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육 초상(전신상)
김육 초상(전신상) | |
한자명칭 | 金堉 肖像 |
---|---|
작가 | 호병 |
제작시기 | 1637년 추정 |
소장처 | 실학박물관 |
유형 | 초상 |
크기(세로×가로) | 272×119.5㎝ |
목차
정의
중국인 화원 호병이 조선시대 문신인 김육(1580∼1658)의 모습을 초상.
내용
초상의 제작 및 보관
1636년 동지성절천추진하사(冬至聖節千秋進賀使)로 명에 사행을 갔을 때, 중국화가 호병(胡炳)을 통해 제작한 것으로, 그의 58세 초상으로 추정된다. 녹색 단령을 입고 있는 전신상이다. 이 작품에 대한 기록은 김육의 사행일기인 『조경일록(朝京日錄)』에서 찾을 수 있는데 김육이 북경에 있을 때, 1637년 3월 13일 중국인 화가 호병이 김육의 초상을 그려 4월 11일에 완성본을 가져왔으며, 4월 15일에는 김육의 소진(小眞)을 그려왔다고 하는데 4월 11일에 완성했다는 초상이 이 <김육 초상>으로 보인다.[1]
우측 상단에는 <영의정잠곡김문정공화상(領議政潛谷金文貞公畵像)>이라는 표제와 숙종의 어제찬이 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숙종대왕 어제찬, 야윈 얼굴과 백발은 바라보니 신선 풍격이로다. 그 상은 누구인가, 잠곡 상공이로세. 대현의 후손으로 집안에 충효 전하고 엄숙한 태도로 의정을 맡아 몸 바쳐 일했으니 한결같은 마음으로 나라에 봉사하여 신명이 통할만하다. 아, 선현이여, 소자 흠앙하옵니다. 肅宗大王 御製贊. 蒼顔鶴髮, 望如仙風, 厥像伊誰, 潛谷相公, 大賢之後, 傳家孝忠, 正色廊廟, 盡瘁鞠躬, 一心體國, 神明可通, 於乎先正, 小子欽崇. |
||
출처: 실학박물관. 『청풍김씨 김육가문 기증자료 보고서』, 실학박물관, 2014. 22쪽.[2] |
실학박물관에는 호병이 그린 또 다른 김육의 초상화가 소장되어 있는데 그 형식이 독특하다. 표제가 <잠곡김문정공소상(潛谷文貞公小像)>인 이 그림은 소나무 아래 와룡관에 학창의를 입고 서있는 형식으로, 일명 '송하한유도(松下閒遊圖)'로도 불리고 있다.
화면 좌측상단에 ‘화학행인(龢鶴行人)’과 함께 ‘호병지인(胡炳之印)’이라는 백문방인이 선명하게 찍혀 있어 그림을 그린이가 호병임을 알 수 있다. 화면 우측 상단에는 영조가 1751년 2월 3일에 쓴 어제찬이 있다. 김육의 전신상에 쓴 숙종의 어제찬을 따라 영조가 차운한 것이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윤건 쓰고 학창의 입고 솔바람 의지하고 서있으니 이 누구의 상인가? 잠곡 김공이로세. 과거 대신으로 나라 위해 충성하였으니 옛사람의 뜻을 본받아 혼신으로 직분을 다하였네. 대동법을 모획한 것 신통하다 할 만하니, 아, 후손들은 백세도록 숭앙하네. 綸巾鶴氅 倚立松風, 是誰之像 潛谷金公, 效古人義 竭心鞠躬, 大同謀畵 可謂神通, 吁嗟小子 百載欽崇. |
||
출처: 실학박물관. 『청풍김씨 김육가문 기증자료 보고서』, 실학박물관, 2014. 17쪽.[3] |
김육의 두 초상화는 조선의 인물을 중국인 화가가 그린 특별한 예이다. 전신상의 정면관과 의자에 깐 호피 등은 이후 조선의 초상화 형식에도 영향을 주었다. 송하한유도는 독특한 형식의 야외초상화의 한 예로 주목되는 작품이다.
초상에 묘사된 모습
녹색 단령에 사모를 착용한 정면관의 전신교의좌상이다. 화면의 우측 상단에 <영의정잠곡김문정공화상(領議政潛谷金文貞公畵像)> 표제가 있다. 복식은 녹색 단령에 운학문 흉배가 넓고 금대를 허리에 둘렀다. 고대가 높고 많이 패지 않은 넓은 깃의 단령과 풍성한 옷 주름은 조선중기 초상화에서 보이는 인위적인 각이 없고 자연스럽게 표현되었다.[4]
얼굴은 이목구비의 비례가 잘 맞고 과장된 느낌이 거의 없다. 특히 마마로 얽은 흉터가 사실적으로 묘사되어있고 흰 수염이 특징적인 모습이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김육 초상(전신상) | 초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김육 초상(전신상) | 김육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김육 초상(전신상) | 호병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김육 초상(전신상) | 실학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조경일록 | 김육 초상(전신상)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조경일록 | 김육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김육 초상(전신상) | 조선 숙종의 김육 초상(전신상) 어제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조선 숙종의 김육 초상(전신상) 어제찬 | 조선 숙종 | A는 B에 의해 지어졌다 | A dcterms:creator B |
송하한유도 | 김육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송하한유도 | 호병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송하한유도 | 실학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송하한유도 | 조선 영조의 송하한유도 어제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조선 영조의 송하한유도 어제찬 | 조선 영조 | A는 B에 의해 지어졌다 | A dcterms:creator B |
조선 영조의 송하한유도 어제찬 | 조선 숙종의 김육 초상(전신상) 어제찬 | A는 B에서 차운되었다 | A dcterms:references B |
정면관 | 김육 초상(전신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단령 | 김육 초상(전신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사모 | 김육 초상(전신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흉배 | 김육 초상(전신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금대 | 김육 초상(전신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160470 | 127.3006060 | 김육 초상(전신상)은 실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정은주, 「赴京使行에서 제작된 朝鮮使臣의 肖像」, 『명청사연구』 제33집, 명청사학회, 2010, 24쪽.
- ↑ 실학박물관. 『청풍김씨 김육가문 기증자료 보고서』, 실학박물관, 2014. 22쪽.
- ↑ 실학박물관. 『청풍김씨 김육가문 기증자료 보고서』, 실학박물관, 2014. 17쪽.
- ↑ 정은주, 「赴京使行에서 제작된 朝鮮使臣의 肖像」, 『명청사연구』 제33집, 명청사학회, 2010, 25쪽.
- ↑ 중고세탁기, "한국 역사인물들의 초상화 모음 - "역사인물 초상화 대사전" 중에서",
『네이버 블로그 - 이것저것 잡동사니창고』online , 작성일: 2017년 01월 03일. - ↑ 배한철, "'냉철한 두뇌와 뜨거운 가슴'의 소유자", 라이프,
『중앙시사매거진』online , 작성일: 2016년 10월 26일. - ↑ 배한철, "'냉철한 두뇌와 뜨거운 가슴'의 소유자", 라이프,
『중앙시사매거진』online , 작성일: 2016년 10월 26일. - ↑ 중고세탁기, "한국 역사인물들의 초상화 모음 - "역사인물 초상화 대사전" 중에서",
『네이버 블로그 - 이것저것 잡동사니창고』online , 작성일: 2017년 01월 03일.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 "김육 초상",
『Google Arts & Culture』online , Google.
더 읽을거리
- 전시도록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 논문
- 정은주, 『조선시대 명청사행 관련 회화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미술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