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효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9번째 줄: 19번째 줄:
 
|대표직함=전중시어사, 상서좌승, 병부상서
 
|대표직함=전중시어사, 상서좌승, 병부상서
 
|배우자=
 
|배우자=
|부=김민성(金敏成)
+
|부=[[김민성|김민성(金敏成)]]
 
|모=
 
|모=
|자녀=김방경(金方慶)
+
|자녀=[[김방경|김방경(金方慶)]]
 
|전임자=
 
|전임자=
 
|후임자=
 
|후임자=
34번째 줄: 34번째 줄:
  
 
=='''내용'''==
 
=='''내용'''==
본관은 안동(安東). 김방경(金方慶)의 아버지이다. 일찍이 학문에 전심하여 과거에 급제하였고 글씨에도 뛰어났다.<ref>윤용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1134 김효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본관은 안동(安東). [[김방경|김방경(金方慶)]]의 아버지이다. 일찍이 학문에 전심하여 과거에 급제하였고 글씨에도 뛰어났다.<ref>윤용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1134 김효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224년(고종 11) 대관서승(大官署丞)·보문각교감(寶文閣校勘)으로서 『보경사원진국사비 寶鏡寺圓眞國師碑』의 글씨를 썼다. <ref>위키백과 기여자, "[https://ko.wikipedia.org/wiki/김효인 김효인]",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1224년([[고려 고종|고종]] 11) 대관서승(大官署丞)·보문각교감(寶文閣校勘)으로서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보경사원진국사비 寶鏡寺圓眞國師碑]]』의 글씨를 썼다. <ref>위키백과 기여자, "[https://ko.wikipedia.org/wiki/김효인 김효인]",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1231년(고종 18) 몽고군이 침입을 개시하고 사신을 보내 평주(平州)에 첩문(牒文)을 보내왔다. 이에 조정에서는 사신을 죽이자는 의견과 평주에 사람을 보내 이유부터 알아보자는 의견이 엇갈렸는데, 후자로 결정되었으므로 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로서 평주에 가서 고려가 항복하면 군사를 동진(東眞)으로 돌리겠다는 회신을 받아 왔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76499&cid=40942&categoryId=34297 김효인],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1231년([[고려 고종|고종]] 18) 몽고군이 침입을 개시하고 사신을 보내 평주(平州)에 첩문(牒文)을 보내왔다. 이에 조정에서는 사신을 죽이자는 의견과 평주에 사람을 보내 이유부터 알아보자는 의견이 엇갈렸는데, 후자로 결정되었으므로 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로서 평주에 가서 고려가 항복하면 군사를 동진(東眞)으로 돌리겠다는 회신을 받아 왔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76499&cid=40942&categoryId=34297 김효인],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1235년(고종 22) 중서사인(中書舍人)·지제고(知制誥)로서 『월남사지진각국사비 月南寺址眞覺國師碑』의 글씨를 썼다.<ref>위키백과 기여자, "[https://ko.wikipedia.org/wiki/김효인 김효인]",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1235년([[고려 고종|고종]] 22) 중서사인(中書舍人)·지제고(知制誥)로서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월남사지진각국사비 月南寺址眞覺國師碑]]』의 글씨를 썼다.<ref>위키백과 기여자, "[https://ko.wikipedia.org/wiki/김효인 김효인]",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1250년에는 상서좌승(尙書左丞)으로 동지공거(同知貢擧)가 되어 과거를 주관하였고, 뒤에 벼슬이 병부상서 한림학사 지제고(知制誥)에 이르렀다. 예서(隸書)에 능하였고, 문장이 뛰어나 당대에 명성을 떨쳤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76499&cid=40942&categoryId=34297 김효인],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1250년에는 상서좌승(尙書左丞)으로 동지공거(同知貢擧)가 되어 과거를 주관했고, 나중에는 벼슬이 병부상서 한림학사 지제고(知制誥)에 이르렀다. 예서(隸書)에 능했고, 문장이 뛰어나 당대에 명성을 떨쳤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76499&cid=40942&categoryId=34297 김효인],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D024/stele_hyesim_wollamsaji.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련항목===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권염]] || [[권주]] || A는 B의 아버지이다 || A ekc:hasSon B
+
|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 [[김효인]]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
| [[권주]] || [[홍건적의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 [[김효인]]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
| [[권주]] || [[고려 공민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김효인]] || [[김방경]] || A는 B의 아버지이다 || A ekc:hasSon B
|-
 
| [[권주]] || [[권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권주]]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주석'''==
82번째 줄: 75번째 줄: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인물]]
 
[[분류:인물]]
[[분류:승탑/검토요청]]
 

2024년 4월 12일 (금) 01:00 기준 최신판

김효인(金孝印)
대표명칭 김효인
한자표기 金孝印
생몰년 ?-1253
본관 안동(安東)
시대 고려
대표직함 전중시어사, 상서좌승, 병부상서
김민성(金敏成)
자녀 김방경(金方慶)
성격 문신
유형 인물



정의

고려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안동(安東). 김방경(金方慶)의 아버지이다. 일찍이 학문에 전심하여 과거에 급제하였고 글씨에도 뛰어났다.[1]

1224년(고종 11) 대관서승(大官署丞)·보문각교감(寶文閣校勘)으로서 『보경사원진국사비 寶鏡寺圓眞國師碑』의 글씨를 썼다. [2]

1231년(고종 18) 몽고군이 침입을 개시하고 사신을 보내 평주(平州)에 첩문(牒文)을 보내왔다. 이에 조정에서는 사신을 죽이자는 의견과 평주에 사람을 보내 이유부터 알아보자는 의견이 엇갈렸는데, 후자로 결정되었으므로 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로서 평주에 가서 고려가 항복하면 군사를 동진(東眞)으로 돌리겠다는 회신을 받아 왔다.[3]

1235년(고종 22) 중서사인(中書舍人)·지제고(知制誥)로서 『월남사지진각국사비 月南寺址眞覺國師碑』의 글씨를 썼다.[4]

1250년에는 상서좌승(尙書左丞)으로 동지공거(同知貢擧)가 되어 과거를 주관했고, 나중에는 벼슬이 병부상서 한림학사 지제고(知制誥)에 이르렀다. 예서(隸書)에 능했고, 문장이 뛰어나 당대에 명성을 떨쳤다.[5]

지식관계망

  •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김효인 A는 B가 비문을 썼다 A ekc:calligrapher B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김효인 A는 B가 비문을 썼다 A ekc:calligrapher B
김효인 김방경 A는 B의 아버지이다 A ekc:hasSon B

주석

  1. 윤용혁, "김효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위키백과 기여자, "김효인", 『위키백과』online.
  3. 김효인,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4. 위키백과 기여자, "김효인", 『위키백과』online.
  5. 김효인,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 김효인,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윤용혁, "김효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위키백과 기여자, "김효인", 『위키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