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행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새 문서: {{개념정보1 |이미지= 궁중기록화 개념 의례 제례 청행례01 종묘대제.jpg |사진출처= [http://www.jongmyo.net/ 종묘대제] |대표명칭= 청행례 |한자표...) |
|||
14번째 줄: | 14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 | |||
[[초헌관]]을 모시는 [[찬례|찬례(贊禮)]]가 [[초헌관]]을 인도해 나와, 제례가 시작되었음을 알린다.<ref>문화재청, 『종묘대제』, 문화재청, 2010, 18쪽.</ref> 보태평지악(保太平之樂)을 연주하고 보태평지무(保太平之舞)를 추며, [[초헌관]]인 [[왕]]이 국궁사배(鞠躬四拜)하면, [[왕세자]], [[백관]] 등 모든 참여자들이 국궁사배(鞠躬四拜)한다.<ref>『國朝五禮儀』 卷1, 「吉禮」 “春秋及臘祭社稷儀”; 『國朝五禮序例』 卷1, 「吉禮」; 문화재청, 『종묘대제』, 문화재청, 2010, 18쪽.</ref> | [[초헌관]]을 모시는 [[찬례|찬례(贊禮)]]가 [[초헌관]]을 인도해 나와, 제례가 시작되었음을 알린다.<ref>문화재청, 『종묘대제』, 문화재청, 2010, 18쪽.</ref> 보태평지악(保太平之樂)을 연주하고 보태평지무(保太平之舞)를 추며, [[초헌관]]인 [[왕]]이 국궁사배(鞠躬四拜)하면, [[왕세자]], [[백관]] 등 모든 참여자들이 국궁사배(鞠躬四拜)한다.<ref>『國朝五禮儀』 卷1, 「吉禮」 “春秋及臘祭社稷儀”; 『國朝五禮序例』 卷1, 「吉禮」; 문화재청, 『종묘대제』, 문화재청, 2010, 18쪽.</ref> | ||
<br/>.<ref>[http://www.jongmyo.net/sub/process/pro_outline.asp 종묘대제]</ref> | <br/>.<ref>[http://www.jongmyo.net/sub/process/pro_outline.asp 종묘대제]</ref> |
2017년 8월 19일 (토) 22:18 판
정의
내용
초헌관을 모시는 찬례(贊禮)가 초헌관을 인도해 나와, 제례가 시작되었음을 알린다.[2] 보태평지악(保太平之樂)을 연주하고 보태평지무(保太平之舞)를 추며, 초헌관인 왕이 국궁사배(鞠躬四拜)하면, 왕세자, 백관 등 모든 참여자들이 국궁사배(鞠躬四拜)한다.[3]
.[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
왕 | 청행례 | A는 B를 거행한다 |
왕세자 | 청행례 | A는 B를 거행한다 |
백관 | 청행례 | A는 B를 행한다 |
청행례 | 종묘제례 | A는 B의 부분이다 |
시각자료
갤러리
국궁사배하는 백관.[5]
영상
주석
- ↑ 문화재청, 『종묘대제』, 문화재청, 2010, 18쪽.
- ↑ 문화재청, 『종묘대제』, 문화재청, 2010, 18쪽.
- ↑ 『國朝五禮儀』 卷1, 「吉禮」 “春秋及臘祭社稷儀”; 『國朝五禮序例』 卷1, 「吉禮」; 문화재청, 『종묘대제』, 문화재청, 2010, 18쪽.
- ↑ 종묘대제
- ↑ 종묘대제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國朝五禮儀』
- 『世宗實錄五禮儀』
- 김문식ㆍ김지영 외 4명, 『왕실의 천지제사』, 돌베개, 2011.
- 김문식ㆍ송지원, 「국가제례의 변천과 복원」, 『서울 20세기 생활ㆍ문화변천사』, 서울시정개발원, 2001.
- 이욱, 「근대 국가의 모색과 국가의례의 변화-1894~1908년 국가 제사의 변화를 중심으로」, 『정신문화연구』 95, 한국학중앙연구원, 2004.
- 이욱, 「조선전기 유교국가의 성립과 국가제사의 변화」, 『한국사연구』 118, 한국사연구회,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