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헌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1번째 줄: 11번째 줄:
  
 
=='''정의'''==
 
=='''정의'''==
제사를 지낼 때 첫 번째로 신위(神位)에 술을 올리는 의절이다. <ref>『國朝五禮序例』 卷1, 「吉禮」 “齋官”; 『世宗實錄五禮儀』 卷128, 「吉禮序例」 “獻官”</ref>=='''내용'''==
+
제사를 지낼 때 첫 번째로 신위(神位)에 술을 올리는 의절이다. <ref>『國朝五禮序例』 卷1, 「吉禮」 “齋官”; 『世宗實錄五禮儀』 卷128, 「吉禮序例」 “獻官”</ref>
 +
 
 +
=='''내용'''==
 
[[집례|집례(執禮)]]가 [[초헌례]]의 시행을 말하면서 시작되며, [[초헌관|초헌관(初獻官)]]이 술잔을 받아 헌작(獻爵)하는 순서로 진행된다. [[초헌례]]를 담당한 관원을 [[초헌관]]이라 불렀다. 제사의 종류에 따라 [[왕]], [[왕세자]], 1품과 2품에 해당하는 [[백관]]이 담당하였고, 지방에서는 [[관찰사|관찰사(觀察使)]]가 담당하였다. 헌작하는 술의 종류도 [[초헌례]]의 경우만 예제(醴齊)를 쓴다. 이후에 [[대축관|대축관(大祝官)]]이 축문(祝文)을 낭독하고 모두 제자리로 돌아가면 의식이 끝난다.<ref>『國朝五禮序例』 卷1, 「吉禮」 “齋官”; 『國朝五禮儀』 卷1, 「吉禮」 “春秋及臘祭社稷儀”, “王世子釋莫文宣王儀“</ref>
 
[[집례|집례(執禮)]]가 [[초헌례]]의 시행을 말하면서 시작되며, [[초헌관|초헌관(初獻官)]]이 술잔을 받아 헌작(獻爵)하는 순서로 진행된다. [[초헌례]]를 담당한 관원을 [[초헌관]]이라 불렀다. 제사의 종류에 따라 [[왕]], [[왕세자]], 1품과 2품에 해당하는 [[백관]]이 담당하였고, 지방에서는 [[관찰사|관찰사(觀察使)]]가 담당하였다. 헌작하는 술의 종류도 [[초헌례]]의 경우만 예제(醴齊)를 쓴다. 이후에 [[대축관|대축관(大祝官)]]이 축문(祝文)을 낭독하고 모두 제자리로 돌아가면 의식이 끝난다.<ref>『國朝五禮序例』 卷1, 「吉禮」 “齋官”; 『國朝五禮儀』 卷1, 「吉禮」 “春秋及臘祭社稷儀”, “王世子釋莫文宣王儀“</ref>
  

2017년 8월 19일 (토) 20:06 판

초헌례
(初獻禮)
대표명칭 초헌례
한자표기 初獻禮
이칭 초헌(初獻)
유형 의례
관련개념 길례(제례)



정의

제사를 지낼 때 첫 번째로 신위(神位)에 술을 올리는 의절이다. [1]

내용

집례(執禮)초헌례의 시행을 말하면서 시작되며, 초헌관(初獻官)이 술잔을 받아 헌작(獻爵)하는 순서로 진행된다. 초헌례를 담당한 관원을 초헌관이라 불렀다. 제사의 종류에 따라 , 왕세자, 1품과 2품에 해당하는 백관이 담당하였고, 지방에서는 관찰사(觀察使)가 담당하였다. 헌작하는 술의 종류도 초헌례의 경우만 예제(醴齊)를 쓴다. 이후에 대축관(大祝官)이 축문(祝文)을 낭독하고 모두 제자리로 돌아가면 의식이 끝난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초헌례 A는 B를 거행한다
백관 초헌례 A는 B를 행한다
초헌례 종묘제례 A는 B의 부분이다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國朝五禮序例』 卷1, 「吉禮」 “齋官”; 『世宗實錄五禮儀』 卷128, 「吉禮序例」 “獻官”
  2. 『國朝五禮序例』 卷1, 「吉禮」 “齋官”; 『國朝五禮儀』 卷1, 「吉禮」 “春秋及臘祭社稷儀”, “王世子釋莫文宣王儀“
  3. 종묘대제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國朝五禮儀』
  • 『世宗實錄五禮儀』
  • 김문식ㆍ김지영 외 4명, 『왕실의 천지제사』, 돌베개, 2011.
  • 김문식ㆍ송지원, 「국가제례의 변천과 복원」, 『서울 20세기 생활ㆍ문화변천사』, 서울시정개발원, 2001.
  • 이욱, 「근대 국가의 모색과 국가의례의 변화-1894~1908년 국가 제사의 변화를 중심으로」, 『정신문화연구』 95, 한국학중앙연구원, 2004.
  • 이욱, 「조선전기 유교국가의 성립과 국가제사의 변화」, 『한국사연구』 118, 한국사연구회, 2002.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