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기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 일러삽입
+
@ 일러삽입 예정
  
 
{{단체정보
 
{{단체정보
23번째 줄: 23번째 줄:
 
=='''정의'''==
 
=='''정의'''==
 
고려·조선 시대에 병기·기치·융장(戎仗)·집물 등의 제조 등을 관장한 관청.
 
고려·조선 시대에 병기·기치·융장(戎仗)·집물 등의 제조 등을 관장한 관청.
 
<ref>이장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4918 화통도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설명'''==
 
=='''설명'''==
 
[[고려 목종]] 때 설치된 [[군기감|군기감(軍器監)]]을 1362년([[고려 공민왕|공민왕]] 11) [[군기시]]로 개칭하였다. 조선시대에도 고려의 제도를 답습하여, 1392년([[조선 태조|태조]] 1) [[군기감]]을 설치하였으며, 1466년([[조선 세조|세조]] 12) [[군기시]]로 개칭하였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694925 군기시]",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br/>
 
[[고려 목종]] 때 설치된 [[군기감|군기감(軍器監)]]을 1362년([[고려 공민왕|공민왕]] 11) [[군기시]]로 개칭하였다. 조선시대에도 고려의 제도를 답습하여, 1392년([[조선 태조|태조]] 1) [[군기감]]을 설치하였으며, 1466년([[조선 세조|세조]] 12) [[군기시]]로 개칭하였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694925 군기시]",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br/>
관원은 병조판서나 병조참판 중에서 1인, 무장(武將) 중에서 1인을 선발하여 도제조(都提調)와 제조를 두어 감독하게 하였다. 그 밑에 정(正)·부정(副正)·첨정(僉正)·별좌(別坐)·판관(判官)·별제(別提)·주부(主簿)·직장(直長)·봉사(奉事)·부봉사(副奉事)·참봉(參奉) 등이 있었다.
+
관원은 병조판서나 병조참판 중에서 1인, 무장(武將) 중에서 1인을 선발하여 도제조(都提調)와 제조를 두어 감독하게 하였다. 그 밑에 정(正)·부정(副正)·첨정(僉正)·별좌(別坐)·판관(判官)·별제(別提)·주부(主簿)·직장(直長)·봉사(奉事)·부봉사(副奉事)·참봉(參奉) 등이 있었다.<ref>이장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6592 군기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경국대전』에 나와 있는 기술직종을 보면 여기에 딸린 공장(工匠)으로는, 칠장(漆匠) 12인, 마조장(磨造匠) 12인, 궁현장(弓弦匠) 6인, 유칠장(油漆匠) 2인, 주장(鑄匠) 20인, 생피장(生皮匠) 4인, 갑장(甲匠) 35인, 궁인(弓人) 90인, 시인(矢人) 150인, 쟁장(錚匠) 11인, 목장(木匠) 4인, 야장(冶匠) 130인, 연장(鍊匠) 160인, 아교장(阿膠匠) 2인, 고장(鼓匠) 4인, 연사장(鍊絲匠) 2인이었다.
+
[[조선 태종|태종]] 1년(1401년) 3월에는 [[권근]]의 상소로 [[최무선]]의 아들인 [[최해산]][[군기시]] 주부(注簿)로 특채되기도 하였다.
세종 때에는 서북 변경의 개척으로 화기 사용이 빈번해지자 군기시에서의 화약기술의 확보를 위해 화약장(火藥匠)의 전지전출을 견제했고, 군기시 안에 화기를 전담하는 10여 인의 관원을 두기도 하였다. 이들은 양반 자제 중에서 기술이 정교하고 무략(武略)이 뛰어난 자를 뽑은 것으로 일명 겸군기(兼軍器)라 불렀다.
 
그러나 세조 이후 오랜 기간 전쟁이 없게 되자 군기시의 기능은 차츰 해이해져서 본래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었다. 1884년(고종 21) 군기시가 폐지되자 그 직무는 기기국(機器局)으로 옮겨졌다
 
 
 
 
 
 
 
[[최무선]]의 아들인 [[최무선]]은 1401년(태종 1) [[권근]]의 상소로 [[조선 태종|태종]] 1년(1401년) 3월에 [[군기시]] 주부(注簿)로 특채되었다.
 
 
{{Blockquote| ...[[최해산]]으로 군기 주부(軍器注簿)를 삼았다. 참찬(參贊) [[권근]]이 상서하기를, "...고(故) 지문하부사(知門下府事) [[최무선]]은 처음으로 [[화약|화약(火藥)]]을 제조하여 능히 해구(海寇)를 제어하였으니, 실로 국가에 공(功)이 있습니다. 그 아들 [[최해산|해산]]도 또한 마땅히 서용(敍用)하여야 합니다." 하였으므로, 그대로 따른 것이었다.<br/>
 
{{Blockquote| ...[[최해산]]으로 군기 주부(軍器注簿)를 삼았다. 참찬(參贊) [[권근]]이 상서하기를, "...고(故) 지문하부사(知門下府事) [[최무선]]은 처음으로 [[화약|화약(火藥)]]을 제조하여 능히 해구(海寇)를 제어하였으니, 실로 국가에 공(功)이 있습니다. 그 아들 [[최해산|해산]]도 또한 마땅히 서용(敍用)하여야 합니다." 하였으므로, 그대로 따른 것이었다.<br/>
|출처=『태종실록』 1권, 태종 1년(1401) 윤3월 1일(경인) 2번째 기사. 온라인 참조: '[http://sillok.history.go.kr/id/kca_10103101_002 문익점의 아들 중용과 최무선의 아들 해산에게 벼슬을 내리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출처=『태종실록』 1권, 태종 1년(1401) 윤3월 1일(경인) 2번째 기사. 온라인 참조: '[http://sillok.history.go.kr/id/kca_10103101_002 문익점의 아들 중용과 최무선의 아들 해산에게 벼슬을 내리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태종실록』 1권, 태종 1년(1401) 윤3월 1일(경인) 2번째 기사. 온라인 참조: '[http://sillok.history.go.kr/id/kca_10103101_002 문익점의 아들 중용과 최무선의 아들 해산에게 벼슬을 내리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
 
+
[[조선 세종|세종]] 때에는 서북 변경의 개척으로 화기 사용이 빈번해지자 군기시에서의 화약기술의 확보를 위해 화약장(火藥匠)의 전지전출을 견제했고, 군기시 안에 화기를 전담하는 10여 인의 관원을 두기도 하였다. 이들은 양반 자제 중에서 기술이 정교하고 무략(武略)이 뛰어난 자를 뽑은 것으로 일명 겸군기(兼軍器)라 불렀다.<ref>이장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6592 군기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1377년([[고려 우왕]] 3)에 [[최무선|최무선(崔茂宣)]]의 건의로 설치되었다.<ref>정학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4918 화통도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
그러나 [[조선 세조|세조]] 이후 오랜 기간 전쟁이 없게 되자 군기시의 기능은 차츰 해이해져서 본래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었다. 1884년([[조선 고종|고종]] 21) 군기시가 폐지되자 직무는 [[기기국|기기국(機器局)]]으로 옮겨졌다.<ref>이장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6592 군기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화통도감]]에서 제조된 각종 화기들은 모두 18가지로, 이 중에서 총포의 종류는 [[대장군포|대장군포(大將軍砲)]]·[[이장군포|이장군포(二將軍砲)]]·[[삼장군포|삼장군포(三將軍砲)]]·[[육화석포|육화석포(六火石砲)]]·[[화포|화포(火砲)]]·[[신포|신포(信砲)]]·[[화통|화통(火筒)]] 등이며, [[화전]]·[[철령전|철령전(鐵翎箭)]]·[[피령전]] 등은 발사물, 밖에 [[질려포]]·[[철탄자]]·[[천산오룡전|천산오룡전(穿山五龍箭)]]·[[유화|유화(流火)]]·[[촉천화|촉천화(觸天火)]]와 로켓무기로 [[주화|주화(走火)]]가 있다. [[화통도감]]에서 제조된 화기들은 왜구를 물리치는 데 사용되었다.<ref>정학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4918 화통도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1388년([[고려 창왕]] 1)에 폐지되어 [[군기시]]에 소속되었다.<ref>정학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4918 화통도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59번째 줄: 49번째 줄:
 
| [[최해산]] ||  [[군기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최해산]] ||  [[군기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최무선]] || [[최해산]]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최해산]] || [[최무선]]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A ekc:hasFather B
 
|-   
 
|-   
 +
| [[군기시]] || [[기기국]]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77번째 줄: 68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
# 사료
 +
#* 『태종실록』 1권, 태종 1년(1401) 윤3월 1일(경인) 2번째 기사. 온라인 참조: '[http://sillok.history.go.kr/id/kca_10103101_002 문익점의 아들 중용과 최무선의 아들 해산에게 벼슬을 내리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웹 자원
 
# 웹 자원
#* 정학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4918 화통도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694925 군기시]",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이장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6592 군기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유용한 정보===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4640 화통도감]",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한국고전용어사전 편찬위원회, 『한국고전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9078&cid=41826&categoryId=41826 화통도감]", 한국고전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분류:민족기록화]][[분류:단체]]
 
[[분류:민족기록화]][[분류:단체]]
 
[[분류:지/수정요망]]
 
[[분류:지/수정요망]]
 
 
 
 
==개요==
 
병조에 속한 아문으로서 고려시대부터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1392년 군기감(軍器監)을 설치했다가, 1466년(세조 12) 군기시로 개칭했다. 병조판서나 병조참판 중에서 1명, 무장(武將) 중에서 1명을 뽑아 도제조(都提調)와 제조를 맡아 감독하게 했으며, 기술직인 공장(工匠)들이 몇백 명 속해 있었다.
 
세종 때에는 서북 변경의 개척으로 화기사용이 빈번해지자 군기시에서의 화약기술의 확보를 위해 화약장(火藥匠)의 전지전출을 견제했고, 군기시 안에 화기를 전담하는 10여 인의 관원을 두기도 하였다. 이들은 양반 자제 중에서 기술이 정교하고 무략(武略)이 뛰어난 자를 뽑은 것으로 일명 겸군기(兼軍器)라 불렀다.<br/>
 
그러나 세조 이후 오랜 기간 전쟁이 없게 되자 군기시의 기능은 차츰 해이해져서 본래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었다. 1884년(고종 21) 군기시가 폐지되자 그 직무는 기기국(機器局)으로 옮겨졌다.
 
 
==민족기록화와의 연관성==
 
군기시는 후에 [[최대섭]]의 민족기록화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의 주요 인물 [[최무선]]에 의해 설치된 [[화통도감]]에 흡수되었다.<br/>
 
[[최무선]]의 아들 [[최해산]]이 근무하기도 하였다.
 
 
==노드 및 관계 테이블==
 
{| class="wikitable"
 
! 노드 || 관계 || 노드
 
|-
 
|[[화통도감]]||~에 흡수되었다||[[군기시]]
 
|-
 
|[[최해산]]||~와 관련된다||[[군기시]]
 
|-
 
|[[군기시]]||~의 제조지이다||[[화차]]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개념]][[분류:제도]][[분류:관청]][[분류:조선]][[분류:고려]]
 

2017년 9월 28일 (목) 00:07 판

@ 일러삽입 예정


군기시(軍器寺)
대표명칭 군기시
한자표기 軍器寺
유형 관청
창립시대 조선
창립일 1466년
변경일 1884년
관련단체 화통도감


정의

고려·조선 시대에 병기·기치·융장(戎仗)·집물 등의 제조 등을 관장한 관청.

설명

고려 목종 때 설치된 군기감(軍器監)을 1362년(공민왕 11) 군기시로 개칭하였다. 조선시대에도 고려의 제도를 답습하여, 1392년(태조 1) 군기감을 설치하였으며, 1466년(세조 12) 군기시로 개칭하였다.[1]
관원은 병조판서나 병조참판 중에서 1인, 무장(武將) 중에서 1인을 선발하여 도제조(都提調)와 제조를 두어 감독하게 하였다. 그 밑에 정(正)·부정(副正)·첨정(僉正)·별좌(別坐)·판관(判官)·별제(別提)·주부(主簿)·직장(直長)·봉사(奉事)·부봉사(副奉事)·참봉(參奉) 등이 있었다.[2]
태종 1년(1401년) 3월에는 권근의 상소로 최무선의 아들인 최해산군기시 주부(注簿)로 특채되기도 하였다.

Quote-left.png ...최해산으로 군기 주부(軍器注簿)를 삼았다. 참찬(參贊) 권근이 상서하기를, "...고(故) 지문하부사(知門下府事) 최무선은 처음으로 화약(火藥)을 제조하여 능히 해구(海寇)를 제어하였으니, 실로 국가에 공(功)이 있습니다. 그 아들 해산도 또한 마땅히 서용(敍用)하여야 합니다." 하였으므로, 그대로 따른 것이었다.
Quote-right.png
출처: 『태종실록』 1권, 태종 1년(1401) 윤3월 1일(경인) 2번째 기사. 온라인 참조: '문익점의 아들 중용과 최무선의 아들 해산에게 벼슬을 내리다',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3]


세종 때에는 서북 변경의 개척으로 화기 사용이 빈번해지자 군기시에서의 화약기술의 확보를 위해 화약장(火藥匠)의 전지전출을 견제했고, 군기시 안에 화기를 전담하는 10여 인의 관원을 두기도 하였다. 이들은 양반 자제 중에서 기술이 정교하고 무략(武略)이 뛰어난 자를 뽑은 것으로 일명 겸군기(兼軍器)라 불렀다.[4]
그러나 세조 이후 오랜 기간 전쟁이 없게 되자 군기시의 기능은 차츰 해이해져서 본래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었다. 1884년(고종 21) 군기시가 폐지되자 그 직무는 기기국(機器局)으로 옮겨졌다.[5]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화통도감 군기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최해산 군기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최해산 최무선 A는 아버지 B가 있다 A ekc:hasFather B
군기시 기기국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동영상

  • [NATV]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한국 역사상 최초로 화약무기 시대를 열다. 최무선(게시일: 2015년 1월 19일)

주석

  1. "군기시", 『doopedia』online, 두산백과.
  2. 이장희, "군기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태종실록』 1권, 태종 1년(1401) 윤3월 1일(경인) 2번째 기사. 온라인 참조: '문익점의 아들 중용과 최무선의 아들 해산에게 벼슬을 내리다',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4. 이장희, "군기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이장희, "군기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사료
  2. 웹 자원
    • "군기시", 『doopedia』online, 두산백과.
    • 이장희, "군기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