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 봉은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새 문서: {{사찰사지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 개성 봉은사 |영문명칭= |한자= 開城 奉恩寺 |이칭= |지정번호= |지정일= |주소= 경기도 개성...) |
|||
23번째 줄: | 23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 | ‘대봉은사(大奉恩寺)’라고도 한다. 951년([[고려 광종|광종]] 2)에 [[고려 태조|태조]]의 원당(願堂)으로 창건한 국찰(國刹)이다. | ||
+ | [[고려 태조|태조]]의 진영(眞影)을 봉안한 곳으로 고려시대의 절 가운데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다. | ||
− | + | 창건 이후 1032년([[고려 덕종|덕종]] 1)과 1142년([[고려 인종|인종]] 20)·1180년([[고려 명종|명종]] 10) 등 세 차례에 걸쳐서 중수하였고, 1234년([[고려 고종|고종]] 21)의 몽고의 병란으로 강화도로 천도하였을 때에는 [[차척|차척(車倜)]]의 집을 봉은사로 쓰다가 환도한 뒤 다시 중건하였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절은 왕들이 자주 행차하여 기도를 올리기도 하였다. | |
− | |||
− | |||
− | |||
− | |||
− | |||
− | |||
+ | 이 절에는 [[홍법|홍법(弘法)]]·[[도융|도융(圖融)]]·[[혜소|혜소(慧炤)]]·[[지광|지광(智光)]]·[[원경|원경(元景)]]·[[담진|담진(曇眞)]]·[[낙진|낙진(樂眞)]]·[[보우|보우(普愚)]] 등 고려시대의 승려들이 이곳에 주석하면서 이름을 빛내었다. 그들은 이 절에서 [[국사|국사(國師)]]·[[왕사|왕사(王師)]]의 직위를 받았으며, 이곳에 주석하면서 경을 설하고 선(禪)을 논하는 법회를 베품으로써, 이 절은 다른 절에서 볼 수 없는 성황을 이루었다. | ||
+ | |||
+ | [[보우]]가 이곳에 머물 때에는 [[고려 공민왕|공민왕]]과 [[노국대장공주|노국공주]]가 친히 행차하고 승려 300여 명에게 백포(白布) 2필과 가사(袈裟) 1령씩을 하사하기도 하였다. | ||
+ | |||
+ | 조선시대로 접어들면서 점차 퇴락하여, 중기 이후에는 그 위치조차 어딘지 모르게 되었다. 또한 절의 건축구조나 가람 배치에 관해서는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 ||
=='''주석'''== | =='''주석'''== |
2017년 9월 14일 (목) 00:32 판
개성 봉은사 (開城 奉恩寺) |
|
대표명칭 | 개성 봉은사 |
---|---|
한자 | 開城 奉恩寺 |
주소 | 경기도 개성시 태평동 |
건립시기 | 951년 |
정의
경기도 개성시 태평동에 있었던 절.
내용
‘대봉은사(大奉恩寺)’라고도 한다. 951년(광종 2)에 태조의 원당(願堂)으로 창건한 국찰(國刹)이다.
태조의 진영(眞影)을 봉안한 곳으로 고려시대의 절 가운데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다.
창건 이후 1032년(덕종 1)과 1142년(인종 20)·1180년(명종 10) 등 세 차례에 걸쳐서 중수하였고, 1234년(고종 21)의 몽고의 병란으로 강화도로 천도하였을 때에는 차척(車倜)의 집을 봉은사로 쓰다가 환도한 뒤 다시 중건하였다.
이 절은 왕들이 자주 행차하여 기도를 올리기도 하였다.
이 절에는 홍법(弘法)·도융(圖融)·혜소(慧炤)·지광(智光)·원경(元景)·담진(曇眞)·낙진(樂眞)·보우(普愚) 등 고려시대의 승려들이 이곳에 주석하면서 이름을 빛내었다. 그들은 이 절에서 국사(國師)·왕사(王師)의 직위를 받았으며, 이곳에 주석하면서 경을 설하고 선(禪)을 논하는 법회를 베품으로써, 이 절은 다른 절에서 볼 수 없는 성황을 이루었다.
보우가 이곳에 머물 때에는 공민왕과 노국공주가 친히 행차하고 승려 300여 명에게 백포(白布) 2필과 가사(袈裟) 1령씩을 하사하기도 하였다.
조선시대로 접어들면서 점차 퇴락하여, 중기 이후에는 그 위치조차 어딘지 모르게 되었다. 또한 절의 건축구조나 가람 배치에 관해서는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주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