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김제 금산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2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번째 줄: 3번째 줄: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 김제 금산사
 
|대표명칭= 김제 금산사
|영문명칭=  
+
|영문명칭= Geumsansa Temple, Gimje
|한자=  
+
|한자= 金堤 金山寺
 
|이칭=
 
|이칭=
 
|지정번호=  
 
|지정번호=  
 
|지정일=  
 
|지정일=  
|주소=  
+
|주소=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39
|위도=  
+
|위도= 35.722861
|경도=  
+
|경도= 127.053396
 
|소유자=
 
|소유자=
 
|관리자=  
 
|관리자=  
|교구정보=
+
|교구정보= 대한불교조계종
 
|건립시기=  
 
|건립시기=  
 
|창건자=  
 
|창건자=  
20번째 줄: 20번째 줄:
  
 
=='''정의'''==
 
=='''정의'''==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에 있는 절로, 대한불교조계종 제17교구본사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7797 금산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내용'''==
 
=='''내용'''==
모악산 도립공원 입구에 우뚝 서 있는 금산사는 백제 법왕 원년(599)에 창건되고, 776년에 진표율사가 고쳐 지어 대가람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경내에는 국보 제62호로 지정된 미륵전을 비롯하여 지정문화재 10여점이 있으며, 그외에도 부속건물이 많아 호남제일의 고찰로 손꼽힌다.  
+
『금산사사적(金山寺事蹟)』에 의하면, 금산사(金山寺)의 창건은 599년([[백제 법왕|법왕]] 1)의 [[자복사찰|자복사찰(自福寺刹)]]로 세운 것이라 하나 확실하지는 않다. 지금까지 전하는 바는 [[진표|진표(眞表)]]가 762년([[신라 경덕왕|경덕왕]] 21)부터 766년([[신라 혜공왕|혜공왕]] 2)까지 사년동안 걸쳐 중건(重建)했으며, 1069년([[고려 문종|문종]] 23) [[소현|혜덕왕사(慧德王師)]]가 대가람(大伽藍)으로 재청하고, 그 남쪽에 광교원(廣敎院)이라는 대사구(大寺區)를 증설하여 창건 이래 가장 큰 규모의 대도량(大道場)이 되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0216 금산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목조로 된 미륵전은 우리나라에서 하나뿐인 삼층법당으로 내부는 통층으로 되어있다. [구석구석]
 
  
금산사는 후백제의 견훤이 유폐되었던 절로 알려져 있으며, 원래는 백제시대에 지어지고 신라의 통일 이후 혜공왕 진표율사에 의해 중창되면서 절의 기틀이 갖추어졌다고 한다. 당시 신라 불교의 주류였던 교종 계통 법상종의 중심 사찰로 역할을 했는데, 법상종이 미륵신앙을 기반으로 이루어진 종파라 이곳 절에는 석가모니불을 모신 대웅전이 없는 대신 미륵불을 모신 미륵전이 절의 중심이다.  
+
그러나 1598년([[조선 선조|선조]] 31) [[임진왜란]] 왜병의 방화로 모든 건물과 산내의 암자 40여 개가 완전히 소실되었다. 1601([[조선 선조|선조]] 34)년 수문(守文)은 복원 공사를 시작하여 1635년([[조선 인조|인조]] 13)에 완공하였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7797 금산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네이버 지식백과] 금산사 (죽기 전에 꼭 가봐야 할 국내 여행 1001, 2010. 1. 15., 마로니에북스)
+
[[조선 고종|고종]] 때에는 총섭(摠攝, 주지)으로 취임한 [[용명|용명(龍溟)]]이 가람을 새롭게 하여, [[김제 금산사 미륵전|미륵전(彌勒殿)]], [[김제 금산사 대장전|대장전(大藏殿)]] 등을 보수했고, 1934년 [[성렬|성렬(成烈)]]이 다시 대적광전과 금강문(金剛門), [[김제 금산사 미륵전|미륵전]] 등을 보수했으며, 1998년 [[김제 금산사 금강계단|방등계단]] 앞에 적멸보궁을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7797 금산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임진왜란 이전의 기록은 모두 소실되어 《삼국유사》나 《삼국사기》 등을 인용하여 사적기(事蹟記)가 만들어졌는데, 금산사의 창건은 599년(백제 법왕 1)에 왕의 자복(自福)사찰로 세워진 것이라 하나 확실하지는 않다. 지금까지 전하는 바는 진표(眞表)가 762년(신라 경덕왕 21)부터 766년(신라 혜공왕 2)까지 4년에 걸쳐 중건(重建)하였으며, 1069년(문종 23) 혜덕왕사(慧德王師)가 대가람(大伽藍)으로 재청하고, 그 남쪽에 광교원(廣敎院)이라는 대사구(大寺區)를 증설하여 창건 이래 가장 큰 규모의 대도량(大道場)이 되었다.
+
경내에는 국보 제62호로 지정된 [[김제 금산사 미륵전|미륵전]]을 비롯하여 지정 문화재 10여 점이 있으며, 그 외에도 부속 건물이 많아 호남 제일의 고찰로 손꼽힌다.<ref>"[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6339 교장도감]", <html><online style="color:purple">『대한민국 구석구석』<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관광공사.</ref>
  
1598년 임진왜란 때 왜병의 방화로 미륵전·대공전(大恭殿)·광교원(廣敎院) 등과 40여 개소에 달하는 산내 암자가 소실되었다. 그러나 1601년(선조 34) 수문(守文)이 재건하여 1635년(인조 13)에 낙성을 보았다. 고종(高宗) 때에 이르러 미륵전·대장전·대적광전 등을 보수하고, 1934년에 다시 대적광전·금강문·미륵전 등을 중수하였다.
+
금산사 일대는 사적 제496호로 지정되어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0216 금산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금산사와 인연이 있는 고승(高僧)은 혜덕왕사(慧德王師) 이외에도 도생승통(道生僧統)·원명(圓明)·진묵(震默)·소요(逍遙)·남악(南嶽) 등이 있다.  
+
=='''지식관계망'''==
 +
*'''김제 금산사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74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D051/temple_Geumsan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https://dh.aks.ac.kr/Encyves/Graph/D051/stele_sohyeon_geumsansa.htm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와 소현 지식관계망]
  
주요 건물로는 미륵전(국보 62)·대장전(보물 827)·명부전(冥府殿)·나한전(羅漢殿)·일주문(一柱門)·금강문(金剛門)·보제루(普濟樓) 등이 있고, 석련대(石蓮臺:보물 23)·혜덕왕사진응탑비(慧德王師眞應塔碑:보물 24)·5층석탑(보물 25)·방등계단(方等戒壇. 보물 26)·6각다층석탑(보물 27)·당간지주(幢竿支柱:보물 28)·석등(보물 828) 등이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이 금산사는 일대가 사적 제496호로 지정되어 있다. [두산백과]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김제 금산사]] || [[-]] || A는 B가 창건하였다 ||
+
|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 [[김제 금산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 [[김제 금산사]] || A는 B에 있다 ||
+
|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 [[소현]]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 [[소현]]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
| [[김제 금산사 육각 다층석탑]] || [[김제 금산사]] || A는 B에 있다 ||  
+
| [[김제 금산사 대적광전]] || [[김제 금산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김제 금산사 오층석탑]] || [[김제 금산사]] || A는 B에 있다 ||  
+
| [[김제 금산사 소요당대사비]] || [[김제 금산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김제 금산사 심원암 삼층석탑]] || [[김제 금산사]] || A는 B에 있다 ||  
+
| [[김제 금산사]] || [[진표]] || A는 B가 중창하였다 || A ekc:renovator B
 
|-
 
|-
| [[김제 금산사 석련대]] || [[김제 금산사]] || A는 B에 있다 ||  
+
| [[김제 금산사]] || [[소현]] || A는 B가 중창하였다 || A ekc:renovator B
 
|-
 
|-
| [[김제 금산사 석등]] || [[김제 금산사]] || A는 B에 있다 ||  
+
| [[승형]] || [[김제 금산사]] ||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김제 금산사 석고미륵여래입상]] || [[김제 금산사]] || A는 B에 있다 ||
+
| 599년 || 금산사는 [[백제 법왕]][[자복사찰]]로 창건되었다.
 
|-
 
|-
| [[김제 금산사 미륵전]] || [[김제 금산사]] || A는 B에 있다 ||
+
| 762-766년 || [[진표]]가 4년에 걸쳐 금산사를 중건하였다.
 
|-
 
|-
| [[김제 금산사 대장전]] || [[김제 금산사]] || A는 B에 있다 ||
+
| 1069년 || [[소현|혜덕왕사]]가 대가람(大伽藍)으로 재청하였다.
 
|-
 
|-
| [[김제 금산사 당간지주]] || [[김제 금산사]] || A는 B에 있다 ||
+
| 1598년 || [[임진왜란]] 때 왜병의 방화로 모든 건물과 산내의 40여 개의 암자가 완전히 소실되었다.
 
|-
 
|-
| [[김제 금산사 노주]] || [[김제 금산사]] || A는 B에 있다 ||  
+
| 1601년 || 수문이 복원공사를 시작하여 1635년에 완공하였다.
 
|-
 
|-
| [[김제 금산사 금강계단]] || [[김제 금산사]] || A는 B에 있다 ||
+
| 1934년 || [[성렬]]이 다시 대적광전과 금강문, [[김제 금산사 미륵전|미륵전]] 등을 보수하였다.
 
|-
 
|-
 +
| 1998년 || [[김제 금산사 금강계단|방등계단]] 앞에 적멸보궁을 지었다.
 
|}
 
|}
  
 
=='''시각자료'''==
 
=='''시각자료'''==
 +
===가상현실===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D051/geumsansa.htm "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br/>
 +
{{clickable button|[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D051/geumsansa.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영상===
 
===영상===
 
* 걸어서 세계속으로 KBS, "[https://www.youtube.com/watch?v=uFgZ9x6vG_8 김제 여행 전북 여행 김제 금산사 전북 최대 사찰]", YouTube, 게시일: 2016년 4월 19일.
 
* 걸어서 세계속으로 KBS, "[https://www.youtube.com/watch?v=uFgZ9x6vG_8 김제 여행 전북 여행 김제 금산사 전북 최대 사찰]", YouTube, 게시일: 2016년 4월 19일.
 
<html>
 
<html>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uFgZ9x6vG_8?ecver=1"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uFgZ9x6vG_8?ecver=1"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 K-HERITAGE, "[https://www.youtube.com/watch?v=oz1mfMpFi5U (포토영상) 미륵신상의 성지 김제 금산사]", YouTube, 게시일: 2012년 10월 11일.
 
<html>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oz1mfMpFi5U?ecver=1"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88번째 줄: 97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7797 금산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0216 금산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6339 교장도감]", <html><online style="color:purple">『대한민국 구석구석』<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관광공사.
  
 
{{승탑비문 Top icon}}
 
{{승탑비문 Top icon}}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사찰]]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사찰]]

2024년 4월 12일 (금) 00:54 기준 최신판

김제 금산사
(金堤 金山寺)
대표명칭 김제 금산사
영문명칭 Geumsansa Temple, Gimje
한자 金堤 金山寺
주소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39
교구정보 대한불교조계종
경내문화재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김제 금산사 육각 다층석탑, 김제 금산사 오층석탑, 김제 금산사 심원암 삼층석탑, 김제 금산사 석련대, 김제 금산사 석등, 김제 금산사 석고미륵여래입상, 김제 금산사 미륵전, 김제 금산사 대장전, 김제 금산사 당간지주, 김제 금산사 노주, 김제 금산사 금강계단



정의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에 있는 절로, 대한불교조계종 제17교구본사다.[1]

내용

『금산사사적(金山寺事蹟)』에 의하면, 금산사(金山寺)의 창건은 599년(법왕 1)의 자복사찰(自福寺刹)로 세운 것이라 하나 확실하지는 않다. 지금까지 전하는 바는 진표(眞表)가 762년(경덕왕 21)부터 766년(혜공왕 2)까지 사년동안 걸쳐 중건(重建)했으며, 1069년(문종 23) 혜덕왕사(慧德王師)가 대가람(大伽藍)으로 재청하고, 그 남쪽에 광교원(廣敎院)이라는 대사구(大寺區)를 증설하여 창건 이래 가장 큰 규모의 대도량(大道場)이 되었다.[2]

그러나 1598년(선조 31) 임진왜란 때 왜병의 방화로 모든 건물과 산내의 암자 40여 개가 완전히 소실되었다. 1601(선조 34)년 수문(守文)은 복원 공사를 시작하여 1635년(인조 13)에 완공하였다.[3]

고종 때에는 총섭(摠攝, 주지)으로 취임한 용명(龍溟)이 가람을 새롭게 하여, 미륵전(彌勒殿), 대장전(大藏殿) 등을 보수했고, 1934년 성렬(成烈)이 다시 대적광전과 금강문(金剛門), 미륵전 등을 보수했으며, 1998년 방등계단 앞에 적멸보궁을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4]

경내에는 국보 제62호로 지정된 미륵전을 비롯하여 지정 문화재 10여 점이 있으며, 그 외에도 부속 건물이 많아 호남 제일의 고찰로 손꼽힌다.[5]

금산사 일대는 사적 제496호로 지정되어 있다.[6]

지식관계망

  • 김제 금산사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김제 금산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소현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김제 금산사 대적광전 김제 금산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김제 금산사 소요당대사비 김제 금산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김제 금산사 진표 A는 B가 중창하였다 A ekc:renovator B
김제 금산사 소현 A는 B가 중창하였다 A ekc:renovator B
승형 김제 금산사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599년 금산사는 백제 법왕자복사찰로 창건되었다.
762-766년 진표가 4년에 걸쳐 금산사를 중건하였다.
1069년 혜덕왕사가 대가람(大伽藍)으로 재청하였다.
1598년 임진왜란 때 왜병의 방화로 모든 건물과 산내의 40여 개의 암자가 완전히 소실되었다.
1601년 수문이 복원공사를 시작하여 1635년에 완공하였다.
1934년 성렬이 다시 대적광전과 금강문, 미륵전 등을 보수하였다.
1998년 방등계단 앞에 적멸보궁을 지었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영상

주석

  1. "금산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금산사", 『두산백과』online.
  3. "금산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금산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교장도감", 『대한민국 구석구석』online, 한국관광공사.
  6. "금산사", 『두산백과』online.

참고문헌

  • "금산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금산사", 『두산백과』online.
  • "교장도감", 『대한민국 구석구석』online, 한국관광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