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 기록)
(관련 기록)
65번째 줄: 65번째 줄:
 
   甲辰奉國書, 往日本人, 加時焉
 
   甲辰奉國書, 往日本人, 加時焉
 
   갑진(1604)년에 국서를 받들고, 일본에 가게 되었는데, 일본 사람들이 그를 특별히 대우하였다.
 
   갑진(1604)년에 국서를 받들고, 일본에 가게 되었는데, 일본 사람들이 그를 특별히 대우하였다.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4890
 
  
 
=='''평가'''==
 
=='''평가'''==

2016년 12월 27일 (화) 12:58 판

틀:인물정보 김지선

개요

유정(惟政)은 조선 중기의 고승, 승장(僧將)이다. 속성은 임(任), 속명은 응규(應奎), 자는 이환(離幻), 호는 송운(松雲), 당호는 사명당(泗溟堂), 별호는 종봉(鍾峯), 본관은 풍천이며, 시호는 자통홍제존자(慈通弘濟尊者)이다. 법명인 유정보다 당호인 사명당(泗溟堂)으로 더 유명하고, 존경의 뜻을 담아 사명대사(泗溟大師)라고도 부른다.
승려의 몸으로 국가의 위기에 몸소 뛰쳐나와 의승(義僧)을 이끌고 전공을 세웠으며 전후의 대일 강화조약 등 눈부신 활약은 후세 국민이 민족의식을 발현하는 데 크게 이바지하였다.

생애

경상남도 밀양에서 임수성(任守成)의 아들로 태어났다.

일찍 부모를 여읜 사명당은 13세에 황여헌(黃汝獻)에게 사사(師事)하다가 황악산 직지사에 들어가 신묵화상(信默和尙)에게 선(禪)을 받아 승려가 되었고, 거기에서 불교의 오의(奧義)를 깨달았다. 1561년(명종 16) 선과(禪科)에 급제하고 당시의 학자·대부·시인들이었던 사암(思菴) 박순(朴淳)·하곡(荷谷) 허봉(許篈)·백호(白湖) 임제(林悌) 등과 교제하였다.

1575년(선조 8년) 선종(禪宗)의 주지로 추대되었으나 사양하고 묘향산에 들어가 휴정(서산대사)에게서 성종(成宗)을 강의 받고 크게 각성하였다.[3] 금강산 보덕사(報德寺)에서 3년을 지내고, 다시 팔공산·청량산·태백산 등을 유람했으며, 43세 때 옥천산(沃川山) 상동암(上東菴)에서 하룻밤 소나기에 뜰에 떨어진 꽃을 보고 인생의 무상함을 깨닫고 문도들을 해산시킨 다음 오랫동안 참선하였으며, 46세에 오대산 영감란야(靈鑑蘭若)에 있다가 역옥에 죄 없이 걸렸으나 무죄 석방되어 금강산에서 3년 동안 지냈다.

활동사항

임진왜란 이전

경상남도 밀양에서 임수성(任守成)의 아들로 태어났다. 사명당은 7세를 전후하여 『사략』을 배웠고, 13세에 황여헌(黃汝獻)을 사사(師事)하다가 1558년(명종 13) 어머니가 죽고, 1559년 아버지가 죽자 김천 황악산 직지사(直指寺)로 출가하여 들어가 직지사(直指寺)로 출가하여 신묵(信默)의 제자가 되었다. 3년 뒤 승과(僧科)에 합격하자, 박순(朴淳),임제(林悌) 등의 유생들과 사귀었으며, 재상인 노수신(盧守愼)으로부터 『노자』, 『장자』, 『문자』, 『열자』와 시를 배웠다.
그 뒤 직지사의 주지를 지냈으며, 1575년(선조 8) 선종이 선종수사찰(禪宗首寺刹)인 봉은사(奉恩寺)의 주지로 천거하였으나 사양하고, 묘향산 보현사(普賢寺)의 휴정(休靜)을 찾아가서 도를 닦았다.
1578년부터 팔공산·금강산·청량산·태백산 등을 다니면서 선을 닦아, 1586년(선조 19) 옥천산(沃川山) 상동암(上東庵)에서 하룻밤 소나기에 뜰에 떨어진 꽃을 보고 인생의 무상함을 깨닫고 문도들을 해산시킨 다음 오랫동안 참선하였다.
1589년 그의 나이 43세 때 정여립 모반사건에 연류되었다는 모함을 받았으나, 강릉의 유생들이 무죄를 항소하여 석방되어 금강산에서 3년 동안 지냈다.

임진왜란

1592년 임진왜란 때, 유점사(楡岾寺) 인근 아홉 고을의 백성들을 구출하였다. 이 때 조정의 근왕문(勤王文)과 스승 휴정의 격문을 받고 의승병을 모아 순안으로 가서 휴정과 합류하였다. 그곳에서 의승도대장(義僧都大將)이 되어 승병 2,000명을 이끌고 평양성과 중화(中和) 사이의 길을 차단하여 평양성 탈환의 전초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 뒤 전후 네 차례에 걸쳐 대표로 나아가 적진에서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와 회담을 가졌다. 제1차 회담(1594년 4월 13∼16일)·제2차 회담(1594년 7월 12∼16일)·제3차 회담(1594년 12월 23일)·제4차 회담(1597년 3월 18일)에서, 강화5조약으로 제시된 ‘천자와 결혼할 것, 조선 4도를 일본에 할양할 것, 전과 같이 교린 할 것, 왕자 1명을 일본에 영주하게 할 것, 조선의 대신·대관을 일본에 볼모로 보낼 것’ 등을 하나하나 논리적인 담판으로 물리쳤다.
제2차 회담 후, 선조에게 회담의 전말과 적의 동정 및 대처 방안을 내용으로 하는 「토적보민사소(討賊保民事疏)」를 올렸는데, 국민을 총동원하여 빈틈없는 작전을 세울 것, 적과 교린(交隣)하여 백성을 편안하게 하고 농업을 장려하는 동시에 민력(民力)을 무장할 것, 군수 무기를 준비할 것 등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또한, 1595년에 올린 을미상소의 주요 내용은, 탐관오리들을 소탕할 것, 국세 회복을 위해 방어책을 세울 것, 인물 본위로 등용할 것, 군정(軍政)과 중농정책을 확립할 것, 산성을 수축하고 군량·마초·방어무기를 준비할 것, 승려도 국가 수비의 일익을 담당하게 할 것 등이다.
그가 수축한 산성은 팔공산성(八公山城)·금오산성(金烏山城)·용기산성(龍起山城)·악견산성(岳堅山城)·이숭산성(李崇山城, 또는 美崇山城)·부산성(釜山城) 및 남한산성 등이다. 군기 제조에도 힘을 기울여 활촉 등의 무기를 만들었고, 투항한 왜군 조총병을 비변사에 인도하여 화약 제조법과 조총 사용법을 가르치도록 하였다.
또한, 1594년 의령에 주둔하였을 때 군량을 모으기 위하여 각 사찰의 전답에 봄보리를 심도록 하였고, 산성 주위를 개간하여 정유재란이 끝날 때까지 군량미 4,000여 석을 비장하였다. 선조는 그의 공로를 인정하여 가선대부동지중추부사(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의 벼슬을 내렸다.
1597년 정유재란 때 명나라 장수 마귀를 따라 울산왜성에 쳐들어갔으며, 이듬해 명나라 장수 유정을 따라 순천왜성에 이르러 공을 세워 가선동지중추부사(架善同知中樞府事)에 올랐다.

임진왜란 이후

1604년(선조 37) 휴정의 부음을 받고 가던 중, 선조의 명으로 국서를 받들고 일본에 가서 교토 후시미 성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만나 강화를 맺고 포로가 되어 갔던 사람 3천 5백 명을 데리고 이듬해 돌아와 가의(嘉義)의 직위와 어마(御馬) 등을 하사받았다. 같은 해 10월에 묘향산에 들어가서 스승 휴정의 영탑에 애하고 치악산으로 들어갔다.
선조의 부보를 듣고 한양으로 달려와 배곡한 후 광해군의 서변을 지키게 하려 하였으나 병을 얻어 응하지 못했다. 그는 해인사에서 요양하다가 1610년 8월 26일 설법하고 결가부좌한 채 입적하였다.

저서(작품)

지도와 지리지

저서로는 문집인 『사명당대사집』 7권과 『분충서난록(奮忠紓難錄)』 1권 등이 있다.

상훈과 추모

제자들이 다비하여 홍제암(弘濟庵) 옆에 부도와 비를 세웠다. 밀양의 표충사(表忠祠), 묘향산의 수충사(酬忠祠)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자통홍제존자(慈通弘濟尊者)이다. 1997년 사명당기념사업회가 발족하여 학술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관련 기록

  • 유정의 5대 법손(法孫)인 남붕(南鵬)이 전하여 오던 유정의 유고를 모은 사적인 『분충서난록』중 「청정영중탐정기(淸正營中探情記)」에는 선조 27년(1594) 4월과 7월, 12월에 유정이 가토 기요마사의 진영에 들어가 담판한 내용과 적정의 허실을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가토 기요마사가 문왈(問曰), "조선에 보배가 있지 않는가?" 그 소리에 응해서 대사는 "우리 나라에는 타보(他寶)는 없고, 너의 머리로써 보배로 할 뿐이다." 가토 기요마사 왈, "무슨 말인가?" 답왈, "방금 아국(我國)은 너의 머리를 사는데 금천근(金千斤) 읍만(邑萬)을 걸고 있으니 보배가 아니고 무엇인가?" 가토 기요마사는 그제사 경탄하였다

가토 기요마사는 유정에게 조선의 보배가 무엇이냐 묻자 유정은 조선의 보배는 조선 것이 아니라 일본의 것이라고 했다. 의아해진 가토가 그 보배가 무엇이냐고 묻자 유정은 지금 우리나라에서는 당신의 머리를 보배로 생각한다고 하였다. 그러자 가토가 놀라 찬탄을 아끼지 않았다고 한다.
이 명언은 일본에도 널리 퍼져 사명당이 포로 석방을 위해 일본에 갔을 때 일본인들이 "이 사람이 보배 이야기를 했던 그 화상인가?"라고 입을 모았다고. 당시 일본에서도 사명당의 이 문답이 널리 퍼졌던 모양이다


가토 기요마사가 문왈(問曰), "조선에 보배가 있지 않는가?" 그 소리에 응해서 대사는 "우리 나라에는 타보(他寶)는 없고, 너의 머리로써 보배로 할 뿐이다." 가토 기요마사 왈, "무슨 말인가?" 답왈, "방금 아국(我國)은 너의 머리를 사는데 금천근(金千斤) 읍만(邑萬)을 걸고 있으니 보배가 아니고 무엇인가?" 가토 기요마사는 그제사 경탄하였다

유재건이 쓴 이향견문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甲辰奉國書, 往日本人, 加時焉
  갑진(1604)년에 국서를 받들고, 일본에 가게 되었는데, 일본 사람들이 그를 특별히 대우하였다.

평가

초서를 잘 썼으며 밀양의 표충사, 묘향산의 수충사(酬忠祠)에 배향되었다. 해인사에 홍제존자비(弘濟尊者碑)가 있다. 승려의 몸으로 국가의 위기에 몸소 뛰쳐나와 의승(義僧)을 이끌고 전공을 세웠으며 전후의 대일 강화(외교) 등 눈부신 활약은 후세 국민이 민족의식을 발현하는 데 크게 이바지하였다.

기록유산과의 연관성

민족기록화와의 연관성

박서보의 1979년 민족기록화 작품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의 중심 소재로 등장한다.

승탑비와의 연관성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 및 석장비는 고승 유정에 관한 행적을 담고 있는 승탑비다.

노드 및 관계

노드 관계 클래스 노드 설명
유정 isTheSubjectOf 민족기록화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김정호를 소재로 그려진 민족기록화이다.
유정 isTheSubjectOf 승탑비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 및 석장비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 및 석장비유정을 소재로 한 승탑비다.
유정 isRelatedTo 사건 정여립 모반사건 정여립 모반사건유정이 연루된 사건이다.
유정 isMentionedIn 기록 이향견문록 이향견문록유정이 언급된 기록이다.
유정 isRelatedTo 사건 평양성 전투 평양성 전투유정이 참전한 사건이다.
유정 hasRelationshipWith 인물 권율 권율유정과 함께 전공을 세운 인물이다.
유정 isDiscipleOf 인물 휴정 휴정유정이 섬긴 스승이다.

함께 보기

관련 작품

  • 징비록》: KBS1, 2015년, 배우:박병호

관련 문화재


참고문헌

각주


추가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