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개성 봉은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사찰사지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 개성 봉은사 |영문명칭= |한자= 開城 奉恩寺 |이칭= |지정번호= |지정일= |주소= 경기도 개성...)
 
23번째 줄: 23번째 줄:
  
 
=='''내용'''==
 
=='''내용'''==
 +
‘대봉은사(大奉恩寺)’라고도 한다. 951년([[고려 광종|광종]] 2)에 [[고려 태조|태조]]의 원당(願堂)으로 창건한 국찰(國刹)이다.
  
 +
[[고려 태조|태조]]의 진영(眞影)을 봉안한 곳으로 고려시대의 절 가운데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다.
  
=='''지식관계망'''==
+
창건 이후 1032년([[고려 덕종|덕종]] 1)과 1142년([[고려 인종|인종]] 20)·1180년([[고려 명종|명종]] 10) 등 세 차례에 걸쳐서 중수하였고, 1234년([[고려 고종|고종]] 21)의 몽고의 병란으로 강화도로 천도하였을 때에는 [[차척|차척(車倜)]]의 집을 봉은사로 쓰다가 환도한 뒤 다시 중건하였다.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개성 봉은사]] || [[개성 봉은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개성 봉은사탑비]] || [[개성 봉은사]]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시간정보===
+
이 절은 왕들이 자주 행차하여 기도를 올리기도 하였다.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
 
|}
 
  
 +
이 절에는 [[홍법|홍법(弘法)]]·[[도융|도융(圖融)]]·[[혜소|혜소(慧炤)]]·[[지광|지광(智光)]]·[[원경|원경(元景)]]·[[담진|담진(曇眞)]]·[[낙진|낙진(樂眞)]]·[[보우|보우(普愚)]] 등 고려시대의 승려들이 이곳에 주석하면서 이름을 빛내었다. 그들은 이 절에서 [[국사|국사(國師)]]·[[왕사|왕사(王師)]]의 직위를 받았으며, 이곳에 주석하면서 경을 설하고 선(禪)을 논하는 법회를 베품으로써, 이 절은 다른 절에서 볼 수 없는 성황을 이루었다.
 +
 +
[[보우]]가 이곳에 머물 때에는 [[고려 공민왕|공민왕]]과 [[노국대장공주|노국공주]]가 친히 행차하고 승려 300여 명에게 백포(白布) 2필과 가사(袈裟) 1령씩을 하사하기도 하였다.
 +
 +
조선시대로 접어들면서 점차 퇴락하여, 중기 이후에는 그 위치조차 어딘지 모르게 되었다. 또한 절의 건축구조나 가람 배치에 관해서는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주석'''==
 
=='''주석'''==

2017년 9월 14일 (목) 00:32 판

개성 봉은사
(開城 奉恩寺)
대표명칭 개성 봉은사
한자 開城 奉恩寺
주소 경기도 개성시 태평동
건립시기 951년



정의

경기도 개성시 태평동에 있었던 절.

내용

‘대봉은사(大奉恩寺)’라고도 한다. 951년(광종 2)에 태조의 원당(願堂)으로 창건한 국찰(國刹)이다.

태조의 진영(眞影)을 봉안한 곳으로 고려시대의 절 가운데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다.

창건 이후 1032년(덕종 1)과 1142년(인종 20)·1180년(명종 10) 등 세 차례에 걸쳐서 중수하였고, 1234년(고종 21)의 몽고의 병란으로 강화도로 천도하였을 때에는 차척(車倜)의 집을 봉은사로 쓰다가 환도한 뒤 다시 중건하였다.

이 절은 왕들이 자주 행차하여 기도를 올리기도 하였다.

이 절에는 홍법(弘法)·도융(圖融)·혜소(慧炤)·지광(智光)·원경(元景)·담진(曇眞)·낙진(樂眞)·보우(普愚) 등 고려시대의 승려들이 이곳에 주석하면서 이름을 빛내었다. 그들은 이 절에서 국사(國師)·왕사(王師)의 직위를 받았으며, 이곳에 주석하면서 경을 설하고 선(禪)을 논하는 법회를 베품으로써, 이 절은 다른 절에서 볼 수 없는 성황을 이루었다.

보우가 이곳에 머물 때에는 공민왕노국공주가 친히 행차하고 승려 300여 명에게 백포(白布) 2필과 가사(袈裟) 1령씩을 하사하기도 하였다.

조선시대로 접어들면서 점차 퇴락하여, 중기 이후에는 그 위치조차 어딘지 모르게 되었다. 또한 절의 건축구조나 가람 배치에 관해서는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주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