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23번째 줄: | 23번째 줄: | ||
작품의 배경은 1377년([[우왕]] 3) [[최무선]]의 건의로 설치된 [[화통도감|화통도감(火筒都監)]]으로, [[화약]] 및 화기의 제조를 담당했던 임시관청이다. | 작품의 배경은 1377년([[우왕]] 3) [[최무선]]의 건의로 설치된 [[화통도감|화통도감(火筒都監)]]으로, [[화약]] 및 화기의 제조를 담당했던 임시관청이다. | ||
− | == | + | ===그림 읽기=== |
*그림 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그림 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 ||
33번째 줄: | 33번째 줄: | ||
</imagemap> | </imagemap> | ||
− | ==''' | + | =='''지식 관계망'''== |
− | < | + | <font color="red">'''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font> |
− | + | <html> | |
− | + |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Graph/w09/w09i.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 | + | </html> |
− | == | +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87번째 줄: | 87번째 줄: | ||
|} | |} | ||
− | == | +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104번째 줄: | 104번째 줄: | ||
|} | |} | ||
− | == | + | ===공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114번째 줄: | 114번째 줄: | ||
|} | |} | ||
− | == | + | ===관련 민족기록화=== |
−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군사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 | 파일:이종상-태종무열왕-1976s.jpg|신라시대 [[이종상-태종무열왕]] | |
− | </ | + | 파일:최대섭-화약제조(최무선)-1979s.jpg|조선시대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
+ | </gallery> | ||
+ | |||
+ | =='''시각자료'''== | ||
+ | ===가상현실=== | ||
+ | <font color="red">'''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font> | ||
+ | |||
+ | ===갤러리=== | ||
+ | |||
+ | ===영상=== | ||
+ | |||
+ | =='''주석'''== | ||
+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9&cp_code=cp0208&index_id=cp02081490&content_id=cp020814900001&search_left_menu=2 최무선]",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원형백과 한민족 전투』<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콘텐츠닷컴. 최종확인: 2017년 01월 31일. | + | ===인용 및 참조===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4765 화약]",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1월 31일. | + | * 웹자원 |
+ |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9&cp_code=cp0208&index_id=cp02081490&content_id=cp020814900001&search_left_menu=2 최무선]",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원형백과 한민족 전투』<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콘텐츠닷컴. 최종확인: 2017년 01월 31일. |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4765 화약]",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1월 31일. |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고려]][[분류:군사]]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고려]][[분류:군사]] |
2017년 6월 13일 (화) 19:39 판
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 |
작가 | 최대섭 |
---|---|
제작연도 | 1979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군사 |
분류 | 유화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
목차
정의
고려시대 배경의 민족기록화 열 한 작품 중 하나로, 고려 후기 무신 최무선이 화통도감(火筒都監)에서 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장면을 담았다.
설명
작품 소재
작품 중앙에 위치한 최무선을 중심으로 화약 제조과정이 그려져 있다.
≪신전자취염초방≫의 설명에 따르면, 화약의 주원료인 염초를 제조하기 위해 흙과 재를 받아 같은 부피의 비율로 섞는데, 이는 작품 중앙 하단에서 원료를 빻고 있는 사람과 그 오른쪽에 그려진 원료 바구니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혼합된 원료를 항아리 안에 펴고 물을 위에 부어 흘러나오는 물을 받아 가마에 넣고 달여야 하는데, 이는 작품 오른편 상단에 그려져 있다. 혼합된 원료를 걸러내어 세 번 끓여 식히면 초석이 생기는데 이는 최무선 왼편에 검정색 결정으로 묘사되어 있다.
작품 왼쪽 상단에서 이렇게 만들어진 화약을 사용하는 화포를 확인할 수 있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1377년(우왕 3) 최무선의 건의로 설치된 화통도감(火筒都監)으로, 화약 및 화기의 제조를 담당했던 임시관청이다.
그림 읽기
- 그림 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지식 관계망
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최대섭 |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 A는 B를 그렸다 | 1979년 |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 최무선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 화포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 화약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 화통도감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
한국학중앙연구원 |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 |
인천광역시립박물관 |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 A가 B를 대여하였다 | |
최무선 | 이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최무선 | 화통도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최무선 | 화약 | A는 B를 제작하였다 | |
최무선 | 화포 | A는 B를 제작하였다 | |
최무선 | 대장군포 | A는 B를 제작하였다 | |
최무선 | 피령전 | A는 B를 제작하였다 | |
최무선 | 최해산 | A는 B의 아버지다 | |
최무선 | 진포대첩 | A는 B를 지휘하였다 | 1380년 8월 |
최무선 | 나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최무선 | 심덕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나세 | 진포대첩 | A는 B에 참가하였다 | 1380년 8월 |
심덕부 | 진포대첩 | A는 B에 참가하였다 | 1380년 8월 |
강학태 | 최무선(소설) | A는 B를 저술하였다 | 2006년 10월 16일 |
최무선 | 최무선(소설)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9년 | 최대섭이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을 제작하였다 |
1377년 | 최무선의 건의로 화통도감이 설치되었다 |
1380년 8월 | 최무선이 진포대첩을 지휘하였다 |
1380년 8월 | 나세가 진포대첩에 참가하였다 |
1380년 8월 | 심덕부가 진포대첩에 참가하였다 |
2006년 10월 16일 | 강학태가 최무선(소설)을 저술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420575 | 126.6512053 | 인천광역시립박물관이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을 대여하였다 |
37.3915557 | 127.0547403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을 소장하고 있다 |
관련 민족기록화
신라시대 이종상-태종무열왕
시각자료
가상현실
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
갤러리
영상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