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강사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43번째 줄: 43번째 줄:
 
|-
 
|-
 
| '''{{PAGENAME}}'''  || [[통천관]]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PAGENAME}}'''  || [[통천관]]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
| '''{{PAGENAME}}''' || [[상의원]] || A는 B에서 제작되였다 ||  A dcterms:creator B
 
|-
 
|-
 
| '''{{PAGENAME}}''' || [[국조오례의서례]]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A ekc:mentions B
 
| '''{{PAGENAME}}''' || [[국조오례의서례]]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A ekc:mentions B

2017년 9월 14일 (목) 15:25 판


강사포
(絳紗袍)
궁중기록화팀
대표명칭 강사포
한자표기 絳紗袍
구분 의복
착용신분 황제, , 황태자, 왕세자, 왕세손
착용성별 남성



정의

조선시대 왕세자, 대한제국 황제황태자가 정월 초하루ㆍ동짓날ㆍ경축일이나 가례에 부분적으로 입던 옷으로, 통천관원유관을 쓸 때 상의에 입는 붉은색[絳色]의 사(紗)로 만든 포(袍)이다.[1]

내용

소매가 넓고 곧은 깃이 달려 있으며 면복 상의와 형태는 같으나 장문(章文)이 없다. 깃과 도련 소매끝에 몸판과 같은 붉은색 선을 둘렀다.[2] 강사포는 여러 신하를 대하는 의복이라고 하여 신하들로부터 하례를 받을 때 착용하는 옷이었다. 성종대에 문묘에 제사를 지낼 때 면복이 아닌 원유관복을 입기도 했지만, 일시적이었고, 작헌례를 행할 때는 면복을 입어야한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황제 강사포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황태자 강사포 A는 B를 착용한다 A ekc:wears B
강사포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세자 강사포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세손 강사포 A는 B를 착용한다 A ekc:wears B
황제의 조복 강사포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태자의 조복 강사포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의 조복 강사포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세자의 조복 강사포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강사포 원유관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강사포 통천관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강사포 상의원 A는 B에서 제작되였다 A dcterms:creator B
강사포 국조오례의서례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A ekc:mentions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67쪽.
  2.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67쪽.
  3.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4, 49쪽.
  4.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경국대전(經國大典)』
  • 『대한예전(大韓禮典)』
  • 국립고궁박물관(엮음),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 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박물관, 『名選-下』, 단국대학교출판부, 2004.
  • 류희경, 『우리옷 이천년』, 미술문화, 2001.
  • 문화재청, 『문화재대관2-복식, 자수편』, 문화재청, 2006.
  • 석주선, 『한국복식사』, 보진재, 1971.
  • 신병주·박례경·송지원·이은주, 『왕실의 혼례식 풍경』, 돌베개, 2013.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4.
  • 장정윤, 「朝鮮時代 文武百官 朝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