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해두창집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텍스트)
26번째 줄: 26번째 줄:
  
 
==텍스트==
 
==텍스트==
[[허준|허준許浚]], 1539~1615이 [[선조|선조宣祖]]의 명을 받아 저술하고, 1608년선조41 [[내의원|내의원內醫院]]에서 발간한 [[두창|두창痘瘡]] 관련 의서醫書이다. 이 책은 조선 후기에도 여러 차례 번각되었다. 두창은 천연두를 지칭하며, [[천행두|천행두天行痘]],[[천두|천두天痘]], [[천행발반창|천행발반창天行發斑瘡]] 등으로도 불린다. 권수제 아래에 ‘ 역 고틸 종요 모혼 방문’이라는 한글 제목이 보인다.
+
[[허준|허준許浚]], 1539~1615이 [[선조|선조宣祖]]의 명을 받아 저술하고, 1608년선조41 [[내의원|내의원內醫院]]에서 발간한 [[두창|두창痘瘡]] 관련 의서醫書이다. 이 책은 조선 후기에도 여러 차례 번각되었다. 두창은 천연두를 지칭하며, [[천행두|천행두天行痘]], [[천두|천두天痘]], [[천행발반창|천행발반창天行發斑瘡]] 등으로도 불린다. 권수제 아래에 ‘ 역 고틸 종요 모혼 방문’이라는 한글 제목이 보인다.
 
허준의 발문에 의하면 1590년선조23과 1601년선조34, 세자였던 [[광해군]]과 왕녀가 두창을 앓았는데 허준의 처방을 받고 완치된 일이 있었다. 이에 선조는 두창치료에 관한 언해본을 간행하게 하였다. 상권에서는 두창의 발병 원인, 예방법, 증상 및 진행 과정, 치료법 등에 대해 설명했고, 하권에서는 두창이 동반하는 다양한 합병증, 금기禁忌, 목욕법, 양법穰法, 후유증, 임산부의 두창, 반진斑疹 등에 대해 기술하였다.
 
허준의 발문에 의하면 1590년선조23과 1601년선조34, 세자였던 [[광해군]]과 왕녀가 두창을 앓았는데 허준의 처방을 받고 완치된 일이 있었다. 이에 선조는 두창치료에 관한 언해본을 간행하게 하였다. 상권에서는 두창의 발병 원인, 예방법, 증상 및 진행 과정, 치료법 등에 대해 설명했고, 하권에서는 두창이 동반하는 다양한 합병증, 금기禁忌, 목욕법, 양법穰法, 후유증, 임산부의 두창, 반진斑疹 등에 대해 기술하였다.
 
이 책은 세조 때의 [[내의|내의內醫]] [[임원준|임원준任元濬]]이 편찬한『[[창진닙|창진집瘡疹集]]』 등 기존의 국내 의서뿐만 아니라 명나라에서 수입된 의서까지 두루 참조했으며, 허준 자신의 풍부한 임상 경험도 상당 부분 수렴하였다.『언해두창집요』를 통해 의료 대중화에 고심했던 선조의 애민의식을 읽을 수 있다. 또한 이 책은 조선 중기의 목판 인쇄문화를 비롯하여 17세기 국어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이 책은 세조 때의 [[내의|내의內醫]] [[임원준|임원준任元濬]]이 편찬한『[[창진닙|창진집瘡疹集]]』 등 기존의 국내 의서뿐만 아니라 명나라에서 수입된 의서까지 두루 참조했으며, 허준 자신의 풍부한 임상 경험도 상당 부분 수렴하였다.『언해두창집요』를 통해 의료 대중화에 고심했던 선조의 애민의식을 읽을 수 있다. 또한 이 책은 조선 중기의 목판 인쇄문화를 비롯하여 17세기 국어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78-79쪽.</REF>
 
<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78-79쪽.</REF>
 
  
 
==시각자료==
 
==시각자료==

2017년 2월 16일 (목) 16:04 판

언해두창집요
한글팀 언해두창집요 02.jpg
한자명칭 諺解痘瘡集要 
영문명칭 A medical book related to smallpox
작자 허준
작성시기 1608년(선조41)
간행시기 조선후기
간행처 내의원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청구기호 C7-77
유형 고문헌
크기(세로×가로) 32.4×21.4㎝
판본 목판본
수량 2冊
표기문자 한글, 한자



개요

허준, 1539~1615이 선조의 명을 받아 저술하고, 1608년선조41 내의원에서 발간한 두창 관련 의서

텍스트

허준許浚, 1539~1615이 선조宣祖의 명을 받아 저술하고, 1608년선조41 내의원內醫院에서 발간한 두창痘瘡 관련 의서醫書이다. 이 책은 조선 후기에도 여러 차례 번각되었다. 두창은 천연두를 지칭하며, 천행두天行痘, 천두天痘, 천행발반창天行發斑瘡 등으로도 불린다. 권수제 아래에 ‘ 역 고틸 종요 모혼 방문’이라는 한글 제목이 보인다. 허준의 발문에 의하면 1590년선조23과 1601년선조34, 세자였던 광해군과 왕녀가 두창을 앓았는데 허준의 처방을 받고 완치된 일이 있었다. 이에 선조는 두창치료에 관한 언해본을 간행하게 하였다. 상권에서는 두창의 발병 원인, 예방법, 증상 및 진행 과정, 치료법 등에 대해 설명했고, 하권에서는 두창이 동반하는 다양한 합병증, 금기禁忌, 목욕법, 양법穰法, 후유증, 임산부의 두창, 반진斑疹 등에 대해 기술하였다. 이 책은 세조 때의 내의內醫 임원준任元濬이 편찬한『창진집瘡疹集』 등 기존의 국내 의서뿐만 아니라 명나라에서 수입된 의서까지 두루 참조했으며, 허준 자신의 풍부한 임상 경험도 상당 부분 수렴하였다.『언해두창집요』를 통해 의료 대중화에 고심했던 선조의 애민의식을 읽을 수 있다. 또한 이 책은 조선 중기의 목판 인쇄문화를 비롯하여 17세기 국어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1]

시각자료

관련항목

중심 연결정보 대상
언해두창집요 인물 허준
언해두창집요 인물 선조
언해두창집요 개념 두창
언해두창집요 개념 내의원
언해두창집요 인물 광해군
언해두창집요 인물 임원준
언해두창집요 개념 창진집

공간정보

중심 연결정보 공간정보이름 경도 위도
언해두창집요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37.39197 127.054387

시간정보

중심 시간정보명 시간값
언해두창집요 간행년 1608년(선조41)

참고문헌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78-7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