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나옹 진영(통도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역사인물초상화
 
{{역사인물초상화
 
|사진=Tongdosa Naong Portrait.jpg
 
|사진=Tongdosa Naong Portrait.jpg
|사진출처=
+
|사진출처=  
|대표명칭=나옹 진영
+
|대표명칭=나옹 진영(통도사)
|한자명칭=懶翁眞影
+
|한자명칭=懶翁 眞影(通度寺)
 
|영문명칭=  
 
|영문명칭=  
|작가=
+
|작가= [[의윤]]
|제작시기=
+
|제작시기= 1807년
|소장처=통도사
+
|소장처=[[양산 통도사]]
|문화재지정사항=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 277호
+
|문화재지정사항=
|유형=유물
+
|유형=[[진영]]
|크기(세로×가로)=172.7×86.2㎝
+
|크기(세로×가로)= 147.0×77.0cm
 +
|필드수=
 
}}
 
}}
 
 
=='''정의'''==
 
=='''정의'''==
고려 말의 승려 [[나옹|나옹(懶翁, 1320-1376)]]의 진영.
+
고려시대의 고승 [[혜근|나옹 혜근(1320∼1376)]]의 모습을 그린 진영.
  
 
=='''내용'''==
 
=='''내용'''==
이 작품은 나옹(懶翁)이 의자에 앉아있는 전신좌상이다. 얼굴과 몸을 왼쪽으로 돌려 중앙을 향하고 있는데 왼손으로 긴 주장자를 비껴들고 먼 곳을 주시하면서 사색에 잠겨 있는 듯 하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2770000,38 통도사삼화상진영]",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붉은 가사에 녹색 장삼을 착용하였으며, 오른손은 의자를 잡고 있다. 화면 향좌측 상단에 ‘고려공민왕사보제존자나옹대화상(高麗恭愍王師普濟尊者懶翁大和尙)’이라는 화제명이 적혀 있다. <ref>"박은경,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1400170 통도사 삼화상 진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진영의 제작 및 보관===
 +
통도사의 은 화사 의윤依允이 책임을 맡아 1807년에 조성되었다. 색채와 표현기법 등에 있어 조선 후기 양식을 보이고 있으며, 의자상 형식의 전형적인 양식을 보여주는 진영이다. 현재 통도사 삼성각三聖閣에 봉안되어 있다. 나옹의 진영은 같은 고려 말의 선승인 지공, 무학과 함께 삼화상 진영의 형태로 그려지는 경우가 보통이다. 고려 말기의 이들 삼화상은 조선시대 조사 신앙祖師信仰의 대상이 되어 전국의 사찰에 모셔졌다. 통도사의 <나옹 진영>도 삼화상 형식으로 삼화상을 한 폭에 한 명씩 그린 단독상 형식으로 그려졌다.
 +
<나옹 진영>은 조성 시기가 확실하고 19세기 삼화상 진영 중 작품의 품격이 높은 작품이다.
 +
 
 +
 
 +
[[양산 통도사]]의 <나옹 진영>은 화사 [[의윤|의윤(依允)]]이 책임을 맡아 1807년에 조성되었다. 색채와 표현기법 등에 있어 조선 후기 양식을 보이고 있으며, 의자상 형식의 전형적인 양식을 보여주는 진영이다.<ref>주우목, 「의성 大谷寺 三和尙 眞影 연구」,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불교예술문화학과 석사학위논문, 2017, 31쪽.</ref> 현재 [[양산 통도사 삼성각|통도사 삼성각(三聖閣)]]에 봉안되어 있다. [[혜근|나옹]]의 진영은 같은 고려 말의 선승인 [[지공]], [[자초|무학]]과 함께 삼화상 진영의 형태로 그려지는 경우가 보통이다. 고려 말기의 이들 삼화상은 조선시대 조사 신앙(祖師信仰)의 대상이 되어 전국의 사찰에 모셔졌다. [[양산 통도사|통도사]]의 <나옹 진영>도 삼화상 형식으로 삼화상을 한 폭에 한 명씩 그린 단독상 형식으로 그려졌다.<br/>
 +
<나옹 진영>은 조성 시기가 확실하고 19세기 삼화상 진영 중 작품의 품격이 높은 작품이다.
  
===통도사 삼화상 진영===
+
===진영에 묘사된 모습===
나옹 진영(통도사)은 [[양산 통도사|통도사]]의 삼화상(三和尙) 진영 중 하나다. 삼화상은 고려 후기의 사회적 모순과 불교계 내부의 갈등을 개혁하고자하는 의지를 보였던 고승들로, [[지공|지공(指空)]], [[나옹|나옹(懶翁)]], [[무학|무학(無學)]]화상을 말한다. 조선시대 억불의 분위기 속에서도 조사신앙(祖師信仰)의 대상이 되어 여러 곳에 그 진영이 모셔졌으며, 조선전기에 조사신앙의 예배대상으로 받아들여지게 되면서 삼화상을 함께 봉안하는 경향이 유행한 것으로 보여 진다. 통도사 성보박물관에 있는 삼화상 진영은 양공(良工) 의윤(義允)이 조성한 것이다. 3점 모두 조사신앙의 단적인 예가 될 뿐만 아니라 조선 후기 의자상의 전형적인 양식을 띠고 있어 그 예를 살펴볼 수 있는 작품이다.<ref>"[http://www.tongdomuseum.or.kr/community/news.php?mode=read&part=&number=496 통도사 삼화상 진영]", <html><online style="color:purple">『소장유물』<sup>online</sup></online></html>, 통도사 성보박물관.</ref>
+
[[양산 통도사]]의 <나옹 진영>은 삼화상 형식으로 [[지공]]을 가운데 두고 좌측에 배치되었다. [[좌안팔분면]]의 의자상으로 바닥에는 돗자리를 깔아 벽면과 바닥이 구분된 2단 구도이다. 연회색 [[장삼]]에 적색 [[가사]]를 착용했다. 오른손은 의자의 팔걸이를 짚고 왼손으로는 [[주장자]]를 들었다.<br/>
 +
둥근 얼굴에 삭발을 하고 짧은 수염을 기른 모습인데 얼굴이 [[혜근|나옹]]과 [[자초|무학]]은 좌우만 바꾸어 놓은 형상이다. 대상인물의 개성을 표현하는 초상화가 아닌 조사 신앙의 종교화로 유형화된 모습이다.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7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나옹 진영(통도사)]] || [[나옹]] || A는 B를 묘사하였다 ||
+
| [[나옹 진영(통도사)]] || [[진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
 +
| [[나옹 진영(통도사)]]  || [[혜근]]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나옹 진영(통도사)]]  || [[양산 통도사]]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나옹 진영(통도사)]] || [[의윤]]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나옹 진영(통도사)]] || [[무학 진영(통도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좌안팔분면]] || [[나옹 진영(통도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나옹 진영(통도사)]] || [[양산 통도사]] || A는 B에 있다 ||  
+
| [[장삼]] || [[나옹 진영(통도사)]]||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 [[나옹 진영(통도사)]] || [[무학 진영(통도사)]] || A는 B와 관련있다 ||  
+
| [[가사]] || [[나옹 진영(통도사)]]||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 [[나옹 진영(통도사)]] || [[나옹 진영(대곡사)]] || A는 B와 관련있다 ||
+
| [[주장자]] || [[나옹 진영(통도사)]]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 [[나옹 진영(통도사)]] || [[나옹 진영(신륵사)]] || A는 B와 관련있다 ||
 
 
|}
 
|}
  
 
===시간정보===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 1807년 || [[나옹 진영(통도사)]]이 그려졌다.
 +
|-
 +
|}
  
 
===공간정보===
 
===공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35.4879260 || 129.0642560  ||  [[나옹 진영(통도사)]]은 [[양산 통도사]]에 소장되어 있다.
 +
|-
 +
|}
  
 
=='''시각자료'''==
 
=='''시각자료'''==
48번째 줄: 77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박은경,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1400170 통도사 삼화상 진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유용한 정보===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2770000,38 통도사삼화상진영]",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김창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9283 통도사삼화상진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www.tongdomuseum.or.kr/community/news.php?mode=read&part=&number=496 통도사 삼화상 진영]", <html><online style="color:purple">『소장유물』<sup>online</sup></online></html>, 통도사 성보박물관.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2770000,38 통도사삼화상진영]",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박은경,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1400170 통도사 삼화상 진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2770000,38 통도사삼화상진영]",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http://www.tongdomuseum.or.kr/community/news.php?mode=read&part=&number=496 통도사 삼화상 진영]", <html><online style="color:purple">『소장유물』<sup>online</sup></online></html>, 통도사 성보박물관.
 +
 
 +
===더 읽을거리===
 +
# 단행본
 +
#* 문명대 감수, 중앙일보사, 『한국의 미』16 조선불화, 중앙일보사, 1984.
 +
#* 문명대, 『한국의 불화』, 열화당, 1977.
 +
#* 국립문화재연구소,  『다시보는 우리 초상의 세계 : 조선시대 초상화 학술논문집』,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
#* 성보문화재연구원 , 『한국의 불화』22, 성보문화재연구원 , 2001.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초상화]][[분류:문헌]][[분류:문화유산]]
 +
[[분류:역인초/검토요청]]

2017년 11월 18일 (토) 17:03 판


나옹 진영(통도사)
Tongdosa Naong Portrait.jpg
한자명칭 懶翁 眞影(通度寺)
작가 의윤
제작시기 1807년
소장처 양산 통도사
유형 진영
크기(세로×가로) 147.0×77.0cm


정의

고려시대의 고승 나옹 혜근(1320∼1376)의 모습을 그린 진영.

내용

진영의 제작 및 보관

통도사의 은 화사 의윤依允이 책임을 맡아 1807년에 조성되었다. 색채와 표현기법 등에 있어 조선 후기 양식을 보이고 있으며, 의자상 형식의 전형적인 양식을 보여주는 진영이다. 현재 통도사 삼성각三聖閣에 봉안되어 있다. 나옹의 진영은 같은 고려 말의 선승인 지공, 무학과 함께 삼화상 진영의 형태로 그려지는 경우가 보통이다. 고려 말기의 이들 삼화상은 조선시대 조사 신앙祖師信仰의 대상이 되어 전국의 사찰에 모셔졌다. 통도사의 <나옹 진영>도 삼화상 형식으로 삼화상을 한 폭에 한 명씩 그린 단독상 형식으로 그려졌다.

<나옹 진영>은 조성 시기가 확실하고 19세기 삼화상 진영 중 작품의 품격이 높은 작품이다.


양산 통도사의 <나옹 진영>은 화사 의윤(依允)이 책임을 맡아 1807년에 조성되었다. 색채와 표현기법 등에 있어 조선 후기 양식을 보이고 있으며, 의자상 형식의 전형적인 양식을 보여주는 진영이다.[1] 현재 통도사 삼성각(三聖閣)에 봉안되어 있다. 나옹의 진영은 같은 고려 말의 선승인 지공, 무학과 함께 삼화상 진영의 형태로 그려지는 경우가 보통이다. 고려 말기의 이들 삼화상은 조선시대 조사 신앙(祖師信仰)의 대상이 되어 전국의 사찰에 모셔졌다. 통도사의 <나옹 진영>도 삼화상 형식으로 삼화상을 한 폭에 한 명씩 그린 단독상 형식으로 그려졌다.
<나옹 진영>은 조성 시기가 확실하고 19세기 삼화상 진영 중 작품의 품격이 높은 작품이다.

진영에 묘사된 모습

양산 통도사의 <나옹 진영>은 삼화상 형식으로 지공을 가운데 두고 좌측에 배치되었다. 좌안팔분면의 의자상으로 바닥에는 돗자리를 깔아 벽면과 바닥이 구분된 2단 구도이다. 연회색 장삼에 적색 가사를 착용했다. 오른손은 의자의 팔걸이를 짚고 왼손으로는 주장자를 들었다.
둥근 얼굴에 삭발을 하고 짧은 수염을 기른 모습인데 얼굴이 나옹무학은 좌우만 바꾸어 놓은 형상이다. 대상인물의 개성을 표현하는 초상화가 아닌 조사 신앙의 종교화로 유형화된 모습이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나옹 진영(통도사) 진영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나옹 진영(통도사) 혜근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나옹 진영(통도사) 양산 통도사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나옹 진영(통도사) 의윤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나옹 진영(통도사) 무학 진영(통도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좌안팔분면 나옹 진영(통도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장삼 나옹 진영(통도사)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가사 나옹 진영(통도사)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주장자 나옹 진영(통도사)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807년 나옹 진영(통도사)이 그려졌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5.4879260 129.0642560 나옹 진영(통도사)양산 통도사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주석

  1. 주우목, 「의성 大谷寺 三和尙 眞影 연구」,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불교예술문화학과 석사학위논문, 2017, 31쪽.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1. 김창균, "통도사삼화상진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통도사삼화상진영",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3. "박은경, 통도사 삼화상 진영", 『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통도사삼화상진영",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5. "통도사 삼화상 진영", 『소장유물』online, 통도사 성보박물관.

더 읽을거리

  1. 단행본
    • 문명대 감수, 중앙일보사, 『한국의 미』16 조선불화, 중앙일보사, 1984.
    • 문명대, 『한국의 불화』, 열화당, 1977.
    • 국립문화재연구소, 『다시보는 우리 초상의 세계 : 조선시대 초상화 학술논문집』,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 성보문화재연구원 , 『한국의 불화』22, 성보문화재연구원 ,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