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림산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사진=
 
|사진=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
+
|대표명칭=봉림산문
|한자표기=
+
|한자표기=鳳林山門
 
|영문명칭=
 
|영문명칭=
|이칭=
+
|이칭=봉림산파(鳳林山派)
 
|유형=
 
|유형=
|관련개념=
+
|관련개념=[[구산선문|구산선문(九山禪門)]]
 
}}
 
}}
  
 
=='''정의'''==
 
=='''정의'''==
 +
경상남도 창원의 [[창원 봉림사|봉림산사(鳳林山寺)]]를 중심으로 일어난 [[구산선문|선종구산문(禪宗九山門)]] 중 하나.
  
 
=='''내용'''==
 
=='''내용'''==
 +
===형성과 전개===
 +
봉림산문은 [[심희|진경 심희(眞鏡 審希, 855-923)]]가 개창하였으나 그 개산조는 [[현욱|원감 현욱(圓鑑 玄昱, 788-869)]]이다.<ref>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89쪽.</ref>
 +
 +
[[현욱]]은 당나라에 가서 [[도일(중국)|마조(馬祖)]]의 제자인 [[회휘|장경(章敬)]]에게 법인(法印)을 받고 837년([[신라 희강왕|희강왕]] 2)에 귀국했다.<ref>김영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857 봉림산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현욱]]이 [[남원 실상사|지리산 실상사(實相寺)]]에서 수행하는 동안 신라의 [[신라 민애왕|민애왕]], [[신라 신무왕|신무왕]], [[신라 문성왕|문성왕]], [[신라 헌안왕|헌안왕]]이 모두 [[현욱]]에게 귀의하고 제자의 예를 다하여 공경했다.<ref>이일야, "봉림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215쪽.</ref> 이후 [[현욱]]은 혜목산(慧目山)의 [[여주 고달사|고달사(高達寺)]]로 옮겨 많은 제자를 배출했다.<ref>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89쪽.</ref> [[현욱]]의 뒤를 이은 [[심희]]는 효공왕 때 봉림산에 절을 세우고 제자들을 일깨우며 종풍을 크게 선양하였으므로 봉림산파를 형성하게 되었다.<ref>김영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857 봉림산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후원 세력===
 +
[[심희|심희(審希)]]는 김해 지방의 가야계 김씨 세력인 [[김인광|김인광(金仁匡)]], [[소율희|김율희(金律熙)]] 등과 연결하여 창원에 봉림산문을 개창했다. 이 과정에서 [[신라 효공왕]]은 [[창원 봉림사|봉림사]]에 머물고 있는 [[심희]]에게 귀의했다. [[심희]]의 권위를 빌려 김해 지역의 호족 세력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려 한 것이다.<ref>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89쪽.</ref> 또한 [[심희]]는 918년([[신라 경명왕|경명왕]] 2) [[신라 경명왕|경명왕]]의 청으로 왕궁에 가서, 나라를 다스리고 백성을 편안히 하는 방법을 설파하기도 했다.<ref>배상현, "[http://changwon.grandculture.net/Contents?local=changwon&dataType=01&contents_id=GC02200347 심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창원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심희]]는 신라 왕실과 김해 지역의 호족 세력을 연결하는 중요한 매개 역할을 했으며,<ref>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89쪽.</ref> 따라서 신라 왕실에서도 크게 후원했을 가능성이 높다.<ref>배상현, "[http://changwon.grandculture.net/Contents?local=changwon&dataType=01&contents_id=GC02200339 봉림산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창원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봉림산문의 승려들===
 +
[[심희]]의 동문으로는 [[홍각|홍각선사(弘覺禪師) 이관(利觀)]]이, 제자로는 [[찬유|찬유(璨幽)]], [[충담|충담(忠湛)]], [[홍준|홍준(弘俊)]]이 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03423&cid=40942&categoryId=31543 봉림산문]",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
*'''봉림산문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74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13/bongnimsanmun.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련항목===
 
===관련항목===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구산선문]] || [[봉림산문]]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시간정보===
+
| [[봉림산문]] || [[현욱]] || A는 B가 개창하였다 || A ekc:founder B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봉림산문]] || [[심희]] || A는 B가 중창하였다 || A ekc:renovator B
 +
|-
 +
| [[봉림산문]] || [[창원 봉림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현욱]] || [[여주 고달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심희]] || [[창원 봉림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도일(중국)]] || [[회휘]]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회휘]] || [[현욱]]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현욱]] || [[심희]]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현욱]] || [[홍각]]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심희]] || [[찬유]]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심희]] || [[충담]]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심희]] || [[홍준]]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심희]] || [[소율희|김율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심희]] || [[김인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여주 고달사지]] || [[여주 고달사]] || A는 B의 터이다 || A edm:isRelatedTo B
 +
|-
 +
| [[창원 봉림사지]] || [[창원 봉림사]] || A는 B의 터이다 || A edm:isRelatedTo B
 +
|-
 +
|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 [[심희]]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 || [[심희]]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A ekc:isStupaOf B
 +
|-
 +
|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 [[홍각]]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 [[찬유]]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 || [[찬유]]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A ekc:isStupaOf B
 +
|-
 +
|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 [[충담]]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 [[충담]]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A ekc:isStupaOf B
 +
|-
 +
|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 || [[홍준]]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 [[심희]] || [[신라 경명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33번째 줄: 95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구산우, 「신라말 고려초 김해 창원지역의 호족과 봉림산문」, 『한국중세사연구』 No.25, 한국중세사학회, 2008, 157-193쪽.
 
*김두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926 선종구산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김두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926 선종구산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영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857 봉림산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83-99쪽.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83-99쪽.
 +
*배상현, "[http://changwon.grandculture.net/Contents?local=changwon&dataType=01&contents_id=GC02200339 봉림산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창원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배상현, 「진경 심희의 활동과 봉림산문」, 『사학연구』 No.74, 한국사학회, 2004, 99-129쪽.
 
*이일야, "봉림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207-237쪽.
 
*이일야, "봉림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207-237쪽.
 +
*조범환, 「신라말 봉림산문과 신라왕실」, 『진단학보』 No.78, 진단학회, 1994, 43-58쪽.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03423&cid=40942&categoryId=31543 봉림산문]",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개념]]
 
[[분류:개념]]
[[분류:승탑/작성중]]
+
[[분류:승탑/교열완료!]]

2017년 11월 6일 (월) 00:39 기준 최신판

봉림산문
(鳳林山門)
대표명칭 봉림산문
한자표기 鳳林山門
이칭 봉림산파(鳳林山派)
관련개념 구산선문(九山禪門)



정의

경상남도 창원의 봉림산사(鳳林山寺)를 중심으로 일어난 선종구산문(禪宗九山門) 중 하나.

내용

형성과 전개

봉림산문은 진경 심희(眞鏡 審希, 855-923)가 개창하였으나 그 개산조는 원감 현욱(圓鑑 玄昱, 788-869)이다.[1]

현욱은 당나라에 가서 마조(馬祖)의 제자인 장경(章敬)에게 법인(法印)을 받고 837년(희강왕 2)에 귀국했다.[2] 현욱지리산 실상사(實相寺)에서 수행하는 동안 신라의 민애왕, 신무왕, 문성왕, 헌안왕이 모두 현욱에게 귀의하고 제자의 예를 다하여 공경했다.[3] 이후 현욱은 혜목산(慧目山)의 고달사(高達寺)로 옮겨 많은 제자를 배출했다.[4] 현욱의 뒤를 이은 심희는 효공왕 때 봉림산에 절을 세우고 제자들을 일깨우며 종풍을 크게 선양하였으므로 봉림산파를 형성하게 되었다.[5]

후원 세력

심희(審希)는 김해 지방의 가야계 김씨 세력인 김인광(金仁匡), 김율희(金律熙) 등과 연결하여 창원에 봉림산문을 개창했다. 이 과정에서 신라 효공왕봉림사에 머물고 있는 심희에게 귀의했다. 심희의 권위를 빌려 김해 지역의 호족 세력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려 한 것이다.[6] 또한 심희는 918년(경명왕 2) 경명왕의 청으로 왕궁에 가서, 나라를 다스리고 백성을 편안히 하는 방법을 설파하기도 했다.[7] 심희는 신라 왕실과 김해 지역의 호족 세력을 연결하는 중요한 매개 역할을 했으며,[8] 따라서 신라 왕실에서도 크게 후원했을 가능성이 높다.[9]

봉림산문의 승려들

심희의 동문으로는 홍각선사(弘覺禪師) 이관(利觀)이, 제자로는 찬유(璨幽), 충담(忠湛), 홍준(弘俊)이 있다.[10]

지식관계망

  • 봉림산문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구산선문 봉림산문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봉림산문 현욱 A는 B가 개창하였다 A ekc:founder B
봉림산문 심희 A는 B가 중창하였다 A ekc:renovator B
봉림산문 창원 봉림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현욱 여주 고달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심희 창원 봉림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도일(중국) 회휘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회휘 현욱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현욱 심희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현욱 홍각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심희 찬유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심희 충담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심희 홍준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심희 김율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심희 김인광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여주 고달사지 여주 고달사 A는 B의 터이다 A edm:isRelatedTo B
창원 봉림사지 창원 봉림사 A는 B의 터이다 A edm:isRelatedTo B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심희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 심희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A ekc:isStupaOf B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홍각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찬유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 찬유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A ekc:isStupaOf B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충담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충담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A ekc:isStupaOf B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 홍준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심희 신라 경명왕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주석

  1.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89쪽.
  2. 김영태, "봉림산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이일야, "봉림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215쪽.
  4.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89쪽.
  5. 김영태, "봉림산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89쪽.
  7. 배상현, "심희", 『디지털창원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8.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89쪽.
  9. 배상현, "봉림산문", 『디지털창원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0. "봉림산문",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 구산우, 「신라말 고려초 김해 창원지역의 호족과 봉림산문」, 『한국중세사연구』 No.25, 한국중세사학회, 2008, 157-193쪽.
  • 김두진, "선종구산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영태, "봉림산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83-99쪽.
  • 배상현, "봉림산문", 『디지털창원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배상현, 「진경 심희의 활동과 봉림산문」, 『사학연구』 No.74, 한국사학회, 2004, 99-129쪽.
  • 이일야, "봉림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207-237쪽.
  • 조범환, 「신라말 봉림산문과 신라왕실」, 『진단학보』 No.78, 진단학회, 1994, 43-58쪽.
  • "봉림산문",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