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창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궁중기록화관 Top icon}}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복식정보
 
{{복식정보
|사진=  
+
|사진= 궁중기록화 복식 창의01 이진숭 민속박물관.jpg
|사진출처=  
+
|사진출처=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
 
|대표명칭= 창의
 
|대표명칭= 창의
 
|한자표기= 氅衣
 
|한자표기= 氅衣
 
|이칭별칭= 대창의(大昌衣)
 
|이칭별칭= 대창의(大昌衣)
 
|구분= 의복
 
|구분= 의복
|착용신분= [[왕]], [[왕세자]], [[왕세손]], [[문무백관]]
+
|착용신분= [[왕]], [[왕세자]], [[백관]]
 
|착용성별= 남성
 
|착용성별= 남성
 
}}
 
}}
  
==정의==
+
=='''정의'''==
창의는 '대창의(大昌衣)'라고도 하는데 왕 이하 사대부의 평상시 입었던 옷이며<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77쪽.</ref> 도포 및 관복의 받침옷이다.
+
조선시대 [[왕]], [[왕세자]]등 왕실 남성들과 사대부의 상복(常服)으로, [[백관의 조복]]이나 [[단령]], [[도포]]의 받침옷으로 입던 포() 종류의 옷이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77쪽.</ref>
  
==내용==
+
=='''내용'''==
===복식구성===
+
'대창의(大昌衣)'라고도 한다. [[왕]], [[왕세자]], [[왕세손]], [[백관]] 등이 평상복으로 착용하였으며, [[도포]]와 같이 [[백관의 조복]]과 [[백관의 제복|제복]], [[단령]]이나 [[도포]] 등의 받침 옷으로도 착용하였다. 외출할 때는 [[갓]]을 쓰고 [[세조대]]를 띤다. 깃은 곧고 소매가 넓으며 길 양옆에 큰 삼각무가 달린 옷으로, 뒷중심선 허리 아래로 긴 트임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앞모습으로만 보면 [[직령]]과 [[도포]]의 형태가 같아 구별하기 어렵다. [[창의]]는 조선 말기인 1884년(고종 21) [[갑신의제개혁]]을 통해 넓은 소매 의복을 폐지하면서 소매가 넓은 다른 포 종류들과 함께 착용이 금지되었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77쪽.</ref>
===착용신분===
 
[[왕]], [[왕세자]], [[왕세손]], [[문무백관]] 등이 착용한다.
 
  
===착용상황===
+
=='''지식 관계망'''==
평상복[편복]으로 착용하였는데, [[도포]]나 백관의 [[조복]]과 [[제복]], [[단령]] 등의 관복 받침용으로도 착용하였다. 외출할 때는 [[갓]]을 쓰고 [[세조대]]를 띤다.
 
 
 
===형태===
 
깃은 곧고 소매가 넓으며 길 양옆에는 넓은 삼각무가 달려 있어 고크 풍성한 옷이며, 뒤트임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77쪽.</ref>
 
 
 
===기타<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248쪽.</ref>===
 
문헌기록으로 조재삼(1808~1866년)의 『송남잡지(松南雜識』(1855년)에는 창의의 기원과 뒤트임에 대해 간략히 언급하고 있는데 "장복(章服)의 받침옷으로 입는 창의는 도포의 뒷자락을 제거하여 만들어진 것"이라 하였다. 그런데 학식이 있는 사람들은 "뒤가 트여져 북쪽이 허약해짐을 우려했는데 때를 맞추어 병자호란이 일어났다."고 하였다.<br/>
 
창의는 조선 말기인 1884년(고종 21) 의복제도 개혁을 통해 넓은 소매 의복을 폐지하면서 다른 소매 넓은 포류들과 같이 착용이 금지되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항목A!!항목B!!관계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PAGENAME}}''' || [[]]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백관]] || 창의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PAGENAME}}''' || [[왕세자]] || A는 B를 착용하였다
+
|[[백관의 조복]] || 창의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 '''{{PAGENAME}}''' || [[왕세손]] || A는 B를 착용하였다
+
|[[백관의 제복]] || 창의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PAGENAME}}'''  || [[]] || A는 B에 착용한다
+
|[[백관의 편복]] || 창의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PAGENAME}}'''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 창의 || [[도포]]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
| 창의 || [[단령]]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
| 창의 || [[]]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시간정보===
 
===시간정보===
48번째 줄: 40번째 줄:
 
===공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
=='''시각자료'''==
 
===갤러리===
 
===갤러리===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창의05 남오성 민속박물관.jpg| 남오성(南五星, 1643~1712)묘 출토 직령 앞면.<ref>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ref>
 +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창의02 이진숭 민속박물관.jpg| 이진숭(李鎭嵩, 1702~1756)묘 출토 직령 뒷면.<ref>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ref>
 +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창의03 신광헌 민속박물관.jpg| 신광헌(申光憲, 1731~1784)묘 출토 직령 앞면.<ref>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ref>
 +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창의04 신광헌 민속박물관.jpg| 신광헌(申光憲, 1731~1784)묘 출토 직령 뒷면.<ref>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ref>
 
</gallery>
 
</gallery>
  
 
===영상===
 
===영상===
  
==주석==
+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참고문헌==
+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더 읽을거리===
+
* 권은영, 「배천조출토복식 袍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
* 梁仁愛, 「女子 袍에 관한 硏究-우리나라와 중국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유용한 정보===
+
* 尹美花, 「氅衣類에 關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2.
 +
* 이동아, 「이응해 출토복식의 직령포(直領袍)와 창의(氅衣)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 李善宰 , 「朝鮮時代 儒敎思想과 儀禮服硏究-男子袍를 中心으로-」,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0.
 +
* 鄭光熙, 「團領 및 氅衣 縫製에 關하여」, 『服飾』 8권, 한국복식학회, 1984.
 +
* 정희정, 「朝鮮後期 便服袍에 관한 硏究 : 形態, 種類의 多樣性이 주는 意味」,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 홍나영, 「조선중엽 출토복식에 관한 연구 -이황묘 출토 첩리와 창의류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0권 3호, 한국의류학회, 1996.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궁중기록화]]
 
[[분류:복식]]
 
[[분류:복식]]

2017년 10월 27일 (금) 15:37 기준 최신판


창의
(氅衣)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
대표명칭 창의
한자표기 氅衣
이칭별칭 대창의(大昌衣)
구분 의복
착용신분 , 왕세자, 백관
착용성별 남성



정의

조선시대 , 왕세자등 왕실 남성들과 사대부의 상복(常服)으로, 백관의 조복이나 단령, 도포의 받침옷으로 입던 포(袍) 종류의 옷이다.[1]

내용

'대창의(大昌衣)'라고도 한다. , 왕세자, 왕세손, 백관 등이 평상복으로 착용하였으며, 도포와 같이 백관의 조복제복, 단령이나 도포 등의 받침 옷으로도 착용하였다. 외출할 때는 을 쓰고 세조대를 띤다. 깃은 곧고 소매가 넓으며 길 양옆에 큰 삼각무가 달린 옷으로, 뒷중심선 허리 아래로 긴 트임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앞모습으로만 보면 직령도포의 형태가 같아 구별하기 어렵다. 창의는 조선 말기인 1884년(고종 21) 갑신의제개혁을 통해 넓은 소매 의복을 폐지하면서 소매가 넓은 다른 포 종류들과 함께 착용이 금지되었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백관 창의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백관의 조복 창의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제복 창의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편복 창의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창의 도포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창의 단령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창의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77쪽.
  2.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77쪽.
  3.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
  4.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
  5.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
  6.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 권은영, 「배천조출토복식 袍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 梁仁愛, 「女子 袍에 관한 硏究-우리나라와 중국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 尹美花, 「氅衣類에 關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2.
  • 이동아, 「이응해 출토복식의 직령포(直領袍)와 창의(氅衣)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李善宰 , 「朝鮮時代 儒敎思想과 儀禮服硏究-男子袍를 中心으로-」,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0.
  • 鄭光熙, 「團領 및 氅衣 縫製에 關하여」, 『服飾』 8권, 한국복식학회, 1984.
  • 정희정, 「朝鮮後期 便服袍에 관한 硏究 : 形態, 種類의 多樣性이 주는 意味」,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홍나영, 「조선중엽 출토복식에 관한 연구 -이황묘 출토 첩리와 창의류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0권 3호, 한국의류학회,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