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 회암사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26번째 줄: | 26번째 줄: | ||
===역사=== | ===역사=== | ||
− | 회암사가 정확히 언제 창건되었는지는 기록에 남아있지 않으나, [[동국여지승람|《동국여지승람》]]에 보면, 1174년(고려 명종 4) 금나라의 사신이 회암사에 왕래했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것으로 미루어보아 12세기쯤 창건된 것으로 추정한다.<ref>"[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travel/history/content/cms_view_449983.jsp 조선 불교의 흥망성쇠 현장으로- 양주 회암사지]" 국내관광진흥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대한민국 구석구석』<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관광공사. 최종수정일: 2016년 9월 19일</ref> 그 뒤 1328년(충숙왕 15) 인도에서 원나라를 거쳐 들어온 [[지공]]이 인도의 나란타사(羅爛陀寺)를 본떠서 266칸의 대규모 사찰로 중창하였으며, 1378년(우왕 4) [[나옹]]이 중건하였다 한다. <ref>한정수,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4301191 회암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회암사가 정확히 언제 창건되었는지는 기록에 남아있지 않으나, [[동국여지승람|《동국여지승람》]]에 보면, 1174년(고려 명종 4) 금나라의 사신이 회암사에 왕래했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것으로 미루어보아 12세기쯤 창건된 것으로 추정한다.<ref>"[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travel/history/content/cms_view_449983.jsp 조선 불교의 흥망성쇠 현장으로- 양주 회암사지]" 국내관광진흥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대한민국 구석구석』<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관광공사. 최종수정일: 2016년 9월 19일.</ref> 그 뒤 1328년(충숙왕 15) 인도에서 원나라를 거쳐 들어온 [[지공]]이 인도의 나란타사(羅爛陀寺)를 본떠서 266칸의 대규모 사찰로 중창하였으며, 1378년(우왕 4) [[나옹]]이 중건하였다 한다. <ref>한정수,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4301191 회암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 같은 내용은 고려 말에 목은 [[이색]]이 쓴 《천보산회암사수조기》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총 262칸에 전각들로 이루어진 회암사의 가람은 동방에 제일이며 법당에는 15척(4.5m)의 불상 7구와 10척(3m)의 관음상이 봉안되어 있다고 했다.<ref>"[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travel/history/content/cms_view_449983.jsp 조선 불교의 흥망성쇠 현장으로- 양주 회암사지]" 국내관광진흥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대한민국 구석구석』<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관광공사. 최종수정일: 2016년 9월 19일.</ref> |
[[조선 태조]]는 나옹의 제자인 무학대사를 회암사에 머무르게 하여 불사가 있을 때마다 대신을 보내 찬례토록 하였으며, 왕 위에서 물러난 뒤에는 친히 회암사에 머물면서 수도생활을 했다. 그 뒤로도 회암사는 조선 왕실과 지속적인 인연을 맺어오다가 명종 때 [[보우]]가 머물면서 다시 번창하게 된다. 하지만 명종의 어머니인 문정왕후의 후원으로 기세를 올리던 보우는 문정왕후가 죽은 뒤로 제주도로 유배되어 살해되었고, 문정왕후와 보우에 대한 유생들의 반감이 회암사를 폐사시켰다.<ref>"[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travel/history/content/cms_view_449983.jsp 조선 불교의 흥망성쇠 현장으로- 양주 회암사지]" 국내관광진흥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대한민국 구석구석』<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관광공사. 최종수정일: 2016년 9월 19일.</ref> 이후 대사찰이 폐사되면서 순조 21년(1821년)에 이응준이란 자가 술사 조대진의 말을 듣고 이 곳 법당자리에 선친의 묘소를 옮기기 위하여 절터에 남아있던 지공과 무학의 비를 철거하였으나 이 사실이 알려지자 나라에서 두 사람을 섬으로 유배하고 순조 28년(1828)에 비를 원래의 위치에 다시 세웠다고 전하고 있다. | [[조선 태조]]는 나옹의 제자인 무학대사를 회암사에 머무르게 하여 불사가 있을 때마다 대신을 보내 찬례토록 하였으며, 왕 위에서 물러난 뒤에는 친히 회암사에 머물면서 수도생활을 했다. 그 뒤로도 회암사는 조선 왕실과 지속적인 인연을 맺어오다가 명종 때 [[보우]]가 머물면서 다시 번창하게 된다. 하지만 명종의 어머니인 문정왕후의 후원으로 기세를 올리던 보우는 문정왕후가 죽은 뒤로 제주도로 유배되어 살해되었고, 문정왕후와 보우에 대한 유생들의 반감이 회암사를 폐사시켰다.<ref>"[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travel/history/content/cms_view_449983.jsp 조선 불교의 흥망성쇠 현장으로- 양주 회암사지]" 국내관광진흥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대한민국 구석구석』<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관광공사. 최종수정일: 2016년 9월 19일.</ref> 이후 대사찰이 폐사되면서 순조 21년(1821년)에 이응준이란 자가 술사 조대진의 말을 듣고 이 곳 법당자리에 선친의 묘소를 옮기기 위하여 절터에 남아있던 지공과 무학의 비를 철거하였으나 이 사실이 알려지자 나라에서 두 사람을 섬으로 유배하고 순조 28년(1828)에 비를 원래의 위치에 다시 세웠다고 전하고 있다. | ||
1922년에는 봉선사 주지 [[홍월초]]가 새로 보전을 지어 불상을 봉안하고 [[지공]], [[나옹]], [[무학]]의 세 화상의 진영을 모셨다고 한다. 이후 1977년에 [[호선]]이 서북쪽에 큰 법당을 지었다.1964년 이곳을 국가지정 사적 제128호로 지정하여 보존.관리해오다가 1996년부터 우회도로 개설과 사지에 대한 장기적인 조사. 발굴 계획을 수립하여 현재 경기도 박물관에서 조사. 발굴하고 있다.<ref>"[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6544&out_service=Y 양주 회암사지]" 국내관광진흥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대한민국 구석구석』<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관광공사.</ref> | 1922년에는 봉선사 주지 [[홍월초]]가 새로 보전을 지어 불상을 봉안하고 [[지공]], [[나옹]], [[무학]]의 세 화상의 진영을 모셨다고 한다. 이후 1977년에 [[호선]]이 서북쪽에 큰 법당을 지었다.1964년 이곳을 국가지정 사적 제128호로 지정하여 보존.관리해오다가 1996년부터 우회도로 개설과 사지에 대한 장기적인 조사. 발굴 계획을 수립하여 현재 경기도 박물관에서 조사. 발굴하고 있다.<ref>"[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6544&out_service=Y 양주 회암사지]" 국내관광진흥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대한민국 구석구석』<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관광공사.</ref>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95번째 줄: | 83번째 줄: | ||
|[[조선 태조]] || 양주 회암사지 || A는 B와 관련있다 || | |[[조선 태조]] || 양주 회암사지 || A는 B와 관련있다 || | ||
|} | |} | ||
+ | |||
+ | =='''시각 자료'''== | ||
+ | |||
+ | ===영상=== | ||
+ | * TAEMIX STUDIO, "[https://www.youtube.com/watch?v=v2tJ6VckNak 사라진 절터의 비밀,회암사지 - 태믹스의 역사지식문화 콘텐츠]", YouTube, 게시일: 2015년 6월 3일. | ||
+ | <html> | ||
+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v2tJ6VckNak"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622년산 양주, "[https://www.youtube.com/watch?v=ueqxrSiRDIw 삼화상과 거대사찰 회암사 양주의 유산]", YouTube, 게시일: 2014년 4월 13일. | ||
+ | <html> | ||
+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ueqxrSiRDIw"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2017년 5월 15일 (월) 23:23 판
양주 회암사지 (楊州 檜巖寺址) |
|
대표명칭 | 양주 회암사지 |
---|---|
한자 | 楊州 檜巖寺址 |
주소 |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산14 |
문화재 지정번호 | 사적 제 128호 |
문화재 지정일 | 1964년 6월 10일 |
건립시기 | 1328년(충숙왕 15) |
창건자 | 지공 |
경내문화재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앞 쌍사자 석등 |
|
정의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천보산(天寶山)에 있는 절.[1]
내용
역사
회암사가 정확히 언제 창건되었는지는 기록에 남아있지 않으나, 《동국여지승람》에 보면, 1174년(고려 명종 4) 금나라의 사신이 회암사에 왕래했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것으로 미루어보아 12세기쯤 창건된 것으로 추정한다.[2] 그 뒤 1328년(충숙왕 15) 인도에서 원나라를 거쳐 들어온 지공이 인도의 나란타사(羅爛陀寺)를 본떠서 266칸의 대규모 사찰로 중창하였으며, 1378년(우왕 4) 나옹이 중건하였다 한다. [3] 이 같은 내용은 고려 말에 목은 이색이 쓴 《천보산회암사수조기》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총 262칸에 전각들로 이루어진 회암사의 가람은 동방에 제일이며 법당에는 15척(4.5m)의 불상 7구와 10척(3m)의 관음상이 봉안되어 있다고 했다.[4]
조선 태조는 나옹의 제자인 무학대사를 회암사에 머무르게 하여 불사가 있을 때마다 대신을 보내 찬례토록 하였으며, 왕 위에서 물러난 뒤에는 친히 회암사에 머물면서 수도생활을 했다. 그 뒤로도 회암사는 조선 왕실과 지속적인 인연을 맺어오다가 명종 때 보우가 머물면서 다시 번창하게 된다. 하지만 명종의 어머니인 문정왕후의 후원으로 기세를 올리던 보우는 문정왕후가 죽은 뒤로 제주도로 유배되어 살해되었고, 문정왕후와 보우에 대한 유생들의 반감이 회암사를 폐사시켰다.[5] 이후 대사찰이 폐사되면서 순조 21년(1821년)에 이응준이란 자가 술사 조대진의 말을 듣고 이 곳 법당자리에 선친의 묘소를 옮기기 위하여 절터에 남아있던 지공과 무학의 비를 철거하였으나 이 사실이 알려지자 나라에서 두 사람을 섬으로 유배하고 순조 28년(1828)에 비를 원래의 위치에 다시 세웠다고 전하고 있다.
1922년에는 봉선사 주지 홍월초가 새로 보전을 지어 불상을 봉안하고 지공, 나옹, 무학의 세 화상의 진영을 모셨다고 한다. 이후 1977년에 호선이 서북쪽에 큰 법당을 지었다.1964년 이곳을 국가지정 사적 제128호로 지정하여 보존.관리해오다가 1996년부터 우회도로 개설과 사지에 대한 장기적인 조사. 발굴 계획을 수립하여 현재 경기도 박물관에서 조사. 발굴하고 있다.[6]
지식 관계망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174년 | 금나라의 사신이 회암사에 왕래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
1328년 | 원나라에서 온 지공이 인도의 나란타사를 본떠서 회암사를 중창했다. |
1378년 | 나옹이 회암사를 중건했다. |
조선 태조 | 조선 태조가 무학을 회암사에 머무르게 하였다. |
722년 | 삼법이 쌍계사(옥천사)를 창건하였다. |
1821년 | 이응준이 회암사에서 지공과 무학의 비를 철거하였다 |
1828년 | 지공과 무학의 비를 원래 위치에 다시 세웠다 |
1964년 | 회암사지가 국가지정 사적 제128호로 지정되었다 |
1996년~ | 경기도 박물관에서 회암사지를 조사, 발굴하고 있다 |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 양주 회암사지 | A는 B에 있다 | |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 양주 회암사지 | A는 B에 있다 | |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앞 쌍사자 석등 | 양주 회암사지 | A는 B에 있다 |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 나옹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 무학 | A는 B를 위한 탑이다 | |
나옹 | 양주 회암사지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
이색 | 양주 회암사지 | A는 B와 관련있다 | |
무학 | 양주 회암사지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
보우 | 양주 회암사지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
지공 | 양주 회암사지 | A는 B를 창건하였다 | |
조선 태조 | 양주 회암사지 | A는 B와 관련있다 |
시각 자료
영상
- TAEMIX STUDIO, "사라진 절터의 비밀,회암사지 - 태믹스의 역사지식문화 콘텐츠", YouTube, 게시일: 2015년 6월 3일.
- 622년산 양주, "삼화상과 거대사찰 회암사 양주의 유산", YouTube, 게시일: 2014년 4월 13일.
참고문헌
주석
- ↑ 조유선,"양주 회암사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수정일: 2013년 10월 14일. - ↑ "조선 불교의 흥망성쇠 현장으로- 양주 회암사지" 국내관광진흥팀,
『대한민국 구석구석』online , 한국관광공사. 최종수정일: 2016년 9월 19일. - ↑ 한정수, "회암사",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조선 불교의 흥망성쇠 현장으로- 양주 회암사지" 국내관광진흥팀,
『대한민국 구석구석』online , 한국관광공사. 최종수정일: 2016년 9월 19일. - ↑ "조선 불교의 흥망성쇠 현장으로- 양주 회암사지" 국내관광진흥팀,
『대한민국 구석구석』online , 한국관광공사. 최종수정일: 2016년 9월 19일. - ↑ "양주 회암사지" 국내관광진흥팀,
『대한민국 구석구석』online , 한국관광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