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7번째 줄: | 7번째 줄: | ||
|이칭= | |이칭= | ||
|유형= 의례 | |유형= 의례 | ||
− | |관련개념= [[길례]] | + | |관련개념= [[길례]], [[제례]] |
}} | }} | ||
=='''정의'''== | =='''정의'''== | ||
− | [[제례]]를 드리는 | + | 조선시대 [[제례]]를 드리는 의식을 시작하기 전에 [[왕]]과 [[왕세자]]를 비롯한 [[백관]]들이 정해진 자리에 서는 절차이다.<ref>문화재청, 『종묘대제』, 문화재청, 2010, 18쪽.</ref> |
=='''내용'''== | =='''내용'''== | ||
− | [[초헌관]]인 [[왕]], [[왕세자]] 등이 | + | [[초헌관]]인 [[왕]], [[왕세자]] 등이 소차(小次)에서 나와 절하는 자리로 이동하면, [[집사|집사(執事)]]들은 국궁사배(鞠躬四拜)한다. 제사를 지내기 위해 몸과 마음을 정결히 하는 관세(盥洗, 손을 씻음)를 하고 각자의 자리로 가서 선다. 현재 행해지는 [[종묘]] [[제례]]에서는 [[왕]]을 대신한 [[초헌관|초헌관(初獻官)]]이 소차에서 나온다.<ref>"[http://www.jongmyo.net/sub/process/pro_outline.asp 종묘제례 절차]", <html><online style="color:purple">『종묘대제』<sup>online</sup></online></html>, 종묘대제.</ref>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 !항목A!!항목B!!관계 |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왕]] || 취위 || A는 B를 거행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 [[왕]] || 취위 || A는 B를 거행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
|- | |- | ||
| [[왕세자]] || 취위 || A는 B를 참여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 [[왕세자]] || 취위 || A는 B를 참여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
+ | |- | ||
+ | | [[종친]] || 취위 || A는 B를 참여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
|- | |- | ||
| [[백관]] || 취위 || A는 B를 참여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 [[백관]] || 취위 || A는 B를 참여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
33번째 줄: | 35번째 줄: | ||
===시간정보=== | ===시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style="width:20%px"|시간!!style="width:80%px"|내용 | ||
+ | |- | ||
+ | | 1706년 || [[종묘의궤]]가 편찬되었다 | ||
+ | |} | ||
+ | |||
===공간정보=== | ===공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 ||
+ | | 37.574550 || 126.994100|| 종묘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훈정동 1-2에 위치한다 | ||
+ | |}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갤러리=== | ===갤러리===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300px>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300px> | ||
− | 파일:궁중기록화 개념 의례 제례 취위01 종묘대제.jpg | 손을 씻는 의례를 거행하는 백관.<ref>[http://www.jongmyo.net/ | + | 파일:궁중기록화 개념 의례 제례 취위01 종묘대제.jpg | 손을 씻는 의례를 거행하는 백관.<ref>"[http://www.jongmyo.net/sub/process/pro_outline.asp 종묘제례]", <html><online style="color:purple">『종묘대제』<sup>online</sup></online></html>, 종묘대제.</ref> |
</gallery> | </gallery> | ||
− | |||
=='''주석'''== | =='''주석'''== |
2017년 11월 4일 (토) 14:26 기준 최신판
취위 (就位) |
|
대표명칭 | 취위 |
---|---|
한자표기 | 就位 |
유형 | 의례 |
관련개념 | 길례, 제례 |
정의
조선시대 제례를 드리는 의식을 시작하기 전에 왕과 왕세자를 비롯한 백관들이 정해진 자리에 서는 절차이다.[1]
내용
초헌관인 왕, 왕세자 등이 소차(小次)에서 나와 절하는 자리로 이동하면, 집사(執事)들은 국궁사배(鞠躬四拜)한다. 제사를 지내기 위해 몸과 마음을 정결히 하는 관세(盥洗, 손을 씻음)를 하고 각자의 자리로 가서 선다. 현재 행해지는 종묘 제례에서는 왕을 대신한 초헌관(初獻官)이 소차에서 나온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왕 | 취위 | A는 B를 거행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왕세자 | 취위 | A는 B를 참여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종친 | 취위 | A는 B를 참여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백관 | 취위 | A는 B를 참여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제례 | 취위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취위 | 재계 | A는 순서상 B의 뒤이다 | A edm:isNextInSequence B |
시간정보
시간 | 내용 |
---|---|
1706년 | 종묘의궤가 편찬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74550 | 126.994100 | 종묘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훈정동 1-2에 위치한다 |
시각자료
갤러리
손을 씻는 의례를 거행하는 백관.[3]
주석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國朝五禮儀』
- 『世宗實錄五禮儀』
- 김문식ㆍ김지영 외 4명, 『왕실의 천지제사』, 돌베개, 2011.
- 김문식ㆍ송지원, 「국가제례의 변천과 복원」, 『서울 20세기 생활ㆍ문화변천사』, 서울시정개발원, 2001.
- 이욱, 「근대 국가의 모색과 국가의례의 변화-1894~1908년 국가 제사의 변화를 중심으로」, 『정신문화연구』 95, 한국학중앙연구원, 2004.
- 이욱, 「조선전기 유교국가의 성립과 국가제사의 변화」, 『한국사연구』 118, 한국사연구회,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