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전면) |
|||
30번째 줄: | 30번째 줄: | ||
===비문=== | ===비문=== | ||
====전면==== | ====전면==== | ||
− | 비문에는 지광국사가 불교에 입문해서 목숨을 다할 때까지의 행장과 공적을 추모하는 글이 새겨져 있다. <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2756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구체적으로는 지광국사가 태어나 출가하여 [[개성 왕륜사|왕륜사]] 대선장에서 승과에 급제하고 궁궐에서 법화경을 강설하였으며 문벌 [[이자연|이자연(李子淵)]]의 아들인 [[소현|소현(韶顯)]]이 제자가 되고 [[고려 문종]]이 현화사에 주석하게 하며 왕사와 국사로 연이어 책봉을 받고 입적하여 비를 세우게 된 과정을 기술하였다. 이 내용 중에서 왕사로 책봉할 때의 과정과 승계가 올라갈 때마다 가사를 하사받고 법호를 받았던 사실을 알 수 있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61 법천사지광국사현묘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원.</ref> | + | 비문에는 지광국사가 불교에 입문해서 목숨을 다할 때까지의 행장과 공적을 추모하는 글이 새겨져 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2756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구체적으로는 지광국사가 태어나 출가하여 [[개성 왕륜사|왕륜사]] 대선장에서 승과에 급제하고 궁궐에서 법화경을 강설하였으며 문벌 [[이자연|이자연(李子淵)]]의 아들인 [[소현|소현(韶顯)]]이 제자가 되고 [[고려 문종]]이 현화사에 주석하게 하며 왕사와 국사로 연이어 책봉을 받고 입적하여 비를 세우게 된 과정을 기술하였다. 이 내용 중에서 왕사로 책봉할 때의 과정과 승계가 올라갈 때마다 가사를 하사받고 법호를 받았던 사실을 알 수 있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61 법천사지광국사현묘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원.</ref> |
− | + | ||
====후면==== | ====후면==== | ||
음기에는 국사의 문도를 열거하였는데 수교계업자(受敎繼業者)<ref>직접 제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766 선생]",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수직가계자(隨職加階者)<ref>고승이 주관하는 불사를 도와서 품계가 올라간 승려.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766 선생]",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와 모덕귀화자(慕德歸化者)<ref>다른 고승의 제자였으나 감화를 받아 제자로 된 승려.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766 선생]",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와 선후사이몰세자(先後師而沒世者)의 네 부류로 구분하여 각각의 부류마다 [[승통|승통(僧統)]], [[수좌|수좌(首座)]], [[삼중대사|삼중대사(三重大師)]], [[중대사|중대사(重大師)]], [[대사|대사(大師)]], [[대덕|대덕(大德)]]으로 나누어 언급된 인명이 1400인에 이른다. 고려의 승려 문도를 성격에 따라 구분한 좋은 예를 보여주는 자료이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61 법천사지광국사현묘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원.</ref> | 음기에는 국사의 문도를 열거하였는데 수교계업자(受敎繼業者)<ref>직접 제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766 선생]",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수직가계자(隨職加階者)<ref>고승이 주관하는 불사를 도와서 품계가 올라간 승려.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766 선생]",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와 모덕귀화자(慕德歸化者)<ref>다른 고승의 제자였으나 감화를 받아 제자로 된 승려.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766 선생]",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와 선후사이몰세자(先後師而沒世者)의 네 부류로 구분하여 각각의 부류마다 [[승통|승통(僧統)]], [[수좌|수좌(首座)]], [[삼중대사|삼중대사(三重大師)]], [[중대사|중대사(重大師)]], [[대사|대사(大師)]], [[대덕|대덕(大德)]]으로 나누어 언급된 인명이 1400인에 이른다. 고려의 승려 문도를 성격에 따라 구분한 좋은 예를 보여주는 자료이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61 법천사지광국사현묘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원.</ref> |
2017년 6월 6일 (화) 16:44 판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原州 法泉寺址 智光國師塔碑) |
|
대표명칭 |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
---|---|
영문명칭 | Stele for State Preceptor Jigwang at Beopcheonsa Temple Site, Wonju |
한자 | 原州 法泉寺址 智光國師塔碑 |
주소 |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법천리 산70 |
문화재 지정번호 | 국보 제59호 |
문화재 지정일 | 1962년 12월 20일 |
찬자 | 정유산(鄭惟産) |
서자 | 안민후(安民厚) |
서체 | 해서(楷書) |
승려 | 해린(海麟) |
승탑 |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
|
정의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원주 법천사지에 있는 지광국사 혜린(智光國師 海麟, 984-1070)의 탑비.
내용
개요
비신의 높이 2.97m, 너비 1.42m.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는 거북받침돌 위로 비몸돌을 세우고 왕관 모양의 이수를 올린 모습이다. 거북은 목을 곧게 세우고 입을 벌린 채 앞을 바라보고 있는데, 얼굴은 거북이라기보다 용의 얼굴에 가까운 형상으로, 턱 밑에는 길다란 수염이 달려 있고 눈을 부릅뜨고 있다.[1] 귀부 등은 여러개의 사각형으로 면을 나누고 ‘王’자를 새겼다. 비신 양쪽 옆에는 구름과 용을 표현하고 가장자리에는 보상당초문을 새겼다. 이수에는 귀꽃이 달려있고 그 중심에는 3단으로 이루어진 연꽃무늬 조각이 얹어져있다.[2] 비문은 정유산(鄭惟産)이 짓고 안민후(安民厚)가 썼다. 글씨는 구양순체를 기본으로 부드러움과 단아함을 추구하였다. 지광국사탑은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 보관중이며[3], 탑비는 국보 제59호로 지정되어있다.[4]
비문
전면
비문에는 지광국사가 불교에 입문해서 목숨을 다할 때까지의 행장과 공적을 추모하는 글이 새겨져 있다.[5] 구체적으로는 지광국사가 태어나 출가하여 왕륜사 대선장에서 승과에 급제하고 궁궐에서 법화경을 강설하였으며 문벌 이자연(李子淵)의 아들인 소현(韶顯)이 제자가 되고 고려 문종이 현화사에 주석하게 하며 왕사와 국사로 연이어 책봉을 받고 입적하여 비를 세우게 된 과정을 기술하였다. 이 내용 중에서 왕사로 책봉할 때의 과정과 승계가 올라갈 때마다 가사를 하사받고 법호를 받았던 사실을 알 수 있다.[6]
후면
음기에는 국사의 문도를 열거하였는데 수교계업자(受敎繼業者)[7], 수직가계자(隨職加階者)[8]와 모덕귀화자(慕德歸化者)[9]와 선후사이몰세자(先後師而沒世者)의 네 부류로 구분하여 각각의 부류마다 승통(僧統), 수좌(首座), 삼중대사(三重大師), 중대사(重大師), 대사(大師), 대덕(大德)으로 나누어 언급된 인명이 1400인에 이른다. 고려의 승려 문도를 성격에 따라 구분한 좋은 예를 보여주는 자료이다.[10]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 혜린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문화재검색』online , 문화재청. - ↑ 행복한놀부,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네이버 블로그 - 절(터)로 떠나는 불교기행』online , 작성일: 2013년 1월 16일. - ↑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문화재검색』online , 문화재청. - ↑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법천사지광국사현묘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원. - ↑ 직접 제자. "선생",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고승이 주관하는 불사를 도와서 품계가 올라간 승려. "선생",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다른 고승의 제자였으나 감화를 받아 제자로 된 승려. "선생",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법천사지광국사현묘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