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백관의 편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1번째 줄: 11번째 줄:
 
}}
 
}}
  
 
+
=='''정의'''==
==정의==
 
 
평상시 일상복으로 착용하는 옷이다.
 
평상시 일상복으로 착용하는 옷이다.
  
==복식구성==
+
=='''내용'''==
 +
===복식구성===
 
* [[갓 | 갓[笠]]], [[도포 | 도포(道袍)]], [[세조대 | 세조대(細絛帶)]], [[혜]]
 
* [[갓 | 갓[笠]]], [[도포 | 도포(道袍)]], [[세조대 | 세조대(細絛帶)]], [[혜]]
 
* [[갓 | 갓[笠]]], [[창의 | 창의(氅衣)]], [[세조대 | 세조대(細絛帶)]], [[혜]]
 
* [[갓 | 갓[笠]]], [[창의 | 창의(氅衣)]], [[세조대 | 세조대(細絛帶)]], [[혜]]
21번째 줄: 21번째 줄:
 
* [[복건 | 복건(幅巾)]], [[심의 | 심의(深衣)]], [[대대(백관) | 대대(大帶)]], [[혜]]
 
* [[복건 | 복건(幅巾)]], [[심의 | 심의(深衣)]], [[대대(백관) | 대대(大帶)]], [[혜]]
  
==관련항목==
+
=='''지식 관계망'''==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백관]] || 백관의 편복 ||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
|-
 +
| 백관의 편복 || [[갓]]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백관의 편복 || [[도포]]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백관의 편복 || [[세조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백관의 편복 || [[혜(남성)]]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백관의 편복 || [[창의]]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백관의 편복 || [[복건]]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백관의 편복 || [[학창의]]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백관의 편복 || [[심의]]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백관의 편복 || [[대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시간정보===
 +
===공간정보===
  
==참고문헌==
+
=='''시각자료'''==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갤러리===
 +
===영상===
  
==주석==
+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 송미경, 「김확[金矱:1572~1633]묘 유물을 통해 본 17세기 남자 포에 관한 연구」, 『服飾』 57권 7호, 한국복식학회, 2007.
 +
* 장인우, 「조선중기 일상복의 구조와 구성-16·17C출토 복식 중심-」, 『服飾』 35권, 한국복식학회, 1997.
 +
* 정희정, 「朝鮮後期 便服袍에 관한 硏究 : 形態, 種類의 多樣性이 주는 意味」,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 진미희, 「朝鮮時代 男子 便服冠帽에 관한 考察」,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5.
 +
* 최정욱, 「조선시대 편복(便服) 포(袍)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 학술대회』 6권,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007. 
 +
* 홍나영, 「출토복식을 통해서 본 조선시대 남자 편복포의 시대구분」, 『服飾』 58권 5호,한국복식학회, 2008.
  
 +
===더 읽을거리===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궁중기록화]]
 
[[분류:복장]]
 
[[분류:복장]]

2017년 9월 26일 (화) 22:36 판


백관의 편복
(百官의 便服)
대표명칭 백관의 편복
한자표기 百官의 便服
분류 편복
착용신분 백관
착용성별 남성



정의

평상시 일상복으로 착용하는 옷이다.

내용

복식구성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백관 백관의 편복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백관의 편복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편복 도포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편복 세조대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편복 혜(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편복 창의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편복 복건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편복 학창의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편복 심의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편복 대대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송미경, 「김확[金矱:1572~1633]묘 유물을 통해 본 17세기 남자 포에 관한 연구」, 『服飾』 57권 7호, 한국복식학회, 2007.
  • 장인우, 「조선중기 일상복의 구조와 구성-16·17C출토 복식 중심-」, 『服飾』 35권, 한국복식학회, 1997.
  • 정희정, 「朝鮮後期 便服袍에 관한 硏究 : 形態, 種類의 多樣性이 주는 意味」,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진미희, 「朝鮮時代 男子 便服冠帽에 관한 考察」,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5.
  • 최정욱, 「조선시대 편복(便服) 포(袍)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 학술대회』 6권,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007.
  • 홍나영, 「출토복식을 통해서 본 조선시대 남자 편복포의 시대구분」, 『服飾』 58권 5호,한국복식학회, 2008.

더 읽을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