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핍"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물품정보 |사진= 궁중기록화_물품_핍_대사례의궤_규장각.jpg |사진출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6번째 줄: 6번째 줄:
 
|한자표기= 乏
 
|한자표기= 乏
 
|영문명칭=
 
|영문명칭=
|이칭=
+
|이칭= 살가림
 
|유형= 의례 물품
 
|유형= 의례 물품
 
|시대= 조선
 
|시대= 조선
18번째 줄: 18번째 줄:
  
 
=='''정의'''==
 
=='''정의'''==
 
+
조선시대 왕실 의례인 군례의 [[대사례]]에서 과녁의 좌우에 설치되는 화살막이판이다.
  
 
=='''내용'''==
 
=='''내용'''==
 
+
가로세로 7척으로, 세 폭 병풍을 펼친 것과 같은 모양이다.<br/>
 +
가죽으로 제작되었다.<br/>
 +
[[웅후|웅후(熊侯)]] 또는 [[미후|미후(麋侯)]]의 동·서쪽 10보 거리에 각각 설치하였으며 그 안에 획자(獲者)들이 들어가 화살의 명중 여부와 발사된 화살을 주웠다. 획자의 임무는 발사된 화살을 줍고 명중 여부를 확인한다.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28번째 줄: 30번째 줄: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핍(乏) || [[@@|@@(@@)]] ||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 A ekc:goesWith B
+
| 핍(乏) || [[대사례의|대사례의(大射禮儀)]] || A는 B에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
 +
| [[대사례|대사례(大射禮)]] || [[대사례의|대사례의(大射禮儀)]]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핍(乏) || [[대사례의궤|『대사례의궤(大射禮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핍(乏) || [[대사례의궤|『대사례의궤(大射禮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핍(乏) || [[대사례|대사례(大射禮)]] || A는 B에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
  
48번째 줄: 50번째 줄:
 
* 『대사례의궤(大射禮儀軌)』
 
* 『대사례의궤(大射禮儀軌)』
 
* 국립민속박물관, 『조선시대 대사례와 향사례』, 국립민속박물관, 2009.
 
* 국립민속박물관, 『조선시대 대사례와 향사례』, 국립민속박물관, 2009.
* 박봉주,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0009&category=A&sWord=%EA%B0%80%EC%9D%B4 핍(乏)]",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sup>online</sup></online></html>,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 허태구,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1512&category=A&sWord=핍(乏)]",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sup>online</sup></online></html>,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더 읽을거리===
 
===더 읽을거리===

2017년 10월 28일 (토) 19:09 기준 최신판


핍(乏)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대표명칭
한자표기
이칭 살가림
유형 의례 물품
시대 조선
용도 군례(軍禮)-대사례(大射禮)에 사용
관련장소 성균관(成均館)



정의

조선시대 왕실 의례인 군례의 대사례에서 과녁의 좌우에 설치되는 화살막이판이다.

내용

가로세로 7척으로, 세 폭 병풍을 펼친 것과 같은 모양이다.
가죽으로 제작되었다.
웅후(熊侯) 또는 미후(麋侯)의 동·서쪽 10보 거리에 각각 설치하였으며 그 안에 획자(獲者)들이 들어가 화살의 명중 여부와 발사된 화살을 주웠다. 획자의 임무는 발사된 화살을 줍고 명중 여부를 확인한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핍(乏) 대사례의(大射禮儀)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대사례(大射禮) 대사례의(大射禮儀)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핍(乏) 『대사례의궤(大射禮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대사례의궤(大射禮儀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대사례의궤(大射禮儀軌)』
  • 국립민속박물관, 『조선시대 대사례와 향사례』, 국립민속박물관, 2009.
  • 허태구, "핍(乏)",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online,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더 읽을거리

  • 김경미, 「조선시대 군례 의식의 복식 분석과 장면의 재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박종배, 「조선시대 성균관 대사례의 시행과 그 의의」, 『교육사학연구』제13호, 교육사학회, 2003, 33~58쪽.
  • 신병주, 「영조대 대사례의 실시와 『대사례의궤』」, 『한국학보』제28호, 일지사, 2002, 61~90쪽.
  • 이찬우, 「조선시대 활쏘기 의식 : 18세기 영ㆍ정조 시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이왕무, 「조선전기 군례의 정비와 사례의 의례화」, 『동양고전연구』제54호, 동양고전학회, 2014, 319~348쪽.
  • 최규순, 「반지(扳指)와 깍지(角指)」, 『문헌과 해석』제42호, 태학사, 2008, 83~9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