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시간정보) |
(→공간정보) |
||
78번째 줄: | 78번째 줄: | ||
==공간정보== | ==공간정보==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
+ | |36.3608313 || 127.3832193||{{PAGENAME}}이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에 소장되어 있다. | ||
|- | |- | ||
− | |||
|} | |} | ||
2017년 4월 6일 (목) 04:19 판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
작가 | 김태 |
---|---|
제작연도 | 1979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조선/학술 |
분류 | 유화 |
소장처 |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 |
개요
해당 작품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 겸 지리학자인 김정호가 답사를 통해 대동여지도를 제작하는 모습을 담고있다.
설명
작품 소재
작품 중앙에 위치한 나무 탁자 위에는 목제 곱자가 놓여져 있는데, 곱자는 조선시대에 사용되던 목공도구로, 서로 다른 2개의 나무를 맞추어 ㄱ자 모양으로 만든 자이다.
김정호 오른편에는 조선 후기 명나라에서 들여온 천리경을 들여다 보는 일꾼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시각적 안내
- 그림 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김태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A는 B를 그렸다 | 1975년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김정호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대동여지도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 |
국회사무처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A가 B를 대여하였다 | 1991년 1월 8일-1992년 1월 7일 |
안재후 | 여진정벌 | A는 B를 지휘하였다 | 1107년 |
안재후 | 동북 9성 | A는 B를 설치하였다 | |
안재후 | 여진족 | A는 B를 공격하였다 | |
안재후 | 별무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1104년 |
별무반 | 신기군 | A는 B를 포함한다 | |
별무반 | 신보군 | A는 B를 포함한다 | |
별무반 | 항마군 | A는 B를 포함한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9년 | 김태가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를 제작하였다. |
1998년-현재 | 전쟁기념관이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를 대여하였다 |
1104년 | 안재후가 건의한 별무반이 설치되었다 |
1107년 | 안재후가 여진정벌을 지휘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6.3608313 | 127.3832193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이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에 소장되어 있다. |
그래프
참고문헌
- "김정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 (2017년 1월 31일 확인)
- "목제 곱자",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콘텐츠진흥원 문화콘텐츠닷컴 온라인 서비스(2017년 2월 14일 확인)
- "대동여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 (2017년 1월 31일 확인)
- "대동여지도 1부 22개의 책에 거대한 조선을 담다", 문화유산채널. 7분다큐 영상 (2017년 1월 31일 확인)
- "대동여지도 2부 고산자 김정호, 그를 다시 읽다", 문화유산채널. 7분다큐 영상 (2017년 1월 31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