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섭 초상(관복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관계정보) |
|||
34번째 줄: | 34번째 줄: | ||
| [[권섭 초상(관복본)]] || [[초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 [[권섭 초상(관복본)]] || [[초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
|- | |- | ||
− | | [[권섭 초상(관복본)]] || [[ | + | | [[권섭 초상(관복본)]] || [[권섭]]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 ||
| [[권섭 초상(관복본)]] || [[호병]]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권섭 초상(관복본)]] || [[호병]]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40번째 줄: | 40번째 줄: | ||
| [[권섭 초상(관복본)]] || [[제천 문암영당]]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권섭 초상(관복본)]] || [[제천 문암영당]]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 | |||
+ | |||
| [[조경일록]] || [[김육 초상(전신상)]]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조경일록]] || [[김육 초상(전신상)]]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 |- | ||
62번째 줄: | 65번째 줄: | ||
− | | [[좌안팔분면]] || [[ | + | | [[좌안팔분면]] || [[권섭 초상(관복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심의]] || [[ | + | | [[심의]] || [[권섭 초상(관복본)]]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 |- | ||
− | | [[드림]] || [[ | + | | [[드림]] || [[권섭 초상(관복본)]]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 |- | ||
− | | [[관모]] || [[ | + | | [[관모]] || [[권섭 초상(관복본)]]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 |- | ||
− | | [[직령]] || [[ | + | | [[직령]] || [[권섭 초상(관복본)]]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 |- | ||
− | | [[세조대]] || [[ | + | | [[세조대]] || [[권섭 초상(관복본)]]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 |- | ||
|} | |} |
2017년 10월 30일 (월) 02:27 판
권섭 초상(관복본) | |
한자명칭 | 權燮 肖像 |
---|---|
작가 | 진응회 |
제작시기 | 1734년 |
소장처 | 제천 문암영당 |
유형 | 초상 |
크기(세로×가로) | 65.0×46.5㎝ |
목차
정의
조선시대 문인 권섭(1671~1759)의 모습을 그린 초상.
내용
초상의 제작 및 보관
<권섭 초상>은 좌안팔분면의 반신상으로 화면 위쪽에 “백취옹 육십사세 초상(百趣翁六十四歲眞)”이라는 제기가 있어 1734년(영조 10)에 그려진 초상화임을 알 수 있다. 그림 속 권섭의 좌우의 글씨는 권섭의 자술(自述)을 이원태(李元泰)가 쓴 것으로 노년의 심회를 담담하게 밝히고 있으며 이외에 진응회(秦應會)가 그렸다는 내용이 있어 화가를 알 수 있다.[1]
심의에 드림이 부착된 특이한 모양의 관모를 쓰고 있는 모습으로 18세기 초상화에서 보기 드문 양식의 그림이고 진응회라는 화가의 초상화법을 살필 수 있어 주목되는 작품이다.
초상에 묘사된 모습
<권섭 초상>은 익선관과 비슷한 형태에 푸른색의 자락이 뒤로 늘어지는 특이한 관모를 착용하고, 곧은 깃의 흰색 직령포에 검은 색 세조대를 묶은 모습이다.
얼굴은 갈색 선으로 얼굴의 윤곽, 주름 등을 그리고, 눈 주변과 팔자주름, 뺨 부분에는 잔붓질을 가하여 오목 들어간 느낌이 들도록 입체감을 부여하고 마른 안모의 느낌을 강조하였다. 양쪽 눈의 흰자위 안쪽에 붉은 기운이 두드러지고 검고 흰 수염은 한 올 한 올 세밀하게 표현하였다.[2]
권섭의 얼굴은 마르고 얼굴색이 유난히 붉은 모습으로 이마, 눈가 등에 주름이 아주 많은 모습이다. 특이한 형태의 관모는 백취옹이라는 호에 걸맞게 새로운 형태의 모자를 써본 듯하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권섭 초상(관복본) | 초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권섭 초상(관복본) | 권섭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권섭 초상(관복본) | 호병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권섭 초상(관복본) | 제천 문암영당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조경일록 | 김육 초상(전신상)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조경일록 | 김육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권섭 초상(관복본) | 조선 숙종의 김육 초상(전신상) 어제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조선 숙종의 김육 초상(전신상) 어제찬 | 조선 숙종 | A는 B에 의해 지어졌다 | A dcterms:creator B |
송하한유도 | 김육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송하한유도 | 호병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송하한유도 | 실학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송하한유도 | 조선 영조의 송하한유도 어제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조선 영조의 송하한유도 어제찬 | 조선 영조 | A는 B에 의해 지어졌다 | A dcterms:creator B |
조선 영조의 송하한유도 어제찬 | 조선 숙종의 김육 초상(전신상) 어제찬 | A는 B에서 차운되었다 | A dcterms:references B |
좌안팔분면 | 권섭 초상(관복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심의 | 권섭 초상(관복본)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드림 | 권섭 초상(관복본)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관모 | 권섭 초상(관복본)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직령 | 권섭 초상(관복본)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세조대 | 권섭 초상(관복본)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160470 | 127.3006060 | 권섭 초상(관복본)은 제천 문암영당에 소장되어 있다. |
시각자료
주석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 "김육 초상",
『Google Arts & Culture』online , Google.
더 읽을거리
- 전시도록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 논문
- 정은주, 『조선시대 명청사행 관련 회화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미술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