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범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74번째 줄: 74번째 줄:
 
*정동락, 「범일의 굴산문 개창과 성장기반 조성」, 『신라사학보』 Vol.35, 신라사학회, 2015, 65-98쪽.
 
*정동락, 「범일의 굴산문 개창과 성장기반 조성」, 『신라사학보』 Vol.35, 신라사학회, 2015, 65-98쪽.
 
*정영식, "통효범일", 『조당집 읽기』, 운주사, 2016, 289-290쪽.
 
*정영식, "통효범일", 『조당집 읽기』, 운주사, 2016, 289-290쪽.
 +
*한정섭, 오청환, 『한국고승전(上) - 삼국, 고려편』, 불교정신문화원, 2014, 164-165쪽.
 
*함복희, 「범일국사 설화의 의미와 문화콘텐츠 방안 연구」, 『동아시아고대학』 Vol.34, 동아시아고대학회, 2014, 285-316쪽.
 
*함복희, 「범일국사 설화의 의미와 문화콘텐츠 방안 연구」, 『동아시아고대학』 Vol.34, 동아시아고대학회, 2014, 285-316쪽.
 
*홍성익, 「굴산사지 범일의 부도 명에 대한 검토」, 『신라사학보』 No.24, 신라사학회, 2012, 263-310쪽.
 
*홍성익, 「굴산사지 범일의 부도 명에 대한 검토」, 『신라사학보』 No.24, 신라사학회, 2012, 263-310쪽.

2017년 9월 9일 (토) 20:49 판

범일(梵日)
"영은사범일국사진영",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대표명칭 범일
영문명칭 Beomil
한자 梵日
생몰년 810(헌덕왕 2)-889(진성여왕 3)
시호 통효대사(通曉大師)
탑호 연휘(延徽)
이칭 품일(品日)
성씨 김씨(金氏)
승탑 강릉 굴산사지 승탑



정의

신라시대의 승려.

내용

가계와 탄생

탄생설화

유년기

출가수행

구법유학

(귀국 및) 활동

입적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참고문헌

  • 고운기, "범일 - 대관령의 산신이 된 신라의 승려", 네이버캐스트,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국립민속박물관, "범일국사", 『한국민속신앙사전: 무속신앙 편』, 국립민속박물관, 2010. 온라인 참조: "범일국사", 한국민속대백과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김신곤, 김봉규, "본래심(本來心)을 강조한 동방의 보살 - 사굴산문 범일", 『佛脈 한국의 선사들』, 우리출판사, 2004, 219-225쪽.
  • 김영길, "범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흥삼, "범일", 『디지털강릉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흥삼, 「신라말 굴산문 범일과 김주원계 관련설의 비판적 검토」, 『한국고대사연구』 Vol.50, 한국고대사학회, 2008, 295-325쪽.
  • 이일야, "사굴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147-175쪽.
  • 정동락, 「통효 범일(810-889)의 생애에 대한 재검토」, 『민족문화논총』 Vol.24,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1, 57-91쪽.
  • 정동락, 「범일(810-889)의 선사상」, 『대구사학』 Vol.68, 대구사학회, 2002, 1-35쪽.
  • 정동락, 「범일의 굴산문 개창과 성장기반 조성」, 『신라사학보』 Vol.35, 신라사학회, 2015, 65-98쪽.
  • 정영식, "통효범일", 『조당집 읽기』, 운주사, 2016, 289-290쪽.
  • 한정섭, 오청환, 『한국고승전(上) - 삼국, 고려편』, 불교정신문화원, 2014, 164-165쪽.
  • 함복희, 「범일국사 설화의 의미와 문화콘텐츠 방안 연구」, 『동아시아고대학』 Vol.34, 동아시아고대학회, 2014, 285-316쪽.
  • 홍성익, 「굴산사지 범일의 부도 명에 대한 검토」, 『신라사학보』 No.24, 신라사학회, 2012, 263-310쪽.
  • 황루시, 「무속의 관점에서 본 범일국사 담론」, 『인문학연구』 Vol.19, 관동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91-11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