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왕비의 대례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13번째 줄: 13번째 줄:
  
 
==정의==
 
==정의==
국가의 큰 [[제례]]를 올리거나 [[혼례]]를 올릴 때 또는 책봉을 받을 때 착용하는 예복이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00쪽.</ref>
+
국가의 큰 [[제례]]를 올리거나 [[혼례]]를 올릴 때 또는 책봉을 받을 때 착용하는 예복이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00쪽.</ref> 조선시대 적의 제도는 명에서 사여받은 것으로 대홍색 대삼에 수원적을 붙인 [[적의]]이며 대한제국시대의 적의 제도는 『[[대명회전]]』에 근거하여 새로 마련한 심청색 [[적의]]이다.<ref>이민주,『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4, 105쪽.</ref> 적의는 꿩무늬[적문(翟紋)]가 직조된 직물로 만든 옷이라 하여 붙여진 명칭으로<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00쪽.</ref> 대한제국시대의 적의 제도는 착용자의 신분에 따라 꿩무늬 줄수에 차등을 두었으며 [[왕비]]는 [[황태자비]]와 같은 9등(等)이다.
조선시대 적의 제도는 명에서 사여받은 것으로 대홍색 대삼에 수원적을 붙인 [[적의]]이며 대한제국시대의 적의 제도는 『[[대명회전]]』에 근거하여 새로 마련한 심청색 [[적의]]이다.<ref>이민주,『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4, 105쪽.</ref> 적의는 꿩무늬[적문(翟紋)]가 직조된 직물로 만든 옷이라 하여 붙여진 명칭으로<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00쪽.</ref> 대한제국시대의 적의 제도는 착용자의 신분에 따라 꿩무늬 줄수에 차등을 두었으며 [[왕비]]는 [[황태자비]]와 같은 9등(等)이다.
 
  
 
==복식구성<ref>이민주,『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4, 104쪽.</ref>==
 
==복식구성<ref>이민주,『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4, 104쪽.</ref>==

2017년 7월 22일 (토) 08:20 판


왕비의 대례복
(王妃의 大禮服)
대표명칭 왕비의 대례복
한자표기 王妃의 大禮服
이칭별칭 적의(翟衣)
분류 예복
착용신분 왕비
착용성별 여성



정의

국가의 큰 제례를 올리거나 혼례를 올릴 때 또는 책봉을 받을 때 착용하는 예복이다.[1] 조선시대 적의 제도는 명에서 사여받은 것으로 대홍색 대삼에 수원적을 붙인 적의이며 대한제국시대의 적의 제도는 『대명회전』에 근거하여 새로 마련한 심청색 적의이다.[2] 적의는 꿩무늬[적문(翟紋)]가 직조된 직물로 만든 옷이라 하여 붙여진 명칭으로[3] 대한제국시대의 적의 제도는 착용자의 신분에 따라 꿩무늬 줄수에 차등을 두었으며 왕비황태자비와 같은 9등(等)이다.

복식구성[4]


관련항목

참고문헌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4.
  •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아름다운 시작』,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2010.

주석

  1.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00쪽.
  2. 이민주,『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4, 105쪽.
  3.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00쪽.
  4. 이민주,『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4, 10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