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개성 자운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44번째 줄: 44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4&cp_code=rp0703&index_id=rp07031411&content_id=rp070314110001&search_left_menu=8 자운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
* 인물, "[http://studybuddha.tistory.com/2294 혜덕왕사(慧德王師, 1038~1095)]", <html><online style="color:purple">『불교용어 사전』<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2년 9월 15일.
 +
* "[http://db.history.go.kr/KOREA/search/searchResult.do?itemIds=kr&sort=levelId&dir=ASC&limit=20&page=1&synonym=off&chinessChar=on&searchTermImages=%EC%9E%90%EC%9A%B4%EC%82%AC&searchKeywordType=BI&searchKeywordMethod=EQ&searchKeyword=%EC%9E%90%EC%9A%B4%EC%82%AC&searchKeywordConjunction=AND#searchDetail/kr/kr_053r_0010_0030_0100_1160/18/8/18/r 자운사의 연못에 피같은 거품이 일자 강도가 점치다]", 『고려사』 권53, 지 권제7, 오행1(五行 一), 화, 「붉은빛 재앙과 상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데이터베이스』<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승탑비문 Top icon}}
 
{{승탑비문 Top icon}}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사찰]] [[분류:승탑/검토요청]]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사찰]] [[분류:승탑/검토요청]]

2017년 9월 15일 (금) 16:44 판

개성 자운사
(開城 慈雲寺)
대표명칭 개성 자운사
한자 開城 慈雲寺
주소 개성시
건립시기 919년



정의

개성시에 있는 절.

내용

919년(태조 2)에 세워진 사찰로, 태조가 개경에 도읍하면서 세운 10개의 사찰 중 하나이다.[1]

혜덕왕사 소현(慧德王師 韶顯)이 1083년(순종 1)에 이 사찰에서 열린 승가고시 시험에서 화주를 맡기도 하였다.[2]

자운사와 관련된 이야기

자운사의 연못에 피같은 거품이 일자, 강도(姜度)가 왕의 병에 대해 점을 친 이야기가 『고려사(高麗史)』에 나온다.

Quote-left.png 5월 을묘 자운사(慈雲寺) 오른쪽의 작은 연못에서 피 같이 붉은 거품이 일었다. 보문각교감(寶文閣校勘) 강도(姜度)가 이르기를, “신라 호경왕(虎景王) 때에 대관사(大觀寺)의 연못물이 붉어지더니 그 해에 왕이 붕어하였다. 지금 우리 왕의 병도 아마 낫지 않을 모양인 것인가?”라고 하였다. Quote-right.png
출처: 『고려사』 권53, 지 권제7, 오행1(五行 一), 화, 「붉은빛 재앙과 상서」.[3]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개성 자운사 고려 태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개성 자운사 소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주석

  1. "자운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 인물, "혜덕왕사(慧德王師, 1038~1095)", 『불교용어 사전』online, 작성일: 2012년 9월 15일.
  3. "자운사의 연못에 피같은 거품이 일자 강도가 점치다", 『고려사』 권53, 지 권제7, 오행1(五行 一), 화, 「붉은빛 재앙과 상서」, 『한국사데이터베이스』online, 국사편찬위원회.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