고리(여성)|저고리]] 위에 착용하였다. 소례복(小禮服)인 [[당의]]보다는 아래급의 예복이다.<ref>황문환·김주필·박부자·안승준·이욱·황선엽 주해, 『정미가례시일기 주해』,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0, 34쪽.</ref> 조선 전기 유물로 볼때, 장저고리(당의)와 단저고리의 중간 길이에 해당된다. 본래 [[견마기]]는 길이가 길어서 겨드랑이 아래 쪽 옆선 부분인 곁이 막혔다는 의미의 '곁막이'에서 유래하였다. '곁막이' 또는 '곁마기'라는 용어는 옷의 명칭으로 보다는 저고리의 겨드랑이 부분에 덧댄 다른 색 장식 조각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81쪽.</ref> [[견마기]]는 시기에 따라 형태의 변화를 보인다. 조선 초·중기에는 길이 60~70㎝ 내외의 '옆막힘 저고리' 형태였던 것이 조선 후기에는 점차 짧아지고 금박으로 장식을 더하여 화려한 형태로 변화되었다. 자주색이나 초록색을 사용하였으며 소매에는 [[당의]]와 같이 흰 거들지를 달았다.<ref>황문환·김주필·박부자·안승준·이욱·황선엽 주해, 『정미가례시일기 주해』,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0, 34쪽.</ref> | |
− | |||
− | |||
− | == | + | =='''지식 관계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 !항목A!!항목B!!관계 |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황후]] || 견마기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 | ||
+ | | [[황태자비]] || 견마기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 | ||
+ | | [[왕비]] || 견마기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 | ||
− | + | | [[왕세자빈]] || 견마기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 | ||
− | + | | [[왕세손빈]] || 견마기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 | ||
− | + | | [[외명부]] || 견마기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 | ||
− | + | | [[궁녀]] || 견마기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 | ||
− | | | + | | 견마기 || [[스란치마]] || 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 |- | ||
+ | | 견마기 || [[가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시간정보=== | ===시간정보=== | ||
===공간정보=== | ===공간정보=== | ||
− | ==시각자료== | + | =='''시각자료'''== |
===갤러리=== | ===갤러리===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 ||
+ | 궁중기록화 복식 견마기02 영친왕비 고궁박물관.jpg | 영친왕비가 착용한 견마기.<ref>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ref> | ||
</gallery> | </gallery> | ||
===영상=== | ===영상=== | ||
− | ==주석== | + | =='''주석'''== |
<references/> | <references/> | ||
− | ==참고문헌== |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 | +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 |
− | +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
− | + | * 권오영 외, 『조선 왕실의 嘉禮』,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 |
− | + | * 김아람, 「복식고증을 통한 복온공주 혼례 친영반차도 구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
+ | * 김정진, 「朝鮮時代 『嘉禮都監儀軌』에 나타난 班次圖의 構造的 硏究」,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8. | ||
+ | * 백영자․김정진, 「조선시대 『嘉禮都監儀軌』의 班次圖에 나타난 服飾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4권 2호, 한국의류학회, 1990. | ||
+ | * 신병주, 『66세의 영조 15세 신부를 맞이하다』, 효형출판, 2001. | ||
+ | * 신병주, 박례경 외 2명 저, 『왕실의 혼례식 풍경 (조선 왕실의 행사 2)』, 돌베개, 2013. | ||
+ | * 유송옥, 「조선왕조시대 가례도감의궤와 그에 나타난 복식」, 『大東文化硏究』 20,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1986. | ||
+ | * 유송옥, 『朝鮮王朝 宮中儀軌服飾』 , 수학사, 1991. | ||
+ | * 이경자, 「『嘉禮都監儀軌』의 服飾 硏究」, 『服飾』 1권, 한국복식학회. 1977. | ||
+ | * 이욱, 「조선후기 後宮 嘉禮의 절차와 변천-慶嬪 金氏 嘉禮를 중심으로」, 『장서각』 19,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 ||
+ | * 이은주, 「『덕온공주가례등록』을 통해 본 공주가례복식」, 『한국복식』 30,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12. | ||
+ | * 최경순, 「嘉禮都監儀軌에 나타난 가례복식의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5권 1호, 한국의류학회, 1991. | ||
+ | * 황문환·김주필·박부자·안승준·이욱·황선엽 주해, 『정미가례시일기 주해』,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0. | ||
[[분류:궁중기록화]] | [[분류:궁중기록화]] | ||
[[분류:복식]] | [[분류:복식]] |
2017년 11월 19일 (일) 12:23 기준 최신판
견마기 (肩亇只) |
|
대표명칭 | 견마기 |
---|---|
한자표기 | 肩亇只 |
이칭별칭 | 곁마기, 겻마기[旁障衣] |
구분 | 의복 |
착용신분 | 황후, 황태자비,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외명부, 궁녀 |
착용성별 | 여성 |
정의
대한제국의 황후와 황태자비, 조선의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내외명부 및 반가(班家)의 여성들이 의례에 참석할 때나 외출할 때 착용하는 저고리이다.[1]
내용
외출용 웃옷으로 일상적인 저고리 위에 착용하였다. 소례복(小禮服)인 당의보다는 아래급의 예복이다.[2] 조선 전기 유물로 볼때, 장저고리(당의)와 단저고리의 중간 길이에 해당된다. 본래 견마기는 길이가 길어서 겨드랑이 아래 쪽 옆선 부분인 곁이 막혔다는 의미의 '곁막이'에서 유래하였다. '곁막이' 또는 '곁마기'라는 용어는 옷의 명칭으로 보다는 저고리의 겨드랑이 부분에 덧댄 다른 색 장식 조각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3] 견마기는 시기에 따라 형태의 변화를 보인다. 조선 초·중기에는 길이 60~70㎝ 내외의 '옆막힘 저고리' 형태였던 것이 조선 후기에는 점차 짧아지고 금박으로 장식을 더하여 화려한 형태로 변화되었다. 자주색이나 초록색을 사용하였으며 소매에는 당의와 같이 흰 거들지를 달았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황후 | 견마기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황태자비 | 견마기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왕비 | 견마기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왕세자빈 | 견마기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왕세손빈 | 견마기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외명부 | 견마기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궁녀 | 견마기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견마기 | 스란치마 | 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견마기 | 가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친왕비가 착용한 견마기.[5]
영상
주석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81쪽.
- ↑ 황문환·김주필·박부자·안승준·이욱·황선엽 주해, 『정미가례시일기 주해』,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0, 34쪽.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81쪽.
- ↑ 황문환·김주필·박부자·안승준·이욱·황선엽 주해, 『정미가례시일기 주해』,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0, 34쪽.
- ↑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권오영 외, 『조선 왕실의 嘉禮』,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 김아람, 「복식고증을 통한 복온공주 혼례 친영반차도 구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김정진, 「朝鮮時代 『嘉禮都監儀軌』에 나타난 班次圖의 構造的 硏究」,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8.
- 백영자․김정진, 「조선시대 『嘉禮都監儀軌』의 班次圖에 나타난 服飾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4권 2호, 한국의류학회, 1990.
- 신병주, 『66세의 영조 15세 신부를 맞이하다』, 효형출판, 2001.
- 신병주, 박례경 외 2명 저, 『왕실의 혼례식 풍경 (조선 왕실의 행사 2)』, 돌베개, 2013.
- 유송옥, 「조선왕조시대 가례도감의궤와 그에 나타난 복식」, 『大東文化硏究』 20,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1986.
- 유송옥, 『朝鮮王朝 宮中儀軌服飾』 , 수학사, 1991.
- 이경자, 「『嘉禮都監儀軌』의 服飾 硏究」, 『服飾』 1권, 한국복식학회. 1977.
- 이욱, 「조선후기 後宮 嘉禮의 절차와 변천-慶嬪 金氏 嘉禮를 중심으로」, 『장서각』 19,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 이은주, 「『덕온공주가례등록』을 통해 본 공주가례복식」, 『한국복식』 30,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12.
- 최경순, 「嘉禮都監儀軌에 나타난 가례복식의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5권 1호, 한국의류학회, 1991.
- 황문환·김주필·박부자·안승준·이욱·황선엽 주해, 『정미가례시일기 주해』,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