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
(→지식관계망) |
||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7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위도= 37.026377 | |위도= 37.026377 | ||
|경도= 127.397282 | |경도= 127.397282 | ||
− | |찬자= [[김현|김현(金顯)]] | + | |찬자= [[김현(고려)|김현(金顯)]] |
|서자= [[민상제|민상제(閔賞濟)]] | |서자= [[민상제|민상제(閔賞濟)]] | ||
|각자= [[배가성|배가성(裵可成)]], [[이맹|이맹(李孟)]] | |각자= [[배가성|배가성(裵可成)]], [[이맹|이맹(李孟)]] | ||
− | |서체= | + | |서체= [[해서|해서(楷書)]] |
|승려=[[정현|정현(鼎賢)]] | |승려=[[정현|정현(鼎賢)]] | ||
+ | |건립연대= 1060년 | ||
|승탑= | |승탑= | ||
− | |||
}} | }} | ||
=='''정의'''== | =='''정의'''== | ||
− |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안성 칠장사|칠장사(七長寺)]]에 있는 고려시대 승려 [[정현|정현(鼎賢)]]의 탑비. | + |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안성 칠장사|칠장사(七長寺)]]에 있는 고려시대 승려 [[정현|혜소국사 정현(慧炤國師 鼎賢, 972-1054)]]의 [[탑비]]. |
=='''내용'''== | =='''내용'''== | ||
− | === | + | ===개요=== |
− | + | 비신(碑身)<ref>비문을 새긴 비석의 몸체</ref>의 높이는 3.4m, 폭은 1.28m이고, 비신의 양면에는 여의주를 가지고 노는 범(虎)<ref>범, 호랑이</ref> 비슷한 것이 양각으로 새겨져 있다. [[이수|이수(螭首)]]에는 거북과 용이 새겨져 있는데, 이는 각각 장수를 상징하며 물과 지상 천상의 세계를 마음대로 드나들 수 있는 힘과 신통력을 지닌 동물이다. 이것은 비의 주인공인 [[정현|혜소국사]]의 영혼을 천상세계로 인도하며, 비문을 후세에 영원히 전하기 위한 의미를 가진다.<ref>"[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5536 칠장사(안성)]", 구석구석 여행지찾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대한민국 구석구석』<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관광공사.</ref> | |
− | + | 비는 현재 [[귀부|귀부(龜趺)]]와 [[이수]]와 비신은 따로따로 분리되어 한 비각 안에 보존되어 있다. 비신의 보존 상태는 비교적 양호하나 가운데가 절단되었고 왼쪽 부분에 손상이 많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49 칠장사혜소국사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 | |
− | = | + | 비는 1060년([[고려 문종|문종]] 14)에 [[정현|혜소국사 정현(慧炤國師 鼎賢)]]의 입적을 기념하기 위하여 세운 것으로서 글은 [[김현(고려)|김현(金顯)]]이 짓고 글씨는 [[민상제|민상제(閔賞濟)]]가 썼으며,<ref>"[https://ko.wikipedia.org/wiki/%EC%95%88%EC%84%B1_%EC%B9%A0%EC%9E%A5%EC%82%AC_%ED%98%9C%EC%86%8C%EA%B5%AD%EC%82%AC%EB%B9%84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해서|해서체]]로 쓰여져있다. 글자를 새기는 일은 [[배가성|배가성(裵可成)]]·[[이맹|이맹(李孟)]] 등이 하였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8530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
− | + | 이 비는 1968년 보물 제488호로 지정되어 있다. | |
===비문=== | ===비문=== | ||
− | 비문에 의하면, | + | 비문에 의하면, [[정현|국사]]의 이름은 [[정현|정현(鼎賢)]], 성은 이씨(李氏)이고, 10세에 [[보은 광교사|광교사(光敎寺)]]에서 [[충회|충회(忠會)]]의 제자가 되었으며, [[안성 칠장사|칠장사(七長寺)]]의 [[융철|융철(融哲)]]에게서 유가행(瑜伽行)<ref>유가 즉, 요가법에 의한 수행. 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1127 정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을 배운 뒤, 17세에 [[개성 영통사|영통사(靈通寺)]]에서 [[구족계|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 25세에는 오교대선(五敎大選)에 급제한 뒤 [[안성 칠장사|칠장사]]로 돌아왔다. 1054년에는 세수(世壽, 세속의 나이) 83세, 승랍(僧臘, 승려가 된 햇수) 74세로 입멸(入滅)<ref>입적(入寂). 승려의 죽음</ref>하였다는 등 그의 행적을 적었고, 뒤쪽 끝부분에는 [[정현|국사]]를 기리는 문장이 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8530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1127 정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전해지는 이야기=== | ||
+ | [[임진왜란]] 당시 왜의 장수인 [[가토 기요마사|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가 이 절에 왔을 때, 어떤 노승이 홀연히 나타나 그의 잘못을 꾸짖자 화가 난 [[가토 기요마사|가토]]가 칼을 빼어 베었다. 노승은 사라지고 비석이 갈라지면서 피를 흘리니 [[가토 기요마사|가토]]는 겁이 나서 도망을 쳤다. 현재 이 비신 가운데가 갈라져 있어 이러한 이야기를 뒷받침해 주고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4880000,31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 |||
+ | {{비문정보 | ||
+ | |비문1="[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49 칠장사혜소국사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 ||
+ | |비문2= | ||
+ | |비문3= | ||
+ | }} |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
+ |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74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40/stele_jeonghyeon_chiljang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관련항목=== | ===관련항목===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 [[안성 칠장사]] | + |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 [[안성 칠장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 [[고려 문종]] || A는 B가 이름을 지었다 || A dc:contributor B | ||
+ | |- | ||
+ |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 [[정현]]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 |- | ||
+ |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 [[김현(고려)]]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
+ | |- | ||
+ |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 [[민상제]]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
+ | |- | ||
+ |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 [[배기성]] ||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 A ekc:inscriber B | ||
+ | |- | ||
+ |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 [[이맹]] ||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 A ekc:inscriber B | ||
+ | |- | ||
+ | | [[가토 기요마사]]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가토 기요마사]] || [[임진왜란]]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충회]] || [[정현]]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 | | [[융철]] || [[정현]]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 | | [[정현]] || [[수원 광교사]] || A는 B에서 출가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정현]] || [[개성 영통사]] || A는 B에서 계를 받았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 [[정현]] || [[안성 칠장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정현]] || [[개성 법천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정현]] || [[개성 현화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서울 사현사]] || [[정현]]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 | |- | ||
− | | [[ | + | | [[정현]] || [[안성 칠장사]] || A는 B에서 입적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정현]] || [[승과]]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정현]] || [[고려 문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60번째 줄: | 102번째 줄: | ||
</gallery> | </gallery> | ||
− | |||
− | |||
− | |||
=='''주석'''== | =='''주석'''== | ||
68번째 줄: | 107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 | * 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1127 정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남동신, 「칠장사혜소국사비명을 통해 본 정현의 생애와 사상」, 『한국중세사연구』 No.30, 한국중세사학회, 2011, 468-486쪽. | ||
+ | *엄기표,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의 양식과 미술사적 의의」,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4 No.1, 역사문화학회, 2011, 307-348쪽. | ||
+ | * "[https://ko.wikipedia.org/wiki/%EC%95%88%EC%84%B1_%EC%B9%A0%EC%9E%A5%EC%82%AC_%ED%98%9C%EC%86%8C%EA%B5%AD%EC%82%AC%EB%B9%84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8530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4880000,31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 | * "[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5536 칠장사(안성)]", 구석구석 여행지찾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대한민국 구석구석』<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관광공사. | ||
+ | * "[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49 칠장사혜소국사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 ||
{{승탑비문 Top icon}} | {{승탑비문 Top icon}} | ||
74번째 줄: | 120번째 줄: | ||
[[분류:보물]] | [[분류:보물]] | ||
[[분류:탑비]] | [[분류:탑비]] | ||
+ | [[분류:승탑/교열완료]] |
2017년 11월 15일 (수) 21:59 기준 최신판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安城 七長寺 慧炤國師碑) |
|
대표명칭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
---|---|
영문명칭 | Stele for State Preceptor Hyeso at Chiljangsa Temple, Anseong |
한자 | 安城 七長寺 慧炤國師碑 |
주소 |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칠장리 762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488호 |
문화재 지정일 | 1968년 12월 19일 |
찬자 | 김현(金顯) |
서자 | 민상제(閔賞濟) |
각자 | 배가성(裵可成), 이맹(李孟) |
서체 | 해서(楷書) |
승려 | 정현(鼎賢) |
건립연대 | 1060년 |
|
정의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칠장사(七長寺)에 있는 고려시대 승려 혜소국사 정현(慧炤國師 鼎賢, 972-1054)의 탑비.
내용
개요
비신(碑身)[1]의 높이는 3.4m, 폭은 1.28m이고, 비신의 양면에는 여의주를 가지고 노는 범(虎)[2] 비슷한 것이 양각으로 새겨져 있다. 이수(螭首)에는 거북과 용이 새겨져 있는데, 이는 각각 장수를 상징하며 물과 지상 천상의 세계를 마음대로 드나들 수 있는 힘과 신통력을 지닌 동물이다. 이것은 비의 주인공인 혜소국사의 영혼을 천상세계로 인도하며, 비문을 후세에 영원히 전하기 위한 의미를 가진다.[3]
비는 현재 귀부(龜趺)와 이수와 비신은 따로따로 분리되어 한 비각 안에 보존되어 있다. 비신의 보존 상태는 비교적 양호하나 가운데가 절단되었고 왼쪽 부분에 손상이 많다.[4]
비는 1060년(문종 14)에 혜소국사 정현(慧炤國師 鼎賢)의 입적을 기념하기 위하여 세운 것으로서 글은 김현(金顯)이 짓고 글씨는 민상제(閔賞濟)가 썼으며,[5] 해서체로 쓰여져있다. 글자를 새기는 일은 배가성(裵可成)·이맹(李孟) 등이 하였다.[6]
이 비는 1968년 보물 제488호로 지정되어 있다.
비문
비문에 의하면, 국사의 이름은 정현(鼎賢), 성은 이씨(李氏)이고, 10세에 광교사(光敎寺)에서 충회(忠會)의 제자가 되었으며, 칠장사(七長寺)의 융철(融哲)에게서 유가행(瑜伽行)[7]을 배운 뒤, 17세에 영통사(靈通寺)에서 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 25세에는 오교대선(五敎大選)에 급제한 뒤 칠장사로 돌아왔다. 1054년에는 세수(世壽, 세속의 나이) 83세, 승랍(僧臘, 승려가 된 햇수) 74세로 입멸(入滅)[8]하였다는 등 그의 행적을 적었고, 뒤쪽 끝부분에는 국사를 기리는 문장이 있다.[9][10]
전해지는 이야기
임진왜란 당시 왜의 장수인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가 이 절에 왔을 때, 어떤 노승이 홀연히 나타나 그의 잘못을 꾸짖자 화가 난 가토가 칼을 빼어 베었다. 노승은 사라지고 비석이 갈라지면서 피를 흘리니 가토는 겁이 나서 도망을 쳤다. 현재 이 비신 가운데가 갈라져 있어 이러한 이야기를 뒷받침해 주고 있다.[11]
비문 보러가기 |
• "칠장사혜소국사비", 금석문세부정보, |
지식관계망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 안성 칠장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 고려 문종 | A는 B가 이름을 지었다 | A dc:contributor B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 정현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 김현(고려)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 민상제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 배기성 |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 A ekc:inscriber B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 이맹 |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 A ekc:inscriber B |
가토 기요마사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가토 기요마사 | 임진왜란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충회 | 정현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융철 | 정현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정현 | 수원 광교사 | A는 B에서 출가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정현 | 개성 영통사 | A는 B에서 계를 받았다 | A edm:isRelatedTo B |
정현 | 안성 칠장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정현 | 개성 법천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정현 | 개성 현화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서울 사현사 | 정현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정현 | 안성 칠장사 | A는 B에서 입적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정현 | 승과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정현 | 고려 문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비문을 새긴 비석의 몸체
- ↑ 범, 호랑이
- ↑ "칠장사(안성)", 구석구석 여행지찾기,
『대한민국 구석구석』online , 한국관광공사. - ↑ "칠장사혜소국사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위키백과』online . -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유가 즉, 요가법에 의한 수행. 김위석, "정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입적(入寂). 승려의 죽음
-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위석, "정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참고문헌
- 김위석, "정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남동신, 「칠장사혜소국사비명을 통해 본 정현의 생애와 사상」, 『한국중세사연구』 No.30, 한국중세사학회, 2011, 468-486쪽.
- 엄기표,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의 양식과 미술사적 의의」,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4 No.1, 역사문화학회, 2011, 307-348쪽.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위키백과』online .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칠장사(안성)", 구석구석 여행지찾기,
『대한민국 구석구석』online , 한국관광공사. - "칠장사혜소국사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