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채제공 초상(시복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초상의 제작 및 보관)
(초상의 제작 및 보관)
20번째 줄: 20번째 줄:
 
===초상의 제작 및 보관===
 
===초상의 제작 및 보관===
 
[[채제공]]의 정본 초상은 현재 5본이 알려져 있다. 1792년 [[이명기]]가 그린 시복본 1본이 [[수원역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채제공 초상(흑단령본)|흑단령본]] 1본이 [[국립부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그리고 [[청양 상의사]]에 [[채제공 초상(금관조복본)|금관조복본]]이 1본 소장되어있는데 모두 3본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이외에 [[나주 미천서원]] 소장의 흑단령본은 분실되어 지금은 사진만이 전한고 [[대영박물관]]에 시복본 초상 1점이 소장되어있다. 더불어 상반신 유지 초본 3점이 전하는데 이 중 2점은 1784년 65세 때의 모습을 그린 것이고 나머지 1점은 [[이명기]]가 [[조선 정조|정조]]의 명을 받아 초를 잡아 1791년 72세 때의 모습을 그린 것이다.<br/>
 
[[채제공]]의 정본 초상은 현재 5본이 알려져 있다. 1792년 [[이명기]]가 그린 시복본 1본이 [[수원역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채제공 초상(흑단령본)|흑단령본]] 1본이 [[국립부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그리고 [[청양 상의사]]에 [[채제공 초상(금관조복본)|금관조복본]]이 1본 소장되어있는데 모두 3본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이외에 [[나주 미천서원]] 소장의 흑단령본은 분실되어 지금은 사진만이 전한고 [[대영박물관]]에 시복본 초상 1점이 소장되어있다. 더불어 상반신 유지 초본 3점이 전하는데 이 중 2점은 1784년 65세 때의 모습을 그린 것이고 나머지 1점은 [[이명기]]가 [[조선 정조|정조]]의 명을 받아 초를 잡아 1791년 72세 때의 모습을 그린 것이다.<br/>
<채제공 초상>(시복본)은 우측 상단에 “번암채상국제공백규보칠십삼세초상(樊巖 蔡相國濟恭伯規甫 七十三歲眞)”이라고 적혀 있으며, 그 밑에 작은 글씨로 “그린이는 이명기(畵者 李命基)”라 하여 작자를 밝히고 있다. 그리고 줄을 바꾸어 ”성상 15년 신해년(1791)에 어진을 그린 다음 왕명을 받들어 초상을 그려 대궐로 들여보냈다. 여분으로 그린 본은 다음에 임자년(1792)에 장황하였다(聖上 十五年 辛亥 御眞圖 寫後 承 命摸像 內入 以其餘本 明年 壬子 粧)“라고 쓰여 있는데 이를 통해 초상화가 그려지게 된 연유와 제작 시기를 알 수 있다. 1791년 [[어진]] 제작이 끝난 후, [[조선 정조|정조]]는 주관화사 [[이명기]]로 하여금 [[도제조]]를 맡아 수고한 [[채제공]]의 초상화를 그리도록 했는데 그 작품이 바로 <채제공 초상>(시복본)으로 73세 상이다.<ref>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307쪽.</ref> 수원 화성박물관에 소장되어있다. 시복본 초상은 대영박물관에도 1점이 소장되어 있다.<br/>
+
<채제공 초상>(시복본)은 우측 상단에 “번암채상국제공백규보칠십삼세초상(樊巖 蔡相國濟恭伯規甫 七十三歲眞)”이라고 적혀 있으며, 그 밑에 작은 글씨로 “그린이는 이명기(畵者 李命基)”라 하여 작자를 밝히고 있다. 그리고 줄을 바꾸어 ”성상 15년 신해년(1791)에 어진을 그린 다음 왕명을 받들어 초상을 그려 대궐로 들여보냈다. 여분으로 그린 본은 다음에 임자년(1792)에 장황하였다(聖上 十五年 辛亥 御眞圖 寫後 承 命摸像 內入 以其餘本 明年 壬子 粧)“라고 쓰여 있는데 이를 통해 초상화가 그려지게 된 연유와 제작 시기를 알 수 있다. 1791년 [[어진]] 제작이 끝난 후, [[조선 정조|정조]]는 주관화사 [[이명기]]로 하여금 [[도제조]]를 맡아 수고한 [[채제공]]의 초상화를 그리도록 했는데 그 작품이 바로 <채제공 초상>(시복본)으로 73세 상이다.<ref>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307쪽.</ref> [[수원화성박물관]]에 소장되어있다. 시복본 초상은 [[대영박물관]]에도 1점이 소장되어 있다.<br/>
 
이 <채제공 초상>(시복본)은 조선 후기에 동일한 대상 인물을 각기 다른 복식으로 그려냈던 당대의 풍조를 반영하며 정조대에 절정에 달했던 사실주의적 시각 표현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유지초본까지 함께 전하여 조선시대 초상화 연구에 학술적 가치도 높다.
 
이 <채제공 초상>(시복본)은 조선 후기에 동일한 대상 인물을 각기 다른 복식으로 그려냈던 당대의 풍조를 반영하며 정조대에 절정에 달했던 사실주의적 시각 표현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유지초본까지 함께 전하여 조선시대 초상화 연구에 학술적 가치도 높다.
  

2017년 10월 24일 (화) 01:44 판


채제공 초상(시복본)
역사인물초상화 초상 채제공 초상(시복본).jpg
한자명칭 蔡濟恭 肖像(時服本)
작가 이명기
제작시기 1792년
소장처 수원화성박물관
유형 초상
크기(세로×가로) 120.0×79.8㎝


정의

조선 후기의 재상 채제공(1720~1799)의 모습을 그린 시복본 초상.

내용

초상의 제작 및 보관

채제공의 정본 초상은 현재 5본이 알려져 있다. 1792년 이명기가 그린 시복본 1본이 수원역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흑단령본 1본이 국립부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그리고 청양 상의사금관조복본이 1본 소장되어있는데 모두 3본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이외에 나주 미천서원 소장의 흑단령본은 분실되어 지금은 사진만이 전한고 대영박물관에 시복본 초상 1점이 소장되어있다. 더불어 상반신 유지 초본 3점이 전하는데 이 중 2점은 1784년 65세 때의 모습을 그린 것이고 나머지 1점은 이명기정조의 명을 받아 초를 잡아 1791년 72세 때의 모습을 그린 것이다.
<채제공 초상>(시복본)은 우측 상단에 “번암채상국제공백규보칠십삼세초상(樊巖 蔡相國濟恭伯規甫 七十三歲眞)”이라고 적혀 있으며, 그 밑에 작은 글씨로 “그린이는 이명기(畵者 李命基)”라 하여 작자를 밝히고 있다. 그리고 줄을 바꾸어 ”성상 15년 신해년(1791)에 어진을 그린 다음 왕명을 받들어 초상을 그려 대궐로 들여보냈다. 여분으로 그린 본은 다음에 임자년(1792)에 장황하였다(聖上 十五年 辛亥 御眞圖 寫後 承 命摸像 內入 以其餘本 明年 壬子 粧)“라고 쓰여 있는데 이를 통해 초상화가 그려지게 된 연유와 제작 시기를 알 수 있다. 1791년 어진 제작이 끝난 후, 정조는 주관화사 이명기로 하여금 도제조를 맡아 수고한 채제공의 초상화를 그리도록 했는데 그 작품이 바로 <채제공 초상>(시복본)으로 73세 상이다.[1] 수원화성박물관에 소장되어있다. 시복본 초상은 대영박물관에도 1점이 소장되어 있다.
이 <채제공 초상>(시복본)은 조선 후기에 동일한 대상 인물을 각기 다른 복식으로 그려냈던 당대의 풍조를 반영하며 정조대에 절정에 달했던 사실주의적 시각 표현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유지초본까지 함께 전하여 조선시대 초상화 연구에 학술적 가치도 높다.

초상에 묘사된 모습

<채제공 초상>(시복본) 오사모관대를 하고 옅은 분홍색 관복을 입은 초상화이다. 손부채와 향낭을 손에 들고 화문석에 편하게 앉은 전신좌상이다. 좌측 상단에는 채제공이 직접 쓴 자찬문이 있는데 다음과 같은 내용이다. “네 몸과 네 정신은 부모님의 은혜, 머리에서 발 끝가지 임금님의 은혜, 부채도 향낭도 임금님의 은혜, 온 몸 꾸민 장식품이 뭔들 은혜 아니리오. 부끄럽네 무능한 몸, 은혜 갚을 일이 없네. 번옹이 스스로 찬문을 짓고 쓴다.(爾形爾精, 父母之恩. 爾頂爾踵, 聖主之恩. 扇是君恩, 香亦君恩. 賁飾一身, 何物非 恩. 所愧歇後, 無計報恩. 樊翁自贊自書.)” 자찬문의 내용대로 정조에게서 부채와 향낭을 선물받은 기념을 표시하기 위해 초상하에 그 부채와 향낭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연출한 점이 인상적이다.[2]
안면은 명암법을 적절히 구사하여 얼굴을 사실적으로 묘사하였다. 채제공의 얼굴은 73세 때의 모습으로 얼굴 코가 크고 길며 팔자주름이 깊다. 수염이 완전히 하얗게 새었다. 숱이 적지만 가슴팍까지 길어져 있다. 사팔뜨기라고 전해지는 바와 같이 두 눈은 정면이 아닌 바깥쪽을 향해있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채제공 초상(시복본) 초상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채제공 초상(시복본) 채제공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채제공 초상(시복본) 이명기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채제공 초상(시복본) 수원화성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채제공 초상(시복본) 조선 정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오사모 채제공 초상(시복본)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관대 채제공 초상(시복본)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관복 채제공 초상(시복본)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792년 채제공 초상(시복본)이 제작되었다.
2006년 12월 29일 채제공 초상(시복본)이 보물 제1477호로 지정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282684 37.282684 채제공 초상(시복본)수원화성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주석

  1.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307쪽.
  2.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 역사 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눌와, 2007, 318쪽.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1. 전시도록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 수원화성박물관, 『번암 채제공』, 수원화성박물관, 2013.
  2. 논문
    • 장인석, 『華山館 李命基 繪畵에 대한 硏究』, 명지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