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조대장경"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유물유적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재조대장경 |한자표기=再雕大藏經 |영문명칭= |이칭=팔만대장경 |유형=유물 |시대=고려 |지정...)
 
(지식 관계망)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유물유적정보
 
{{유물유적정보
|사진=
+
|사진=민족_일러_대장경판.png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재조대장경
 
|대표명칭=재조대장경
11번째 줄: 11번째 줄:
 
|지정일=1962년
 
|지정일=1962년
 
|소장처=경남 합천 해인사
 
|소장처=경남 합천 해인사
|경도=35.801509
+
|경도=128.098731
|위도=128.098731
+
|위도=35.801509
 
|수량=
 
|수량=
 
|관련인물=최우
 
|관련인물=최우
18번째 줄: 18번째 줄:
 
|관련장소=
 
|관련장소=
 
|관련물품=
 
|관련물품=
|관련유물유적=[[초조대장경]],[[재조대장경]]
+
|관련유물유적=[[초조대장경]],[[교장]]
 
}}
 
}}
  
 
=='''정의'''==
 
=='''정의'''==
현종 2년(1011)부터 선종 4년(1087)년까지 76년에 걸쳐 완성된 [[초조대장경]], 대각국사 [[의천]]에 의해 1091년부터 1102년까지 조성된 [[속장경]], 1236년부터 1251까지 조성된 [[재조대장경]]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오늘날 '대장경', '고려대장경'이라 하면 보통 현재 해인사에 간직되어 있는 '팔만대장경'가리킨다.<ref>강명관, 『조선시대 책과 지식의 역사』, 천년의상상, 2014. 476쪽.</ref>대장경 조성은 고려의 목판인쇄술이 모두 집적되었다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장대한 국가적 사업이었다.  
+
1236년([[고려 고종]] 23)부터 1251년(고종 38)까지 [[대장도감]](大藏都監)에서 두 번째로 조성된 대장경판이다.
 +
 
 +
=='''내용'''==
 +
1232년 몽고군에 의해 불타버린 대장경을 복원하기 위해 1236년부터 조성하기 시작해 16년이란 세월에 걸쳐 1251년 완성한 것이다. 문화재 지정명칭은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陜川 海印寺 大藏經板)이며, 판수(板數)가 8만여 판에 달하고 8만 4천 번뇌(煩惱)에 대치하는 8만 4천 법문(法門)을 수록하였기 때문에 흔히 '팔만대장경'이라 부른다. 또한 [[초조대장경]]을 다시 새겼다는 의미에서 『재조대장경』이라 부르기도 한다.<br/>
 +
[[최우]] 등 당시 집권층은 [[대장도감]]을 설치하여 대장경 조성 계획을 수립, 총괄하도록 하였고 따로 [[분사대장도감]]두어 산지에서의 나무 조달, 실제 판각 등을 맡도록 하였다.
  
=='''설명'''==
 
===초조대장경===
 
최초의 대장경 [[초조대장경]] 조성은 현종 2년(1011) 거란의 침입을 계기로 시작되어 선종 4년(1087)까지 76년이라는 시간 동안 이루어졌다. 송나라에서 들어온 '[[개보칙판대장경]](開寶勅版大藏經)'을 저본으로 하였으며 '거란대장경'과 '송조대장경'을 참고해 내용을 추가했다. 이 때 인쇄된 것은 570함(函), 권수는 6000권에 가까웠다.<ref>강명관, 『조선시대 책과 지식의 역사』, 천년의상상, 2014. 59쪽.</ref>
 
===속장경===
 
대각국사 [[의천]]이 중국 유학 중 장소(章疏) 3000천여 권을 수집해 귀국한 뒤 이를 더욱 보강하여 1090년 경 엮어낸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이 그 바탕이다. 이 목록을 근거로 1091년 경 조성을 시작하여 1102경에 이르기까지 10년이 넘는 시간 동안 만든 것이 바로 [[속장경]]이다.<ref>강명관, 『조선시대 책과 지식의 역사』, 천년의상상, 2014. 59쪽.</ref> 13세기 몽고 침입으로 불에 타 소실되고 활자본의 일부와 목록이 전남 순천 송광사와 일본 나라현 동대사 등에 47권만 전해지고 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40388&cid=47322&categoryId=47322 속장경]",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재조대장경===
 
흔히 '팔만대장경'이라 알려진 것으로. 1232년 몽고군에 의해 불타버린 대장경을 복원하려는 의도에서 1236년부터 조성하기 시작해 16년이란 세월에 걸쳐 1251년 완성한 것이다. 그 규모는 책이 663함, 1562부, 6778권에 이르고, 경판 수는 8만 장이 넘는다.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陜川 海印寺 大藏經板)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23/C023.htm "고려대장경"(최대섭)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23/C023.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계정보===
 
===관계정보===
38번째 줄: 40번째 줄: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PAGENAME}} || [[초조대장경]] || A는 B를 포함한다 ||  
+
| [[최대섭-고려대장경]] || [[최대섭]]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PAGENAME}} || [[재조대장경]] || A는 B를 포함한다 ||  
+
| [[최대섭-고려대장경]] || [[정부기록 보존소]] || A는 B에 대여되었다 || A ekc:hasExhibitionAt B
 
|-
 
|-
| {{PAGENAME}} || [[속장경]] || A는 B를 포함한다 ||  
+
|[[최대섭-고려대장경]] || [[한국학중앙연구원]]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재조대장경]] || [[합천 해인사]]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 [[최대섭-고려대장경]] ||[[고려대장경]]||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의천]] || [[신편제종교장총록]] || A는 B를 조성하였다 || 1090년
+
|[[고려대장경]] || [[재조대장경]] ||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
 
|-
| [[의천]] || [[속장경]] || A는 B를 조성하였다 || 1091년-1102년
+
|[[고려대장경]] || [[초조대장경]]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
 
|-
| [[초조대장경]] || [[개보칙판대장경]] || A는 B를 참고하였다 ||
+
|[[고려대장경]] || [[교장]]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
 
|-
| [[속장경]] || [[신편제종교장총록]] || A는 B를 참고하였다 ||
+
| [[재조대장경]] || [[합천 해인사]]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재조대장경]] || [[대장도감]]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59번째 줄: 62번째 줄: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1011년-1087년 || [[초조대장경]]이 조성되었다
 
|-
 
|1090년 || [[의천]]이 [[신편제교장총록]]을 조성하였다
 
|-
 
|1091년-1102년 || [[의천]]이 [[속장경]]을 조성하였다
 
 
|-
 
|-
 
|1236년-1251년 || [[재조대장경]]이 조성되었다
 
|1236년-1251년 || [[재조대장경]]이 조성되었다
75번째 줄: 72번째 줄:
 
|35.801169 || 128.0980550 || [[재조대장경]]은 [[합천 해인사]]에 소장되어 있다
 
|35.801169 || 128.0980550 || [[재조대장경]]은 [[합천 해인사]]에 소장되어 있다
 
|}
 
|}
 +
 +
=='''시각자료'''==
 +
===가상현실===
 +
===갤러리===
 +
 +
===영상===
  
 
=='''주석'''==
 
=='''주석'''==
81번째 줄: 84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
#단행본
 +
#*강명관, 『조선시대 책과 지식의 역사』, 천년의상상, 2014.
 +
#웹자원
 +
#*진현종, 『한 권으로 읽는 팔만대장경』, 도사출판 들녘,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27828&cid=42952&categoryId=42952 고려팔만대장경의 성립]", 한 권으로 읽는 팔만대장경,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박상국,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2711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분류:민족기록화]][[분류:유물유적]][[분류:민족기록화 유물유적]]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문화유산]]

2024년 12월 12일 (목) 11:41 기준 최신판

재조대장경
(再雕大藏經)
민족 일러 대장경판.png
대표명칭 재조대장경
한자표기 再雕大藏經
이칭 팔만대장경
유형 유물
시대 고려
지정번호 국보 제32호
지정일 1962년
소장처 경남 합천 해인사
관련인물 최우
관련유물유적 초조대장경,교장



정의

1236년(고려 고종 23)부터 1251년(고종 38)까지 대장도감(大藏都監)에서 두 번째로 조성된 대장경판이다.

내용

1232년 몽고군에 의해 불타버린 대장경을 복원하기 위해 1236년부터 조성하기 시작해 16년이란 세월에 걸쳐 1251년 완성한 것이다. 문화재 지정명칭은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陜川 海印寺 大藏經板)이며, 판수(板數)가 8만여 판에 달하고 8만 4천 번뇌(煩惱)에 대치하는 8만 4천 법문(法門)을 수록하였기 때문에 흔히 '팔만대장경'이라 부른다. 또한 초조대장경을 다시 새겼다는 의미에서 『재조대장경』이라 부르기도 한다.
최우 등 당시 집권층은 대장도감을 설치하여 대장경 조성 계획을 수립, 총괄하도록 하였고 따로 분사대장도감을 두어 산지에서의 나무 조달, 실제 판각 등을 맡도록 하였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최대섭-고려대장경 최대섭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최대섭-고려대장경 정부기록 보존소 A는 B에 대여되었다 A ekc:hasExhibitionAt B
최대섭-고려대장경 한국학중앙연구원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최대섭-고려대장경 고려대장경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고려대장경 재조대장경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고려대장경 초조대장경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고려대장경 교장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재조대장경 합천 해인사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재조대장경 대장도감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236년-1251년 재조대장경이 조성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5.801169 128.0980550 재조대장경합천 해인사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강명관, 『조선시대 책과 지식의 역사』, 천년의상상, 2014.
  2. 웹자원
    • 진현종, 『한 권으로 읽는 팔만대장경』, 도사출판 들녘, 2007. 온라인 참조: "고려팔만대장경의 성립", 한 권으로 읽는 팔만대장경,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박상국,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