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실 분뇨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관계정보) |
(→사진) |
||
144번째 줄: | 144번째 줄: | ||
==시각정보== | ==시각정보== | ||
− | === | + | ===갤러리=== |
<gallery> | <gallery> | ||
file:한글팀 왕실 분뇨도02 내용.jpg|내용 | file:한글팀 왕실 분뇨도02 내용.jpg|내용 |
2017년 9월 30일 (토) 19:03 판
왕실 분뇨도 | |
한자명칭 | 丙寅孟春大殿分料圖 |
---|---|
영문명칭 | A list of salary paid to the servants in the public office |
작자 | 미상 |
간행시기 | 1926년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청구기호 | 2-5040 |
유형 | 고서 |
크기(세로×가로) | 37.9×16.2cm |
판본 | 필사본 |
수량 | 1첩 |
표기문자 | 한글 |
목차
정의
‘병인 맹춘 큰전 분뇨도’는 대전에서 일하는 나인(內人)들에게 지급한 급료의 내역을 기록한 것이다.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병인 맹춘 큰전 분뇨도’는 대전에서 일하는 나인(內人)들에게 지급한 급료의 내역을 기록한 것이다. 한지(韓紙)에 물목을 기록한 기존의 자료와는 달리 장지에 기름을 먹여 분판(粉板)처럼 글씨를 쓰고 지울 수 있도록 만들었다. 병인년은 1926년이며, 큰전은 고종을 지칭한다. 제목에는 큰전만 언급되었으나, 경선궁, 서상궁, 내소주방, 외소주방, 영친왕궁 등 대전 이외의 나인들에게도 급료를 지급하였다. 대전에 속한 상궁과 나인들은 공상에 따라 차등된 급료를 지급받았는데, 공상은 온공상, 반공상, 반반공상, 온방자, 반방자로 구분된다. 온공상은 쌀 7두 5승, 콩 6두, 북어 1쾌 10미, 반공상은 쌀 6두, 콩 4두, 북어 1쾌 10미, 반반공상은 쌀 4두, 콩 1두 5승, 북어 13미를 지급받았고, 온방자는 쌀 12두, 북어 2쾌, 반방자는 쌀 3두, 북어 10미를 지급받았다. 쾌는 말린 북어를 세는 단위로, 1쾌는 20마리이다. 본 자료의 특징 중 하나는 나인의 성씨를 기록하고 있다는 점이다. 1866년의 병인년 발기에서는 나인의 이름만 기재했으나, 1926년에 기록된 이 자료에서는 나인의 이름을 작은 글씨로 쓰고 그 아래 니시, 박시 등 성씨를 쓰고 있어 나인들의 위상이 달라졌음을 엿볼 수 있다. [1]
발기
조선시대 국혼·명절·탄일·진찬·제향 등의 왕실 행사에서 소요될, 혹은 소요된 물품목록을 적은 문서가 오늘날까지 전해지는 데, 문서의 제목에는 한글로 ''ᄇᆞᆯ기', '건긔', '단자', 한자로는 '발기(發記)', '건기(件記)', '단자(單子)' 등으로 적혀있다. 현재까지 전해지는 왕실발기는 한지 두루마기에 쓰은 것들이 대부분이지만, 얇고 질이 떨어지는 종이에 메모하듯이 써 놓은 것들도 있다. [2]
왕실 분뇨도의 내용
왕실 분뇨도도 궁중 발기 중 하나로 견성궁, 영친왕궁, 운현궁, 완화궁, 의친왕궁, 경우궁, 선희궁, 명례궁, 육상궁, 용동궁을 비롯하여 침방, 수방, 외소주방, 내소주방, 생과방, 세답방, 세수간 등에서 일한 나인들의 공상(功狀:구체적인 공적)에 따라 급료를 지급하였다. (도록에 나온 서상궁은 나인의 이름이다) [3] 맹춘(孟春)은 음력 1월을 뜻한다. 경선궁은 고종의 후궁이자 영친왕의 어머니인 순헌황귀비 엄씨가 살던 곳이다. 현재는 순헌황귀비 엄씨의 위패가 모셔져 있다. [4] 영친왕은 고종의 일곱번째 아들로 순종의 뒤를 이어 왕위를 계승했다. [5] 운현궁은 흥선대원군의 집으로 고종이 즉위하기 전까지 이곳에서 지냈다. [6] 완화궁은 고종과 귀인 이씨 사이에서 태어난 고종의 첫번째 아들 완화군이 살았던 곳이다. 흥선대원군의 총애를 받았으나 일찍 죽었다. [7] 의친왕은 고종의 다섯째 아들로 귀인 장씨의 소생이다. [8] 경우궁은 순조의 생모인 수빈 박씨(정조의 후궁)의 사당이다. [9] 선희궁은 영조의 후궁이자 사도세자의 생모인 영빈 이씨를 모신 사당이다. [10] 명례궁은 덕수궁의 옛 이름이다. 광해군 때 경운궁이라 불리다가 인조 때 명례궁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순종이 즉위한 후 고종의 장수를 비는 의미로 명칭이 또 다시 덕수궁으로 변경되었다. [11] 육상궁은 숙종의 후궁이자 영조의 생모인 숙빈 최씨를 모시는 사당이다. [12] 용동궁은 순회세자가 사았던 곳이다. [13] 침방과 수방은 궁중의 바느질을 맡아하던 곳이다. 소주방은 궁궐의 음식을 만드는 곳이다. 안소주방은 주로 일상음식을 담당하고 밖소주방은 잔치음식을 담당한다. 생과방은 음료수·죽·다식·약과·전과 등을 만드는 곳이다. 세답방은 빨래·다듬이질·염색 등을 담당하는 곳이다. 세수간은 왕의 세숫물과 목욕물, 수건·요강·타구·매화틀(변기)을 담당하는 곳이다. [14]
연계 자원 보러 가기 |
• 왕실 분뇨도 (해독) |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조선 고종 | 왕실 분뇨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왕실 분뇨도 | 경선궁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순헌황귀비 엄씨 | 경선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순헌황귀비 엄씨 | 조선 고종 | A는 B의 아내이다 | A ekc:hasHusband B |
영친왕 | 순헌황귀비 엄씨 | A는 어머니 B가 있다 | A ekc:hasMother B |
왕실 분뇨도 | 영친왕궁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영친왕 | 영친왕궁 | A는 B에서 거주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왕실 분뇨도 | 운현궁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흥선대원군 이하응 | 운현궁 | A는 B에서 거주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흥선대원군 이하응 | 조선 고종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왕실 분뇨도 | 완화궁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왕실 분뇨도 | 의친왕궁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의친왕 | 의친왕궁 | A는 B에서 거주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귀인 장씨 | 조선 고종 | A는 B의 아내이다 | A ekc:hasHusband B |
의친왕 | 귀인 장씨 | A는 어머니 B가 있다 | A ekc:hasMother B |
왕실 분뇨도 | 경우궁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왕실 분뇨도 | 선희궁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왕실 분뇨도 | 명례궁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조선 고종 | 덕수궁 | A는 B에서 거주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왕실 분뇨도 | 용동궁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왕실 분뇨도 | 육상궁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왕실 분뇨도 | 침방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왕실 분뇨도 | 수방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왕실 분뇨도 | 소주방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왕실 분뇨도 | 생과방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왕실 분뇨도 | 세답방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왕실 분뇨도 | 세수간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왕실 분뇨도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26년 | 왕실 분뇨도가 저술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39197 | 127.054387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은 왕실 분뇨도를 소장하였다. |
시각정보
갤러리
주석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18쪽.
- ↑ 주영하, 「1882년 왕세자 척의 혼례 관련 왕실음식발기 연구」, 『고문서연구』48, 한국고문서학회, 2016, 339쪽.
- ↑ "병인맹츈큰뎐분뇨도(丙寅孟春大殿分料圖)",
『왕실도서관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덕안궁",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영친왕",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서울 운현궁",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 참조: "완화궁", 인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의친왕",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이장희, "경우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정계옥, "선희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한국고전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온라인 참조: "명례궁", 한국고전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서울육상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박경룡, "용동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동현·김용숙, "궁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