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소비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번째 줄: | 1번째 줄: | ||
{{개념정보 | {{개념정보 | ||
|사진=민족_일러_요소비료.png | |사진=민족_일러_요소비료.png |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 |
|대표명칭=요소비료 | |대표명칭=요소비료 | ||
|한자표기=尿素肥料 | |한자표기=尿素肥料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1950년대 이후 가장 흔하게 쓰인 질소질 | + | 1950년대 이후 가장 흔하게 쓰인 질소질 화학비료이다. |
=='''내용'''== | =='''내용'''== | ||
− | 합성암모니아에 이산화탄소를 가하고 고온 ·고압으로 처리하여 제조된다. 황안비료에 비하여 황산을 함유하지 않으므로 | + | 합성암모니아에 이산화탄소를 가하고 고온 ·고압으로 처리하여 제조된다. 황안비료에 비하여 황산을 함유하지 않으므로 자원 측면에서나 시용(施用)상에서 유리하다. 다만 요소는 황안보다 약 2배나 더 진한 비료이기 때문에 지나치게 사용하면 토양의 산성화를 유발할 수 있다. 1936년경부터 비료로 사용되기 시작해서 1950년대에는 각국에서 다량으로 소비되었다. 대한민국에서도 [[충주비료공장]],[[호남비료공장]] 등의 대형 공장을 지어 요소비료를 생산, 수출하고 농가에 보급하였다. |
===성장과 비판=== | ===성장과 비판=== | ||
− | 1970년대에 이르러 요소비료는 연간생산능력이 39만톤에 육박할 정도로 생산 규모가 | + | 1970년대에 이르러 요소비료는 연간생산능력이 39만톤에 육박할 정도로 생산 규모가 확대되었다. 그러나 지나친 사용으로 국토의 85%가 산성화되자 요소비료 보급을 줄이고 복합비료의 공급을 대폭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특히 농림부는 대 농민 계몽활동을 통해 요소비료는 성장 촉진만을 자극하여 뿌리가 약해져서 식물이 쓰러질 위험성이 높고 토양을 산성화시키며 특히 병충해에 약하다는 점을 강조해 왔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0111700099201023&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0-11-17&officeId=00009&pageNo=1&printNo=1443&publishType=00020# 均衡施肥(균형시비)에 異狀(이상) =秋糓收買(추곡수매)에 尿素肥料(요소비료) 지급으로]", 『매일경제』, 작성일:1970년 11월 17일.</ref><br/> |
− | 이에 대한 대안으로 농림부는 비료판매에 일정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사실상 요소비료의 판매를 중지시킨다. 또한 차년도 비료공급량을 결정하면서 요소비료의 공급량은 4% | + | 이에 대한 대안으로 농림부는 비료판매에 일정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사실상 요소비료의 판매를 중지시킨다. 또한 차년도 비료공급량을 결정하면서 요소비료의 공급량은 4% 증가로 한정하고 복합비료를 40% 증량 책정하는 방식으로 요소비료 공급량을 억제하였다. |
===오늘날=== | ===오늘날=== | ||
− | 2000년대에 들어서도 요소비료는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 + | 2000년대에 들어서도 요소비료는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다만 단독으로 사용되기보다는 희석하여 복합비료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br/> |
그러나 농촌진흥청에서는 수목이 냉해, 건조피해를 입기 쉬우며 환경 오염을 유발한다는 등의 이유로 요소비료 사용을 지양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 그러나 농촌진흥청에서는 수목이 냉해, 건조피해를 입기 쉬우며 환경 오염을 유발한다는 등의 이유로 요소비료 사용을 지양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86/C086.htm "한국비료"(김숙진) 지식관계망] | ||
<html> | <html>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79번째 줄: | 80번째 줄: | ||
#*세화 편집부, 『화학대사전』, 세화, 2001.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303869&cid=42419&categoryId=42419 요소비료]", 화학대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세화 편집부, 『화학대사전』, 세화, 2001.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303869&cid=42419&categoryId=42419 요소비료]", 화학대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개념]][[분류:민족/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개념]][[분류:민족/교열완료]] |
2017년 11월 19일 (일) 10:39 판
요소비료 (尿素肥料) |
|
대표명칭 | 요소비료 |
---|---|
한자표기 | 尿素肥料 |
목차
정의
1950년대 이후 가장 흔하게 쓰인 질소질 화학비료이다.
내용
합성암모니아에 이산화탄소를 가하고 고온 ·고압으로 처리하여 제조된다. 황안비료에 비하여 황산을 함유하지 않으므로 자원 측면에서나 시용(施用)상에서 유리하다. 다만 요소는 황안보다 약 2배나 더 진한 비료이기 때문에 지나치게 사용하면 토양의 산성화를 유발할 수 있다. 1936년경부터 비료로 사용되기 시작해서 1950년대에는 각국에서 다량으로 소비되었다. 대한민국에서도 충주비료공장,호남비료공장 등의 대형 공장을 지어 요소비료를 생산, 수출하고 농가에 보급하였다.
성장과 비판
1970년대에 이르러 요소비료는 연간생산능력이 39만톤에 육박할 정도로 생산 규모가 확대되었다. 그러나 지나친 사용으로 국토의 85%가 산성화되자 요소비료 보급을 줄이고 복합비료의 공급을 대폭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특히 농림부는 대 농민 계몽활동을 통해 요소비료는 성장 촉진만을 자극하여 뿌리가 약해져서 식물이 쓰러질 위험성이 높고 토양을 산성화시키며 특히 병충해에 약하다는 점을 강조해 왔다.[1]
이에 대한 대안으로 농림부는 비료판매에 일정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사실상 요소비료의 판매를 중지시킨다. 또한 차년도 비료공급량을 결정하면서 요소비료의 공급량은 4% 증가로 한정하고 복합비료를 40% 증량 책정하는 방식으로 요소비료 공급량을 억제하였다.
오늘날
2000년대에 들어서도 요소비료는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다만 단독으로 사용되기보다는 희석하여 복합비료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농촌진흥청에서는 수목이 냉해, 건조피해를 입기 쉬우며 환경 오염을 유발한다는 등의 이유로 요소비료 사용을 지양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김숙진-한국비료 | 요소비료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한국비료공업 | 이병철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한국비료공업 | 롯데정밀화학 | A는 B의 전신이다 | A ekc:isOldNameOf B |
한국비료공업 | 사카린 밀수사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이병철 | 사카린 밀수사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사카린 밀수사건 | 국회 오물투척사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김두한 | 국회 오물투척사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요소비료 | 한국비료공업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요소비료 | 충주비료공장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요소비료 | 호남비료공장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안주시 남흥청년화학연합기업소 요소비료출하.[2]
영상
- 대한뉴스 제 605호-전진의 맥박(게시일: 2016년 11월 14일)
주석
- ↑ "均衡施肥(균형시비)에 異狀(이상) =秋糓收買(추곡수매)에 尿素肥料(요소비료) 지급으로", 『매일경제』, 작성일:1970년 11월 17일.
- ↑ "남흥청년화학연합기업소", 『조선향토대백과』, 평화문제연구소, 2008. 온라인 참조: "남흥청년화학연합기업소", 조선향토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자원
- "요소비료",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均衡施肥(균형시비)에 異狀(이상) =秋糓收買(추곡수매)에 尿素肥料(요소비료) 지급으로", 『매일경제』, 작성일:1970년 11월 17일.
- 세화 편집부, 『화학대사전』, 세화, 2001. 온라인 참조: "요소비료", 화학대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요소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