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유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관련항목) |
(→공간정보) |
||
65번째 줄: | 65번째 줄: | ||
|- | |- | ||
|{{PAGENAME}} ||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37.39197||127.054387 | |{{PAGENAME}} ||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37.39197||127.054387 | ||
+ | |- | ||
+ | |{{PAGENAME}} ||창작공간||해남|| || | ||
|- | |- | ||
|{{PAGENAME}} ||창작공간||금쇄동|| || | |{{PAGENAME}} ||창작공간||금쇄동|| || | ||
+ | |- | ||
+ | |{{PAGENAME}} ||창작공간||보길도|| || | ||
+ | |- | ||
+ | |{{PAGENAME}} ||창작공간||부용동|| || | ||
|- | |- | ||
|{{PAGENAME}} ||창작공간||낙서재|| || | |{{PAGENAME}} ||창작공간||낙서재|| || |
2017년 2월 22일 (수) 19:37 판
고산유고 | |
한자명칭 | 孤山遺稿 |
---|---|
영문명칭 | A Collection of Yun Seondo's poems and writings |
작자 | 윤선도 |
간행시기 | 1796년(정조20) |
청구기호 | 4-5758 |
유형 | 고서 |
크기(세로×가로) | 32.4×21.0㎝ |
판본 | 목판본 |
수량 | 6冊 |
표기문자 | 한문, 한글 |
개요
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 1587~1671)의 시와 글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이 책 권6의 상에는 시(詩), 부(賦) 등이, 하에는 '가사(歌辭)'라는 표제 아래 75수의 시조가 실려 있다. <산중신곡(山中新曲)>, <산중속신곡(山中續新曲)>, <고금영(古琴詠)>,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등이 수록되어 있다. <산중신곡>, <산중속신곡> 등은 윤선도가 병자호란 때 왕을 호종하지 않았다는 죄목으로 경상도 영덕에서 2년간의 유배를 마친 뒤, 고향인 전라도 해남의 금쇄동(金鎖洞)에 은거할 당시 지은 작품이다. 그 뒤 병자호란 당시 발견했던 보길도(甫吉島)의 부용동(芙蓉洞)에 들어가 낙서재(樂書齋)를 짓고 은거하였다. 그 때에 지은 것이 만년의 절창 <어부사시사>이다. 정치적으로 불우했던 윤선도는 벼슬길에서 벗어나 짐짓 어부의 생활을 했고, 그 결과로 남겨진 많은 작품이 '고산유고'에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은 조선 사대부층의 자연관을 이해하는 데는 빼놓을 수 없는 자료이다. 조선의 강호문학은 이현보(李賢輔)와 송순(宋純)에 의해 정립되었고, 윤선도에 이르러 무르익었다고 할 수 있다.[1]
관련항목
중심 | 관계어 정의 | 대상 |
---|---|---|
고산유고 | 인물 | 윤선도 |
고산유고 | 인물 | 이현보 |
고산유고 | 인물 | 송순 |
고산유고 | 사건 | 병자호란 |
고산유고 | 문헌 | 어부사시사 |
고산유고 | 개념 | 강호문학 |
고산유고 | 개념 | 가사 |
시간정보
중심 | 시간정보명 | 시간값 |
---|---|---|
고산유고 | 창작연대 | 조선후기 |
고산유고 | 간행연도 | 1796년 |
고산유고 | 간행연도 | 정조20년 |
공간정보
중심 | 연결정보 | 공간정보이름 | 경도 | 위도 |
---|---|---|---|---|
고산유고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37.39197 | 127.054387 |
고산유고 | 창작공간 | 해남 | ||
고산유고 | 창작공간 | 금쇄동 | ||
고산유고 | 창작공간 | 보길도 | ||
고산유고 | 창작공간 | 부용동 | ||
고산유고 | 창작공간 | 낙서재 |
참고문헌
주석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4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