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범패의 용도) |
|||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1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불교의 | + | 불교의 의식 음악. 일명 범음(梵音)·어산(魚山) 또는 인도(印度, 引導) 소리라고도 한다.<ref>한만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2601 범패]",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내용'''== | =='''내용'''== | ||
===기원=== | ===기원=== | ||
− | 범패의 기원에 대해서는 영산회상 기원설, 묘음보살(妙音菩薩)의 음악공양설, 중국 조식(曺植)창작설 등이 있고, 그 전승에 대하여 오(吳)의 지겸(支謙)이 범패삼계(梵唄三契)를 짓고, 강승회(康僧會)가 니항범패(泥恒梵唄)를 만들어 강남에 범패성명(梵唄聲明)을 크게 유생시켰다.<ref>범패소개, | + | 범패의 기원에 대해서는 영산회상 기원설, 묘음보살(妙音菩薩)의 음악공양설, 중국 조식(曺植)창작설 등이 있고, 그 전승에 대하여 오(吳)의 지겸(支謙)이 범패삼계(梵唄三契)를 짓고, 강승회(康僧會)가 니항범패(泥恒梵唄)를 만들어 강남에 범패성명(梵唄聲明)을 크게 유생시켰다.<ref>범패소개, [http://www.pompae.or.kr 불교음악연구소].</ref> |
− | 보통 우리 나라의 범패는 신라의 진감선사(眞鑑禪師)에서 비롯된 | + | 보통 우리 나라의 범패는 신라의 [[혜소|진감선사(眞鑑禪師)]]에서 비롯된 것으로 되어 있다. [[혜소|진감선사]]는 [[하동 쌍계사|하동 쌍계사(雙磎寺)]]의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진감선사대공탑비문(眞鑑禪師大空塔碑文)]]에 따르면 804년([[신라 애장왕|애장왕]] 5) 재공사(才貢使)로 당나라에 갔다가 830년([[신라 흥덕왕|흥덕왕]] 5)에 귀국한 뒤, 옥천사(玉泉寺), 즉 [[하동 쌍계사|쌍계사]]에서 수많은 제자들에게 범패를 가르쳤다.<ref>한만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2601 범패]",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의식에 따른 구분=== |
− | 범패는 주로 상주권공재(常住勸供齋)·시왕각배재(十王各拜齋)·생전예수재(生前豫修齋)·수륙재(水陸齋)·영산재(靈山齋) 등 다섯 가지 재에 쓰인다. | + | 범패는 주로 상주권공재(常住勸供齋)·시왕각배재(十王各拜齋)·생전예수재(生前豫修齋)·수륙재(水陸齋)·영산재(靈山齋) 등 다섯 가지 재에 쓰인다.<ref>한만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2601 범패]",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상주권공재==== | + | ====상주권공재(常住勸供齋)==== |
− | 죽은 자를 | + | 죽은 자를 위해 행하며 보통 하루가 걸린다. 가장 규모가 작은 재로 49재나 소상(小祥)·대상(大祥) 때 흔히 이 재를 행한다. 무속의 진오귀굿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
− | 범패승이 처음 소리를 배울 때에는 가장 기본이 되는 이 상주권공부터 배우게 되는데, <할향 | + | 범패승이 처음 소리를 배울 때에는 가장 기본이 되는 이 상주권공부터 배우게 되는데, <할향(喝香)>부터 시작하여 <합장게(合掌偈)>·<개계(開啓)>·<쇄수게(灑水偈)>·<복청게(伏請偈)>·<사방찬(四方讚)>·<도량게(道場偈)>·<참회게(懺悔偈)>·<헌좌게(獻座偈)>·<가영(歌詠)>·<등게(燈偈)>의 순으로 배운다. |
− | 이 곡목 중 끝에 ‘게(偈)’ 자로 된 곡의 사설은 한문의 4·5언 또는 | + | 이 곡목 중 끝에 ‘게(偈)’ 자로 된 곡의 사설은 한문의 4·5언 또는 7언 4구로 된 한문의 정형시다. 그러나 ‘게’ 자가 붙지 않은 <개계>·<유치 由致>·<청사 請詞> 등은 시가 아니라 한문으로 쓰인 산문이다. 그리고 <보소청진언(普召請眞言)>·<보공양진언(普供養眞言)> 등 진언이라 한 것은 한문 사설이 아니라 범어(梵語), 즉 산스크리트어(Sanskrit:고대 인도어)로 되어 있다.<ref>한만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2601 범패]",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시왕각배재==== | + | ====시왕각배재(十王各拜齋)==== |
− | 일명 대례왕공문(大禮王供文)이라고도 하며, 상주권공재보다는 약간 규모가 크다. 주로 재수를 위하여 드리는 의식으로 저승에 있다는 | + | 일명 대례왕공문(大禮王供文)이라고도 하며, 상주권공재보다는 약간 규모가 크다. 주로 재수를 위하여 드리는 의식으로 저승에 있다는 십대왕(十大王)에게 자비를 비는 것이다. |
− | 시왕이란 진광대왕(秦廣大王)·초강대왕(初江大王)·송제대왕(宋帝大王)·오관대왕(五官大王)·염라대왕(閻羅大王)·변성대왕(變成大王)·태산대왕(泰山大王)·평등대왕(平等大王)·도시대왕(都市大王)·오도전륜대왕(五道轉輪大王)을 가리킨다. | + | 시왕이란 진광대왕(秦廣大王)·초강대왕(初江大王)·송제대왕(宋帝大王)·오관대왕(五官大王)·염라대왕(閻羅大王)·변성대왕(變成大王)·태산대왕(泰山大王)·평등대왕(平等大王)·도시대왕(都市大王)·오도전륜대왕(五道轉輪大王)을 가리킨다.<ref>한만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2601 범패]",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생전예수재(生前豫修齋)==== | ||
+ | 죽어서 극락왕생하게 해 달라고 생전에 미리 지내는 재다. 무속의 생(生)오귀굿에 해당한다.<ref>한만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2601 범패]",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 ====수륙재(水陸齋)==== |
− | + | 수중고혼을 위한 재로, 무속의 용왕굿과 비교된다. 그러나 수륙재의 원래 의미는 반드시 수중고 1혼만을 위한 것은 아니었다고 한다. | |
+ | 규모가 큰 수륙재는 처음에 절에서 영산재를 행하고, 나중에 강이나 바다로 나가서 수륙재를 행한다. 영산재만 하더라도 사흘이나 걸릴 만큼 규모가 무척 큰 재다. | ||
+ | 그러나 요즘에는 영산재를 생략하고 처음부터 강이나 바다에 나가 배를 띄워놓고 수륙재만을 거행하는 것이 상례다. | ||
+ | 수륙재의 절차는 서찬편·상단(上壇)·사자단(使者壇)·오로단(五路壇)·상단(上壇)·중단(中壇)·하단(下壇)·회향단의 순인데, 각 단마다 수십 개씩의 소리로 되어 있다. 방생재(放生齋)는 하단의 끝부분에 속하는 절차로, 강이나 바다에 배를 띄워놓고 하는 규모가 큰 방생재를 할 경우 회향단을 생략하고 끝마친다.<ref>한만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2601 범패]",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 ====영산재(靈山齋)==== |
− | + | 가장 규모가 큰 재로 사흘이나 걸리는데, 국가의 안녕과 군인들의 무운장구(武運長久) 또는 큰 단체를 위해서, 또는 죽은 자를 위해서도 행한다. 범패승들은 처음에 상주권공을 배우고 각배(各拜)를 배운 다음 마지막으로 이 영산재를 배우게 된다. | |
− | 규모가 큰 | + | 예로부터 ‘1일 권공 3일 영산’이라 하여 영산재는 올리는 데 사흘이나 걸리는 대규모의 재인만큼 그 절차도 상당히 복잡하다. 1968년 5월 13일부터 16일까지 봉원사에서 행한 영산재에서는 142곡이나 불렀다.<ref>한만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2601 범패]",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 | === | + | ===오늘날의 범패=== |
− | + | 범패는 불교 의식에 수반되는 것이라 사설내용을 묘사하지 않는다. 심산유곡에서 들려오는 범종의 소리 같아서 파도를 그리는 듯 들리고 유현청화(幽玄淸和)하여 의젓하고 그윽한 맛이 있으며, 장인굴곡(長引屈曲)하여 유장하고 심오한 맛이 있다. | |
− | + | 오늘날에는 모든 의식을 간소화하는 추세라, 며칠씩 걸리던 재가 단 몇십 분으로 단축되니 범패는 점점 없어져 가고, 재를 행할 때 안차비 소리만을 사용하는 경우가 늘었다. | |
+ | 1973년 범패가 중요 무형문화재 제50호로 지정되었고, 1987년 영산재(靈山齋)로 명칭이 바뀌었다. 예능 보유자로는 박희덕(朴喜德:범패), 장태남(張泰男:범패). 이재호(李在浩:작법무) 등이 있다.<ref>한만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2601 범패]",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
51번째 줄: | 55번째 줄: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범패]] || [[혜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 |- | ||
|} | |}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 | === | + | ===영상=== |
+ | *gugakTV, "[https://www.youtube.com/watch?v=L_ZZ1ZCXZBs 악학궤범 - 범패]", Youtube, 게시일: 2015. 1. 9. | ||
+ | <html> | ||
+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L_ZZ1ZCXZBs"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sorifestival, "[https://www.youtube.com/watch?v=bewDIc-DAVs (공연영상) 2013 전주세계소리축제_범패_공연영상]", Youtube, 게시일: 2013. 12. 9. | ||
+ | <html> | ||
+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bewDIc-DAVs"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주석'''== | =='''주석'''== | ||
61번째 줄: | 76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 | + | *한만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2601 범패]",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승탑비문 Top icon}} | {{승탑비문 Top icon}} |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개념]] [[분류:승탑/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개념]] [[분류:승탑/교열완료!]] |
2017년 11월 6일 (월) 00:24 기준 최신판
범패 (塔碑) |
|
대표명칭 | 범패 |
---|---|
한자표기 | 塔碑 |
목차
정의
불교의 의식 음악. 일명 범음(梵音)·어산(魚山) 또는 인도(印度, 引導) 소리라고도 한다.[1]
내용
기원
범패의 기원에 대해서는 영산회상 기원설, 묘음보살(妙音菩薩)의 음악공양설, 중국 조식(曺植)창작설 등이 있고, 그 전승에 대하여 오(吳)의 지겸(支謙)이 범패삼계(梵唄三契)를 짓고, 강승회(康僧會)가 니항범패(泥恒梵唄)를 만들어 강남에 범패성명(梵唄聲明)을 크게 유생시켰다.[2]
보통 우리 나라의 범패는 신라의 진감선사(眞鑑禪師)에서 비롯된 것으로 되어 있다. 진감선사는 하동 쌍계사(雙磎寺)의 진감선사대공탑비문(眞鑑禪師大空塔碑文)에 따르면 804년(애장왕 5) 재공사(才貢使)로 당나라에 갔다가 830년(흥덕왕 5)에 귀국한 뒤, 옥천사(玉泉寺), 즉 쌍계사에서 수많은 제자들에게 범패를 가르쳤다.[3]
의식에 따른 구분
범패는 주로 상주권공재(常住勸供齋)·시왕각배재(十王各拜齋)·생전예수재(生前豫修齋)·수륙재(水陸齋)·영산재(靈山齋) 등 다섯 가지 재에 쓰인다.[4]
상주권공재(常住勸供齋)
죽은 자를 위해 행하며 보통 하루가 걸린다. 가장 규모가 작은 재로 49재나 소상(小祥)·대상(大祥) 때 흔히 이 재를 행한다. 무속의 진오귀굿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범패승이 처음 소리를 배울 때에는 가장 기본이 되는 이 상주권공부터 배우게 되는데, <할향(喝香)>부터 시작하여 <합장게(合掌偈)>·<개계(開啓)>·<쇄수게(灑水偈)>·<복청게(伏請偈)>·<사방찬(四方讚)>·<도량게(道場偈)>·<참회게(懺悔偈)>·<헌좌게(獻座偈)>·<가영(歌詠)>·<등게(燈偈)>의 순으로 배운다. 이 곡목 중 끝에 ‘게(偈)’ 자로 된 곡의 사설은 한문의 4·5언 또는 7언 4구로 된 한문의 정형시다. 그러나 ‘게’ 자가 붙지 않은 <개계>·<유치 由致>·<청사 請詞> 등은 시가 아니라 한문으로 쓰인 산문이다. 그리고 <보소청진언(普召請眞言)>·<보공양진언(普供養眞言)> 등 진언이라 한 것은 한문 사설이 아니라 범어(梵語), 즉 산스크리트어(Sanskrit:고대 인도어)로 되어 있다.[5]
시왕각배재(十王各拜齋)
일명 대례왕공문(大禮王供文)이라고도 하며, 상주권공재보다는 약간 규모가 크다. 주로 재수를 위하여 드리는 의식으로 저승에 있다는 십대왕(十大王)에게 자비를 비는 것이다. 시왕이란 진광대왕(秦廣大王)·초강대왕(初江大王)·송제대왕(宋帝大王)·오관대왕(五官大王)·염라대왕(閻羅大王)·변성대왕(變成大王)·태산대왕(泰山大王)·평등대왕(平等大王)·도시대왕(都市大王)·오도전륜대왕(五道轉輪大王)을 가리킨다.[6]
생전예수재(生前豫修齋)
죽어서 극락왕생하게 해 달라고 생전에 미리 지내는 재다. 무속의 생(生)오귀굿에 해당한다.[7]
수륙재(水陸齋)
수중고혼을 위한 재로, 무속의 용왕굿과 비교된다. 그러나 수륙재의 원래 의미는 반드시 수중고 1혼만을 위한 것은 아니었다고 한다. 규모가 큰 수륙재는 처음에 절에서 영산재를 행하고, 나중에 강이나 바다로 나가서 수륙재를 행한다. 영산재만 하더라도 사흘이나 걸릴 만큼 규모가 무척 큰 재다. 그러나 요즘에는 영산재를 생략하고 처음부터 강이나 바다에 나가 배를 띄워놓고 수륙재만을 거행하는 것이 상례다. 수륙재의 절차는 서찬편·상단(上壇)·사자단(使者壇)·오로단(五路壇)·상단(上壇)·중단(中壇)·하단(下壇)·회향단의 순인데, 각 단마다 수십 개씩의 소리로 되어 있다. 방생재(放生齋)는 하단의 끝부분에 속하는 절차로, 강이나 바다에 배를 띄워놓고 하는 규모가 큰 방생재를 할 경우 회향단을 생략하고 끝마친다.[8]
영산재(靈山齋)
가장 규모가 큰 재로 사흘이나 걸리는데, 국가의 안녕과 군인들의 무운장구(武運長久) 또는 큰 단체를 위해서, 또는 죽은 자를 위해서도 행한다. 범패승들은 처음에 상주권공을 배우고 각배(各拜)를 배운 다음 마지막으로 이 영산재를 배우게 된다. 예로부터 ‘1일 권공 3일 영산’이라 하여 영산재는 올리는 데 사흘이나 걸리는 대규모의 재인만큼 그 절차도 상당히 복잡하다. 1968년 5월 13일부터 16일까지 봉원사에서 행한 영산재에서는 142곡이나 불렀다.[9]
오늘날의 범패
범패는 불교 의식에 수반되는 것이라 사설내용을 묘사하지 않는다. 심산유곡에서 들려오는 범종의 소리 같아서 파도를 그리는 듯 들리고 유현청화(幽玄淸和)하여 의젓하고 그윽한 맛이 있으며, 장인굴곡(長引屈曲)하여 유장하고 심오한 맛이 있다. 오늘날에는 모든 의식을 간소화하는 추세라, 며칠씩 걸리던 재가 단 몇십 분으로 단축되니 범패는 점점 없어져 가고, 재를 행할 때 안차비 소리만을 사용하는 경우가 늘었다. 1973년 범패가 중요 무형문화재 제50호로 지정되었고, 1987년 영산재(靈山齋)로 명칭이 바뀌었다. 예능 보유자로는 박희덕(朴喜德:범패), 장태남(張泰男:범패). 이재호(李在浩:작법무) 등이 있다.[10]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범패 | 혜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시각자료
영상
- gugakTV, "악학궤범 - 범패", Youtube, 게시일: 2015. 1. 9.
- sorifestival, "(공연영상) 2013 전주세계소리축제_범패_공연영상", Youtube, 게시일: 2013. 12. 9.
주석
- ↑ 한만영, "범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범패소개, 불교음악연구소.
- ↑ 한만영, "범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한만영, "범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한만영, "범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한만영, "범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한만영, "범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한만영, "범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한만영, "범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한만영, "범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한만영, "범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