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숙주 공신도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공신도상의 제작 및 보관)
(문헌에 기록된 외모)
27번째 줄: 27번째 줄:
 
===문헌에 기록된 외모===
 
===문헌에 기록된 외모===
 
신숙주의 외모에 관해서는 성현(성현)의 『용재총화(용재총화)』에 짧은 언급이 있다.
 
신숙주의 외모에 관해서는 성현(성현)의 『용재총화(용재총화)』에 짧은 언급이 있다.
 +
 +
{{blockquote
 +
|동지(동지) 홍경손(홍경손)이 젊었을 때 성균관에서 발원시(발원시)를 짓기를, '이석형(이석형)의 글씨, 조계(조계)의 활쏘기, 이인견(이인견)의 젊음과 신숙주(신숙주)의 눈, 이문형(이문형)의 얼굴, 손차면(손차면)의 음(양기)을 한 몸에 지니고 등과하기를 항상 정인지(정인지)와 같게 하리라.' 하고, 미처 아래 구절을 잇지 못하자 중추(중추) 이계전(이계전)이 이때 옆에 있다가 말하기를, '내 이름으로 협운(협운)하면 그대가 이을 수 있으리라.' 하여, 홍경손이 드디어 아래 구절을 이어 말하기를, "위장병은 이계전과 같지 말 것이다" 하니, 모두 포복절도하였다. 이 시의 뜻은 대개 이석형은 글씨를 잘 쓰고, 조계는 활을 잘 쏘며, 이인견은 나이가 어리고 이문형은 얼굴이 아름다우며, 신숙주는 눈이 아름답고, 손차면은 성욕이 강하고, 정인지는 두 번 장원 급제하였으나, 이계전은 위장병이 있음을 말한 것이다.
 +
|출처=성현(成俔), 『용재총화(용재총화)』 제6권.
 +
}}
  
 
===공신도상에 묘사된 모습===
 
===공신도상에 묘사된 모습===

2017년 8월 21일 (월) 15:41 판

신숙주 공신도상
한자명칭 申叔舟 功臣圖像
작가 미상
제작시기 1453년 무렵
소장처 고령신씨문중 구봉영당
문화재지정사항 보물 제613호
유형 공신도상
크기(세로×가로) 167.0×109.5㎝


정의

조선시대 문신인 신숙주(申叔舟, 1414-1475)의 모습을 그린 공신도상(功臣圖像)

내용

공신도상의 제작 및 보관

이 그림은 현재 전해오는 신숙주 공신도상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으로 충북 청원군의 구봉영당(구봉영당)에 봉안되어 있다.

이 초상화는 조선 초기의 전형적인 공신도상을 따르고 있어 신숙주가 네 번에 걸쳐 공신에 책록되었을 때 중의 한 시기에 그려졌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문관3품에 해당하는 백한흉배(백한흉배)와 삽은대(삽은대)의 도상이 그림에 등장하고 있다. 신숙주가 문관3품의 직위에 있었을 때는 1453년 정3품 부승지로서 단종을 퇴위시킨 계유정난의 공으로 정난공신에 책훈되었을 시기로 이 초상화는 1453년 무렵이나 그 직후에 그려진 정난공신도상이 된다.[1]

화면의 우상단에는 "조선 영의정 고령부원군 시호 문충 호 보한재 신숙주 자 범옹 진(조선영의정고령부원군시호문충호보한재신숙주자범옹진)"이라는 제기가 있고 왼쪽에는 "성묘을미 공졸후칠십년 을사개장(성묘을미공졸후칠십년을사개장)"이라는 글이 있어서 신숙주 사후 70년 후인 1545년에 그림의 장황을 다시 했음을 알 수 있다.[2]

신숙주의 초상화는 이 공신도상 외에 1749년(영조25)에 제작된 충북 묵정영당 소장본과 1890년(고종 27)에 제작된 평택 고령신씨 사당본이 전하는데 모두 구봉영당의 신숙주 공신도상의 이모본이다. 신숙주 공신도상은 조선 초기 공신도상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며 조선시대 초상화 중 흉배가 그려진 가장 이른 예로도 주목된다.

문헌에 기록된 외모

신숙주의 외모에 관해서는 성현(성현)의 『용재총화(용재총화)』에 짧은 언급이 있다.


Quote-left.png 동지(동지) 홍경손(홍경손)이 젊었을 때 성균관에서 발원시(발원시)를 짓기를, '이석형(이석형)의 글씨, 조계(조계)의 활쏘기, 이인견(이인견)의 젊음과 신숙주(신숙주)의 눈, 이문형(이문형)의 얼굴, 손차면(손차면)의 음(양기)을 한 몸에 지니고 등과하기를 항상 정인지(정인지)와 같게 하리라.' 하고, 미처 아래 구절을 잇지 못하자 중추(중추) 이계전(이계전)이 이때 옆에 있다가 말하기를, '내 이름으로 협운(협운)하면 그대가 이을 수 있으리라.' 하여, 홍경손이 드디어 아래 구절을 이어 말하기를, "위장병은 이계전과 같지 말 것이다" 하니, 모두 포복절도하였다. 이 시의 뜻은 대개 이석형은 글씨를 잘 쓰고, 조계는 활을 잘 쏘며, 이인견은 나이가 어리고 이문형은 얼굴이 아름다우며, 신숙주는 눈이 아름답고, 손차면은 성욕이 강하고, 정인지는 두 번 장원 급제하였으나, 이계전은 위장병이 있음을 말한 것이다. Quote-right.png
출처: 성현(成俔), 『용재총화(용재총화)』 제6권.


공신도상에 묘사된 모습

신숙주 공신도상은 좌안팔분면(좌안팔분면)의 전신교의좌상(전신교의좌상)으로 공수자세를 취한 채 의자에 앉아 있는 모습을 그려졌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신숙주 공신도상 공신도상 A는 B에 해당한다
신숙주 공신도상 신숙주 A는 B를 묘사하였다
신숙주 공신도상 구봉영당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신숙주 공신도상 충북 묵정영당 소장본 신숙주 초상 A는 B로 이모되었다
신숙주 공신도상 평택 고령신씨 사당본 신숙주 초상 A는 B로 이모되었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493년 무렵 신숙주 공신도상이 제작되었다.
1977년 신숙주 공신도상이 보물 제613호로 지정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6.561718 127.557204 신숙주 공신도상구봉영당에 봉안되어 있다.

시각자료

주석

  1.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개, 2009, 441-442쪽.
  2.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296쪽.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더 읽을거리

  • 전시도록
    • 문화체육부, 『표준영정도록-역사를 빛낸 선현』, 문화체육부, 1993.
    • 문화체육부, 『표준영정도록-역사를 빛낸 선현』, 문화체육부, 1999.
    • 이천시립월전미술관, 『월전의 붓끝, 한국화 100년의 역사』, 이천시립월전미술관, 2012.
  • 단행본
    • 장우성, 『월전회고록-화단풍상칠십년』, 미술문화, 2003.
  • 논문
    • 조인수, 「월전 장우성의 초상화」, 『제2회 월전학술포럼』발표자료집, 월전학술포럼, 2014, 1-1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