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긍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영문명칭= | |영문명칭= | ||
|한자=兢讓 | |한자=兢讓 | ||
− | |생년= | + | |생년=878년 |
− | |몰년= | + | |몰년=956년 |
|시호=정진(靜眞) | |시호=정진(靜眞) | ||
|호= | |호= | ||
28번째 줄: | 28번째 줄: | ||
===가계와 탄생=== | ===가계와 탄생=== | ||
− | 정진대사 | + | 정진대사 긍양(靜眞大師 兢讓)은 878년([[신라 헌강왕|헌강왕]] 4) 충청남도 공주에서 태어났다. 속성은 왕씨(王氏)로 할아버지는 숙장(淑長), 아버지는 양길(亮吉)이고, 어머니는 김씨(金氏)다. 긍양의 고조와 증조부 때부터 군읍(郡邑)의 토호였으므로, 집집마다 그를 모르는 사람이 없었다고 한다.<ref>"[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4&cp_code=rp0703&index_id=rp07030128&content_id=rp070301280001&search_left_menu=2 긍양]", 디지털 삼국유사 사전 박물지 시범개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원형라이브러리』<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ref> |
{{blockquote | {{blockquote | ||
|대사의 휘는 긍양(兢讓)이요 속성은 왕씨로 공주 사람이다. 할아버지는 숙장(淑長)이고, 아버지는 양길(亮吉)인데, 두 분 모두 인의(仁義)에 힘써 자신을 이루려는 마음을 지녔으며, 덕을 쌓고 공을 넉넉히 하여 자손에 넘겨주는 업(業)을 귀하게 하였다. 힘을 다해 관직에 복무했고, 서리와 눈을 품은듯 마음을 깨끗이 하였다. 마을에서는 사람들이 어른이라 칭하였고, 이웃 마을에서는 명예를 잘 지켜 현명한다는 소리를 들었다. 고조·증조는 모두 군읍(郡邑)의 호부(豪富)로서 그 집안(戶)을 알기 어렵지 않으므로 싣지 않는다. 어머니는 김씨이다. 여자의 공에 대해서는 상대할 사람이 없을 정도이고, 아내의 도리에 대해서도 규범이 있었다. 머리카락을 자르는 심정으로 순순히 정을 지키려 하였고, 학문을 중도에 그만두는 것을 경계하여 절개에 힘썼다. 스님과 부처님께 공경을 다하였고, 시부모 섬기기에 예를 다하였다. | |대사의 휘는 긍양(兢讓)이요 속성은 왕씨로 공주 사람이다. 할아버지는 숙장(淑長)이고, 아버지는 양길(亮吉)인데, 두 분 모두 인의(仁義)에 힘써 자신을 이루려는 마음을 지녔으며, 덕을 쌓고 공을 넉넉히 하여 자손에 넘겨주는 업(業)을 귀하게 하였다. 힘을 다해 관직에 복무했고, 서리와 눈을 품은듯 마음을 깨끗이 하였다. 마을에서는 사람들이 어른이라 칭하였고, 이웃 마을에서는 명예를 잘 지켜 현명한다는 소리를 들었다. 고조·증조는 모두 군읍(郡邑)의 호부(豪富)로서 그 집안(戶)을 알기 어렵지 않으므로 싣지 않는다. 어머니는 김씨이다. 여자의 공에 대해서는 상대할 사람이 없을 정도이고, 아내의 도리에 대해서도 규범이 있었다. 머리카락을 자르는 심정으로 순순히 정을 지키려 하였고, 학문을 중도에 그만두는 것을 경계하여 절개에 힘썼다. 스님과 부처님께 공경을 다하였고, 시부모 섬기기에 예를 다하였다. | ||
34번째 줄: | 34번째 줄: | ||
}} | }} | ||
− | ==== | + | ====탄생 설화==== |
− | 긍양의 어머니는 어느 날 밤 별이 | + | 긍양의 어머니는 어느 날 밤, 별이 흘러와서 품으로 들어오는 꿈을 꾸고 임신을 했다.<ref>"[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4&cp_code=rp0703&index_id=rp07030128&content_id=rp070301280001&search_left_menu=2 긍양]", 디지털 삼국유사 사전 박물지 시범개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원형라이브러리』<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ref> |
{{blockquote | {{blockquote | ||
|꿈에 유성이 품속에 들어 왔는데 크기가 항아리만했고, 색은 누런 윤택이 났다. 이로 인하여 임신하였다. 이 때문에 냄새난다는 음식을 끊고 삼가며 보호하기에 힘써 태교를 끊지 않았는데 기간이 좀 지나 태어났다. | |꿈에 유성이 품속에 들어 왔는데 크기가 항아리만했고, 색은 누런 윤택이 났다. 이로 인하여 임신하였다. 이 때문에 냄새난다는 음식을 끊고 삼가며 보호하기에 힘써 태교를 끊지 않았는데 기간이 좀 지나 태어났다. | ||
42번째 줄: | 42번째 줄: | ||
====유년기==== | ====유년기==== | ||
− | 긍양은 타고난 모습이 | + | 긍양은 타고난 모습이 특이했으며 어려서부터 나이든 사람처럼 점잖았다.<ref>"[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4&cp_code=rp0703&index_id=rp07030128&content_id=rp070301280001&search_left_menu=2 긍양]", 디지털 삼국유사 사전 박물지 시범개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원형라이브러리』<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ref> |
{{blockquote | {{blockquote | ||
|대사는 타고난 성품이 특이하였고, 마음과 얼굴 빛이 아름답고 기묘했다. 아이일 때부터 일곱살 무렵에 이를 때까지 어린애 같은 행동이 없어서 마치 나이든 것 같았다. 앉을 때에는 반드시 가부좌를 하고 행할 때는 모름지기 합장을 하였다. 모래를 모아 담을 쌓으면 불탑과 비슷한 것을 만들었고, 나뭇잎으 모으고 꽃을 따면 공양하는 공구(供具)와 비슷한 것을 만들어 진열하였다. 공부할 나이에 이르러서는 날마다 경전을 끼고 있었따. 집에서는 시와 예를 배웠고, 학교 강당에 가서는 강론을 들었는데, 가죽 끈이 세 번 끊어질 정도로 열심히 공부하여 (漢代의) 구류가(九流家)보다 더하다고 할 수 있었다. | |대사는 타고난 성품이 특이하였고, 마음과 얼굴 빛이 아름답고 기묘했다. 아이일 때부터 일곱살 무렵에 이를 때까지 어린애 같은 행동이 없어서 마치 나이든 것 같았다. 앉을 때에는 반드시 가부좌를 하고 행할 때는 모름지기 합장을 하였다. 모래를 모아 담을 쌓으면 불탑과 비슷한 것을 만들었고, 나뭇잎으 모으고 꽃을 따면 공양하는 공구(供具)와 비슷한 것을 만들어 진열하였다. 공부할 나이에 이르러서는 날마다 경전을 끼고 있었따. 집에서는 시와 예를 배웠고, 학교 강당에 가서는 강론을 들었는데, 가죽 끈이 세 번 끊어질 정도로 열심히 공부하여 (漢代의) 구류가(九流家)보다 더하다고 할 수 있었다. | ||
49번째 줄: | 49번째 줄: | ||
===출가수행=== | ===출가수행=== | ||
− | 긍양은 공주 남혈원(南穴院)으로 가서 [[여해|여해선사(如解禪師)]]의 제자가 되어 | + | 긍양은 공주 [[공주 남혈사지|남혈원(南穴院)]]으로 가서 [[여해|여해선사(如解禪師)]]의 제자가 되어 출가했다. |
{{blockquote | {{blockquote | ||
|어머니와 아버지에게 간절히 아뢰어 출가(出家)하여 입도할 것을 진실로 청하였다. (그리하여) 공주 서혈원(西穴院) 여해선사(如解禪師)에게 출가하여, 머리를 깎고, 몸을 머물렀다. 뜻은 아침에 듣는 데 두었고 배움은 날마다 넘치기를 기대하였다. 실로 배전의 공을 들었으니 누가 감이 더디다 하겠는가? 상량이 무너지고, 종이 깨지는 듯한 소리가 들렸다. 이에 혁혁(赫赫)의 빛남을 알게 되었고, 돌오(突奧)의 빛살도 엿보게 되었다. 사방으로 세 벗(三友)를 택하였다. | |어머니와 아버지에게 간절히 아뢰어 출가(出家)하여 입도할 것을 진실로 청하였다. (그리하여) 공주 서혈원(西穴院) 여해선사(如解禪師)에게 출가하여, 머리를 깎고, 몸을 머물렀다. 뜻은 아침에 듣는 데 두었고 배움은 날마다 넘치기를 기대하였다. 실로 배전의 공을 들었으니 누가 감이 더디다 하겠는가? 상량이 무너지고, 종이 깨지는 듯한 소리가 들렸다. 이에 혁혁(赫赫)의 빛남을 알게 되었고, 돌오(突奧)의 빛살도 엿보게 되었다. 사방으로 세 벗(三友)를 택하였다. | ||
55번째 줄: | 55번째 줄: | ||
}} | }} | ||
− | 897년([[신라 진성왕|진성왕]] 10) | + | 897년([[신라 진성왕|진성왕]] 10), 계룡산 [[보원정사|보원정사(普願精舍)]]에서 계를 받았다. |
{{blockquote | {{blockquote | ||
|마침내 건령 4년(897, 진성왕 10) 계룡산 보원정사(普願精舍)에서 지범(持犯)을 품은 연후에 하안거(夏安居: 坐雨)를 할 때에는 마음을 굳히고, 구름 위에 누운듯 생각을 간절히 하여 계율(戒珠)를 지키는 데에는 비길 사람이 없었고, 지혜의 칼을 가는 데에는 더 굳은 것이 없었다. | |마침내 건령 4년(897, 진성왕 10) 계룡산 보원정사(普願精舍)에서 지범(持犯)을 품은 연후에 하안거(夏安居: 坐雨)를 할 때에는 마음을 굳히고, 구름 위에 누운듯 생각을 간절히 하여 계율(戒珠)를 지키는 데에는 비길 사람이 없었고, 지혜의 칼을 가는 데에는 더 굳은 것이 없었다. | ||
61번째 줄: | 61번째 줄: | ||
}} | }} | ||
− | 또한 | + | 또한 서혈원(西穴院)으로 가서 [[양부|양부선사(楊孚禪師)]] 밑에서 수행하였다. |
{{blockquote | {{blockquote | ||
|법을 구하는 데 부지런하였고, 머물러 있지 않고 사방을 돌아다녔다. 마침내 서혈원의 양부선사를 찾아갔다. 선사는 반갑게 맞이하고 적심으로 접대하였다. 거문고와 북으로 말미암아 공자의 문하에서 열 명의 능한 사람의 이름도 알았고, 세 가지 예의를 펼칠 때도 있었다. 마음에 남기는 데 게을리하지 않았고, 봉양하는 데 오직 힘썼다. | |법을 구하는 데 부지런하였고, 머물러 있지 않고 사방을 돌아다녔다. 마침내 서혈원의 양부선사를 찾아갔다. 선사는 반갑게 맞이하고 적심으로 접대하였다. 거문고와 북으로 말미암아 공자의 문하에서 열 명의 능한 사람의 이름도 알았고, 세 가지 예의를 펼칠 때도 있었다. 마음에 남기는 데 게을리하지 않았고, 봉양하는 데 오직 힘썼다. | ||
67번째 줄: | 67번째 줄: | ||
}} | }} | ||
− | === | + | ===구법 유학=== |
− | 긍양은 899년([[신라 효공왕|효공왕]] 3) | + | 긍양은 899년([[신라 효공왕|효공왕]] 3) 당나라로 건너가 [[경제|석상경제(石霜慶諸)]]의 제자인 [[도연|곡산도연(谷山道緣)]]을 친견했다. 긍양은 [[도연]]에게 [[경제]]의 가르침에 대해 물었는데, "대대로 일찍이 계승되지 않았다."는 도연의 대답에 크게 깨달았다. 그 뒤, [[문수보살]]을 친견하기 위해 오대산으로 가는 도중 관음사에 머물렀는데, 갑자기 얼굴에 독창이 생겨 치료가 불가능하게 되었다. 홀로 열반당(涅槃堂)에 머물면서 일심으로 관음염불을 하는데, 한 노승이 나타나 숙원을 가진 사람의 원한 갚음이라 하면서 정성껏 씻어주었는데 그 후 독창이 깨끗이 나았다. 그 뒤, 오대산·운개산(雲盖山)·동산(洞山) 등지를 순례한 뒤 924년([[신라 경애왕|경애왕]] 1) 전주(全州) 희안현(喜安縣, 전북 부안군) 포구로 귀국했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8096 긍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blockquote | {{blockquote | ||
− | | | + | |곡산에 찾아가서 도연화상(道緣和尙)을 뵈었다. (도연화상은) 석상(石霜)의 올바른 계승자(適嗣)이다. (대사가 도연화상에게) 물었다. |
− | + | "석상의 종지는 어떠합니까?" | |
− | |||
− | |||
− | |||
− | + | "대대로 전승되지 않았다." | |
− | |출처= | + | |
+ | 대사는 말을 마치자 크게 깨달았다. 마침내 묵묵한 가운데 현묘한 기틀에 이르는 것을 얻었고, 비밀스런 심인(心印)을 몰래 전해 받았으니, 마치 진나라 황제의 거울에 | ||
+ | 비치는 것 같았고, 황제의 구슬을 찾은 것 같았다. 하나의 진실을 깊이 탐구하기 위해서 일찍이 삼매(三昧)의 경지에 빠졌다. 푸름과 붉음이 색을 막고 구슬과 불이 빛을 비추는 듯하였다. (마침내) 선문(禪門)의 영수가 되었고, 법원(法苑)의 생황과 큰 종과 같은 지위를 점하였으니 어찌 세기만 할 뿐이겠는가, 실로 강인하다. | ||
+ | |||
+ | ...(중략)... | ||
+ | |||
+ | 양 용덕(龍德: 後梁 末帝의 연호) 4년(924, 경애왕 1) 곡산(谷山)을 뛰어나와 유대(幽代)로 길을 자았다. 오대산(五臺)에 가서 참례하였고, 성스런 자취는 멀어도 찾아갔다. 만 리 험한 길을 지나 관음사에 이르렀다. 잠시 쉬려 하니 밤낮이 아스라히 | ||
+ | 지나갔다. 문득 얼굴에 붉은 부스럼이 나서 (여러 곳에) 참례하고 찾아볼 수가 없었다. 주후와 같은 명의의 비술을 만나더라도 병을 낫게 하는 공을 도울 수 없었다. 오랫동안 없어지지 않고, 점점 위독해졌다. 마침내 홀로 앉아 열반에 들려고 다우이에 앉아서 보살을 외웠다. 마음이 경각에 달했을 때, 한 노승이 문으로 들어왔다. | ||
+ | |||
+ | "네가 이르고자 하는 곳은 어디며, 고통스러워하는 바는 무엇이냐?" | ||
+ | |||
+ | "바다 끝에서 와서 오랫동안 강남에 있었는데, 이와 같이 독창에 걸려, 마음이 편하지 않다." | ||
+ | |||
+ | "근심하고 괴로워하지 말라. 오랫동안 원통해해서 그렇게 된 것이다." | ||
+ | |||
+ | 하고 물을 부어 주니, 마치 단 술로 씼은듯 완쾌되었다. "나는 이 산의 주인이다. 잠시 와서 위로코자 한 것이다. 장차 지킬 것을 부지런히 하고, 필요하면 (여기저기) 돌아다녀라." 말을 마치자 돌아갔다. 마치 꿈에서 깬 듯이 소활했고, 피부는 다친 곳이 없었으며, 부스럼 역시 없어졌다. 대개 대사가 몸소 청량한 계율(淸凉)을 실천하고 친히 덕이 높은 사람(妙德)들을 보아, 일찍부터 구씨(龜氏)의 종지를 이어 과연 성왕을 빈 것이 아니겠는가. 불가사의한 것이 이와 같았다. 그 후 서쪽으로 운개(雲盖)에 가 보았고, 남쪽으로는 동산(洞山)에 가 보았다. 경치가 특이한 곳은 반드시 찾아갔고, 덕이 높은 승려들은 반드시 찾아뵈었다. | ||
+ | |||
+ | 후당 동광(同光: 後唐 莊宗의 연호) 2년(924, 경애왕 1) 7월에 전주 희안현 포구로 돌아왔다. | ||
+ | |출처=임세권, 이우태,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한국국학진흥원, 2014, 19-21쪽. 온라인 참조: "[http://www.krpia.co.kr/product/main?plctId=PLCT00006041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 | ||
}} | }} | ||
===활동=== | ===활동=== | ||
− | 927년([[신라 경순왕|경순왕]] 1)에는 스승인 [[양부|양부선사(楊孚禪師)]]가 | + | 927년([[신라 경순왕|경순왕]] 1)에는 스승인 [[양부|양부선사(楊孚禪師)]]가 주석했던 강주(康州) [[합천 백엄사|백엄사(伯嚴寺)]]에 머물렀다.<ref>"[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4&cp_code=rp0703&index_id=rp07030128&content_id=rp070301280001&search_left_menu=2 긍양]", 디지털 삼국유사 사전 박물지 시범개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원형라이브러리』<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ref> |
{{blockquote | {{blockquote | ||
− | | | + | |강주 백암사로 옮기었으니, 이 곳은 서혈원의 옛 스승(楊孚禪師)이 창건한 곳이었다. 선사(先師)들이 세상을 버리고, 법장(法匠)들이 참됨에 돌아가면서, 문인(門人)들은 안앙(安仰)의 슬픔이 많았고, 신사(信士)들은 귀의하지 못한 탄식을 발하였다. 하물며 구름같이 높은 산과 연기같이 높다란 고개에서 사계절의 변하는 자태가 더욱 |
− | |출처= | + | 높아지고, 소나무와 대나무가 흔들리는 소리처럼 백 가지 퉁소 소리가 조화롭게 읊조리는 소리가 끊어지지 않아, 우리나라에서도 빼어났을 터인데, 중국의 종지를 잘 |
+ | 전했음에랴. | ||
+ | |출처=임세권, 이우태,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한국국학진흥원, 2014, 21쪽. 온라인 참조: "[http://www.krpia.co.kr/product/main?plctId=PLCT00006041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 | ||
}} | }} | ||
[[신라 경애왕|경애왕]]은 긍양의 덕을 찬탄하여 서신과 함께 '봉종대사(奉宗大師)'라는 호를 내려주었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8096 긍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신라 경애왕|경애왕]]은 긍양의 덕을 찬탄하여 서신과 함께 '봉종대사(奉宗大師)'라는 호를 내려주었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8096 긍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blockquote | {{blockquote | ||
− | |신라의 | + | |신라의 경애왕이 멀리서 대사를 모시고 큰 뜻을 헤아려 정리코자 하였다. 혼란스런 |
− | |출처= | + | 때여서, 선(禪)의 가르침을 받들고자 하여, 사신을 통해 글을 보냈다. |
+ | |||
+ | "삼가 대사께서는 일찍이 큰 바다를 건너 멀리 조계에 가서, 마음 속의 비인(秘印)을 전하고 턱밑의 밝은 구슬을 찾았으며, 지혜의 횃불을 계속 비추어 널리 미혹한 무리들의 길을 인도한다고 들었습니다. 그리하여 강물과 같은 넓은 선(禪)은 날로 넘치고, 산과 같이 높은 법(法)은 높고 높다고 합니다. 계령(鷄嶺)의 오묘한 바람이 구림(鳩林)의 먼 땅에까지 퍼지기를 기대합니다. 한 나라가 의지하는 것은 천 년에 한 번 만나는 것이라고 합니다." | ||
+ | |||
+ | 임금이 특별히 불러 봉종대사라 하였다. 대사는 바다같이 받아들여 거부하고 어그러뜨리는 바가 없었으니, 잘 이끄는 공이 이처럼 넓었으며, 근기를 보는 도리를 더욱 신중히 했던 것이다. | ||
+ | |출처=임세권, 이우태,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한국국학진흥원, 2014, 22쪽. 온라인 참조: "[http://www.krpia.co.kr/product/main?plctId=PLCT00006041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 | ||
}} | }} | ||
− | + | 935년([[신라 경순왕|경순왕]] 9) 희양산으로 가서 [[문경 봉암사|봉암사]]를 중창했고, 이곳에 머물면서 선실(禪室)을 구축하고 제자들을 가르쳐 [[희양산문]]을 확립했다.<ref>"[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4&cp_code=rp0703&index_id=rp07030128&content_id=rp070301280001&search_left_menu=2 긍양]", 디지털 삼국유사 사전 박물지 시범개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원형라이브러리』<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ref> | |
{{blockquote | {{blockquote | ||
− | | | + | |대사가 봉암사에 거주하니, 참새가 뛰어 나는 것처럼 기뻐하였다. 저 산봉우리를 넘어 산의 뒷면을 보니, 비취빛 나는 산봉우리는 여러 층을 이루었고, 붉은 빛 나는 절벽은 여러 겹을 둘렀다. 적들의 불지름으로 재만 날고 있었지만, 겹겹 산봉우리와 산 개울은 그 모양을 바꾸지 않았고, 절 마당과 승방 등은 반쯤 타 가시밭과 같았다. 우뚝 서 있는 것을 보니 거북이 돌을 지고 선사의 덕에 대한 명(銘)을 새긴 것이었고, 높고 큰 것을 보니, 불상을 금으로 주조한 것으로서 신령스런 빛을 비추고 있었다. 선조의 덕을 사모하여 서술하고자 하는 뜻이 더욱 예리해지니, 어찌 반드시 잇고자 하는 공을 사양하겠는가! 가섭이 진흙을 밟던 것을 생각하고 건련이 땅을 쓸던 것을 본받아, 선방을 수리하고, 배울 이들을 이끌어 내는데, 춥고 따뜻함을 미처 옮기지 못했는데도 대나무와 갈대처럼 열을 이루었다. 대사는 사람을 이끄는 데 게을리하지 않았고, 만물을 이롭게 하는 공이 있었다. 상인들도 절로 데려와 쉬게 하고, 가난한 사람들도 모두 절로 돌아오게 하였다. 나무를 줄지어 심어 놓은 곳에 향나무의 향이 매우 높았고, 뜰 가득히 연꽃들이 풍성하였다. 선사들과 조사들의 풍모를 크게 넓히고, 법왕의 가르침을 밝게 비치었다. 은혜를 골고루 미쳐 구제하였고, 덕을 보면 빛과 조화를 이루었다. 비록 산 가운데서 조용하고 묵묵히 지키고 있었지만, 역내에서는 맹렬한 위세를 보이셨고, 마귀들을 누르는 기술을 은근히 떨치셨다. 돕고 따르는 공을 널리펴서 마침내 개미처럼 모인 흉악한 무리들과 뱀처럼 달아난 역당(逆黨)들을 우매한 성품을 가진 사람들로 바꾸었고, 강폭한 마음을 갖지 말게 하니, 점점 다투려는 마음을 없애고 각각 편안하게 살 것을 기약하였다. |
− | |출처= | + | |출처=임세권, 이우태,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한국국학진흥원, 2014, 22-23쪽. 온라인 참조: "[http://www.krpia.co.kr/product/main?plctId=PLCT00006041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 |
}} | }} | ||
− | [[고려 태조]]가 후삼국을 통일하자, 긍양은 스스로 개경에 가서 [[고려 태조|태조]]를 만났다. 이때 [[고려 태조|태조]]는 긍양과 더불어 대장경(大藏經)을 사경하여 개경과 서경에 나누어 안치하는 일에 대해 | + | [[고려 태조]]가 후삼국을 통일하자, 긍양은 스스로 개경에 가서 [[고려 태조|태조]]를 만났다. 이때 [[고려 태조|태조]]는 긍양과 더불어 대장경(大藏經)을 사경하여 개경과 서경에 나누어 안치하는 일에 대해 논의했다. [[고려 정종|정종]]에게 마납가사(磨衲袈裟) 한 벌과 사경한 의희본(義熙本) 『화엄경(華嚴經)』 8질을 받기도 했다.<ref>"[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4&cp_code=rp0703&index_id=rp07030128&content_id=rp070301280001&search_left_menu=2 긍양]", 디지털 삼국유사 사전 박물지 시범개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원형라이브러리』<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ref> |
{{blockquote | {{blockquote | ||
− | | | + | |"현장법사가 서역에 두루 돌아다니다가 다시 장안(咸京)에 돌아와서, 불경을 번역해 내고 귀중품을 보관하는 창고에 비밀히 두었습니다. 정원(貞元: 唐 德宗의 연호, 785-804) 연간 이래로 다시 경론들의 본(本)을 만들어 점점 많아졌기 때문에 근년에 문구를 사신으로 보내어 대장경 진본과 바꾸어 오도록 하여, 항상 기원하여 많은 경전을 읽어 널리 퍼지게 했습니다. 요즈음 다행히 병화가 꺼져, 불교의 가르침을 진작시킬 수 있습니다. 대장경 한 본을 다시 복사하게 하여 개경과 서경 양도(兩都)에 나누어 두려고 하는데, 뜻이 어떻습니까?" |
− | + | ||
− | + | "실로 공덕이 되는 일입니다. 무상보리를 막지 않고 경전을 펴 아름다움을 널리 펴는 것이니, 부처를 믿는 마음이라 할 만합니다. 부처님의 은혜와 왕의 교화함이 땅만큼 오래 가며 하늘만큼 높을 것입니다. 복됨과 이로움은 가없고, 공덕과 이름은 썩지 않을 것입니다." | |
+ | |출처=임세권, 이우태,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한국국학진흥원, 2014, 24쪽. 온라인 참조: "[http://www.krpia.co.kr/product/main?plctId=PLCT00006041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 | ||
}} | }} | ||
− | 951년([[고려 광종|광종]] 2) 봄 긍양은 왕의 친서를 받고 개경에 갔다. [[고려 광종|광종]]은 긍양을 영접하여 호국제석원(護國帝釋院)에 모신 뒤 특별히 공양을 올리고 나라를 다스리는 정도(政道)에 대해 물었고, 그 해 4월에는 사나선원(舍那禪院)으로 이주하게 | + | 951년([[고려 광종|광종]] 2) 봄 긍양은 왕의 친서를 받고 개경에 갔다. [[고려 광종|광종]]은 긍양을 영접하여 호국제석원(護國帝釋院)에 모신 뒤 특별히 공양을 올리고 나라를 다스리는 정도(政道)에 대해 물었고, 그 해 4월에는 [[개성 사나사|사나선원(舍那禪院)]]으로 이주하게 하여 '증공대사(證空大師)'라는 호를 올렸다.<ref>"[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4&cp_code=rp0703&index_id=rp07030128&content_id=rp070301280001&search_left_menu=2 긍양]", 디지털 삼국유사 사전 박물지 시범개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원형라이브러리』<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ref> |
{{blockquote | {{blockquote | ||
− | | | + | |(대사의 일행이) 경기 지역으로 길을 잡아 들어올 때, (광종은) 여러 절의 승려들과 조정 가득히 있는 신하들로 하여금 서울 거리로 인도하고, 길가에 뒤따르도록 하여, 호국제석원(護國帝釋院)이 자리잡은 곳으로 찾아가게 하였다. |
− | |출처= | + | |
+ | 다음날 아침 □□□위에서 궁궐문을 크게 열고, 깨끗한 방을 특별히 마련하여 친히 구름같이 부드럽게 맞이하였다. 특별히 가는 대로 만든 집을 만들어, 평소의 정성을 들여 우러렀고, 정치의 도에 대하여 자문하였다. 대사가 천자를 찾아가 마음을 좋은 곳에 돌리고자 하였다. 망언지언(忘言之言)을 이야기하였고, 무설지설(無說之說)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니, 어찌 홀로 도의 멋에 의지하여 정치의 풍토를 이끌었다 하지 않겠는가. 군주를 보필하고 백성을 구제하는 공을 아름답고 크게 하여, 마침내 귀의코자 하는 간절함에 부합되었다. 그 해 4월 사나선원으로 옮겨 거주하셨다. | ||
+ | |||
+ | ...(중략)... | ||
+ | |||
+ | "옛날에 진나라 왕은 혜원을 만나 마음을 다하여 예로써 공경하였고, 오나라 왕은 승려 승회(僧會)를 만나 예로써 귀의하였습니다. (이런 일들을) 사람과 하늘이 함꼐 전하니, 예나 지금이나 아름다운 일입니다. 과인의 덕이 비록 지난 명석한 사람에게는 부끄러운 점은 있지만, 불문을 공경히 하는 데 뜻을 두어, 부지런히 힘써 행동하고, 빨리 마음을 닦고자 합니다. 대사는 우담화가 한 번 나타난 듯하고, 지혜의 해가 거듭 밝히는 듯 하여, 한 번 쳐다보면 번뇌가 스스로 없어지는 것 같고, 말씀하시는 입술을 보면 속세의 수고로움이 모두 없어지는 듯합니다. 많은 사람의 인과로 금세에 다시 만났으니, 감히 지극한 마음을 열어 맑은 덕을 우러러 듣고자 합니다. 스승됨의 예를 펼쳐 오랜 인연이 이루어지기 바랍니다." | ||
+ | |||
+ | 몸소 절에 찾아와, 얼굴에 거듭 간절한 뜻을 나타내고, 엎드려 자애로운 가르침을 바랬으며, 우러러 진실로 바래, 스스으이 도를 밝히기를 청하였다. 공경히 호를 높여 증공대사라 하였다. | ||
+ | |출처=임세권, 이우태,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한국국학진흥원, 2014, 26-27쪽. 온라인 참조: "[http://www.krpia.co.kr/product/main?plctId=PLCT00006041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 | ||
}} | }} | ||
+ | 953년([[고려 광종|광종]] 4) 가을에는 [[문경 봉암사|봉암사]]로 돌아갔다. | ||
+ | {{blockquote | ||
+ | |주(周) 광순(廣順: 後周 太祖의 연호) 3년(953, 광종4) 가을 옛 산으로 돌아갔다. 임금께서 옷을 들고 자리를 피하는 예의로 더해 줄 것을 청하여 (뜻을) 바꾸려 하였다. 멀리서 높은 정성을 다하였으나, 어찌 세속의 일을 잊어버리지 않을 수 있으리요. 몸소 법을 끌어내어 울면서 산으로 가는 (대사의) 행장을 보냈다. | ||
+ | |출처=임세권, 이우태,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한국국학진흥원, 2014, 27쪽. 온라인 참조: "[http://www.krpia.co.kr/product/main?plctId=PLCT00006041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 | ||
+ | }} | ||
===입적=== | ===입적=== | ||
− | + | 956년([[고려 광종|광종]] 7) 긍양은 [[문경 봉암사|봉암사]]에서 나이 79세, 법랍 60세로 입적했다. | |
{{blockquote | {{blockquote | ||
− | | | + | |현덕(顯德: 後周 世宗의 연호) 3년(956, 광종 7) 가을 8월 19일 갑자기 무리들에게 말하였다. |
− | |출처= | + | |
+ | "나는 서쪽에서 배우고 동쪽으로 돌아왔다. 36년 동안 이 산을 택해 머물면서 (사람들을) 이끌어 왔다. 푸른 산과 흰 구름을 빌어 미혹하여 길을 잃은 무리들을 인도해 왔다. 매번 옥 같은 게소을 찾아내어, 나라를 돕고, 인연을 복되게 하였다. 지금 바람 앞의 촛불과 같고, 물방울과 같아 오래 갈 수도 없고, 다시 만들기도 어렵다. 나는 가려 한다. 각자 자신의 마음을 잡아, 부처의 가르침을 힘써 좇도록 하여라." | ||
+ | |||
+ | 또 전법제자 중 맨 처음에 선 형초선사에게 일러 주었다. | ||
+ | |||
+ | "너는 선방(禪室)을 지어 계속 등을 전하도록 하여라. 오로지 광전(光前)을 일삼을 것이며, 서로 부촉하려는 자들을 타락시키지 말아라." | ||
+ | |||
+ | 말을 마치자 그대로 앉아서 돌아가셨다. 누린 나이는 79세이고, 승려가 되신 지는 60년이다. | ||
+ | |출처=임세권, 이우태,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한국국학진흥원, 2014, 27-28쪽. 온라인 참조: "[http://www.krpia.co.kr/product/main?plctId=PLCT00006041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 | ||
}} | }} | ||
− | [[고려 광종|광종]]은 정진대사(靜眞大師)라는 시호와 원오지탑(圓悟之塔)이라는 탑명을 | + | [[고려 광종|광종]]은 '정진대사(靜眞大師)'라는 시호와 '원오지탑(圓悟之塔)'이라는 탑명을 하사했으며, 영정 1위를 제작하고 공양을 베풀었다. 탑비는 965년([[고려 광종|광종]] 16)에 세워졌다. |
{{blockquote | {{blockquote | ||
− | | | + | |임금이 듣고 애통해하며 침전에서 곡(哭)을 하였다. 이에 좌승유 대덕 담유, 원윤 수전중감 한윤필 등을 사신으로 보내어 글과 □□으로 조의를 표하였고, 곡식과 향으로 부의하였다. 또 시호탑명사·원보 김준암, (시호탑명) 사부 좌윤 전광평시랑 김정범 등을 보내어 깨끗한 시호를 내려 '정진대사 원오지탑'이라 하였다. 이에 해당 관청에 명하여 진영(眞影) 1포를 비단 위에다 금가루를 뿌려 그리라고 하였는데, 하루도 되지 않고 만들어 제액을 찬술하였다. 그리하여 우승유 대덕 종예, 정보 김영, 정위 병부경 김영우 등에게 명하여 진영을 잘 운송해 오게 하여 영(營)과 겸하여 재를 설하니, 마치 □□□□□□□과 같았다. 장사를 지내는 예의가 이처럼 뛰어났고, 대사를 섬기는 도리가 이처럼 빛났다. |
− | |출처= | + | |
+ | ...(중략)... | ||
+ | |||
+ | 문하승이 표를 올려, 비를 세우고 공적을 기록하여 썩지 않고 빛나도록 하자고 청하였다. 임금께서 허락하셨다. 이에 석판을 구하고자 하였는데, (구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남해 바닷가에 있는 여미현에 명하여 돌을 캐서 배로 운반하고자 하였다. 그 수고비를 계산하고자, 사람을 보내어 그 곳에 가서 역에 대해 의논하고 공을 일으키는데, 어찌 천만뿐이겠는가! (그러던 중에) 문인이 본산 기슭에서 석판을 하나 캐어 냈는데, 그 모양은 넓고 크고, 색은 청백색이 나는 것이었다. 쪼고 가는 번거로움도 없는데도, 허물되는 곳이 없어 사람을 번거롭게 하지 않았다. 아름다운 공을 이룬 것이라 하여 갖추어 표를 올려 보냈더니, 왕이 듣고 기쁘게 허락하였다. 지금 이 절 내에는 옛 선사의 법갈이 있다. 신라 말에 전 진사 최치원이라는 자가 글을 썼다. 그 돌 역시 남해로부터 왔다. 지금 역사에 대해서 말이 많은데, 그렇기 때문에 흥미롭다. 글을 위로부터 아래로 써내려 가는 것이 대나무를 쪼개는 것과 같았으며, 남산에서 연구하여 파도를 말리는 듯하였으니, 동해에서 어찌 준비할 수 있겠는가라는 등의 말이 모두 기록되어 있다. | ||
+ | |출처=임세권, 이우태,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한국국학진흥원, 2014, 28-29쪽. 온라인 참조: "[http://www.krpia.co.kr/product/main?plctId=PLCT00006041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 | ||
}} | }} | ||
− | === | + | ===희양산문의 개산조=== |
− | + | 기존의 학자들은 『선문조사예참의문(禪門祖師禮懺儀文)』 등의 문헌에 '희양산조사 산신현청도헌국사(曦陽山祖師 山神現請道憲國師)'라고 기록된 것을 토대로, [[도헌]]을 [[희양산문]]의 조사 및 개산조로 보아왔다. 그러나 [[도헌]]과 긍양의 행적을 기록한 비문에 의하면, [[도헌]]은 긍양보다도 먼저 [[문경 봉암사|봉암사]]를 세우기는 하였으나 극히 일시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희양산문]]의 개산은 [[도헌]]의 법손이 되는 긍양이 935년에 희양산으로 가서 이미 허물어진 봉암사 터에서 새로 절을 일으켜 [[문경 봉암사|봉암사]]라 하고, 제자들을 일깨워 불조(佛祖)의 가르침을 크게 선양함으로써 이루어졌다. 긍양은 [[문경 봉암사|봉암사]]에서 [[고려 태조|태조]]와 [[고려 혜종|혜종]]·[[고려 정종|정종]]·[[고려 광종|광종]]의 존경과 믿음을 받았으며, [[형초|형초(逈超)]] 등 많은 제자를 배출하여 희양산의 선풍을 확립시켰다.<ref>김영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6115 희양산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지식관계망'''== | + | =='''지식 관계망'''== |
− | " | + | *'''정진대사 긍양 지식관계망'''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D047/monk_jeongjin.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https://dh.aks.ac.kr/Encyves/Graph/D047/huiyangsanmun.htm 희양산문 지식관계망] | ||
− | === | +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 [[긍양]]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 |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 [[긍양]]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 | ||
− |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 || [[긍양]]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 + |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 || [[긍양]]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A ekc:isStupaOf B |
|- | |- | ||
− | | [[여해]] || [[긍양]] || A는 B의 스승이다 || | + | | [[여해]] || [[긍양]]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 | [[긍양]] || [[보원정사]] || A는 B에서 계를 받았다 || | + | | [[긍양]] || [[공주 남혈사]] ||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긍양]] || [[보원정사]] || A는 B에서 계를 받았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양부]] || [[긍양]] || A는 B의 스승이다 || | + | | [[양부]] || [[긍양]]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 | [[도연]] || [[긍양]] || A는 B의 스승이다 || | + | | [[도연]] || [[긍양]]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 | [[긍양]] || [[합천 백엄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 + | | [[긍양]] || [[형초]]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 | [[긍양]] || [[합천 백엄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긍양]] || [[신라 경애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 [[긍양]] || [[신라 경애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문경 봉암사]] || [[긍양]] || | + | | [[문경 봉암사]] || [[긍양]] || A는 B가 중건하였다 || A ekc:renovator B |
|- | |- | ||
− | | [[희양산문]] || [[긍양]] || A는 B가 | + | | [[희양산문]] || [[긍양]] || A는 B가 개창하였다 || A ekc:founder B |
|- | |- | ||
− | | [[긍양]] || [[고려 태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 [[긍양]] || [[고려 태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긍양]] || [[고려 정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 [[긍양]] || [[고려 정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긍양]] || [[고려 광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 [[긍양]] || [[고려 광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긍양]] || [[개성 사나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 + | | [[긍양]] || [[개성 사나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긍양]] || [[문경 봉암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 + | | [[긍양]] || [[문경 봉암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긍양]] || [[문경 봉암사]] || A는 B에서 입적하였다 || | + | | [[긍양]] || [[문경 봉암사]] || A는 B에서 입적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196번째 줄: | 254번째 줄: | ||
| 965년 || [[긍양]]의 탑비가 건립되었다. | | 965년 || [[긍양]]의 탑비가 건립되었다. | ||
|} | |} | ||
− | |||
− | |||
− | |||
− | |||
=='''주석'''== | =='''주석'''== | ||
205번째 줄: | 259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 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 + | * 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한국국학진흥원, 2014. 온라인 참조: "[http://viewer.dbpia.co.kr/viewer.do?page=1&systemCode=&documentId=10001&serviceName=krpia 한국금석문집성 20]",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 |
* "[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12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 * "[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12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 ||
*이지관,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 원오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고려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440-513쪽. | *이지관,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 원오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고려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440-513쪽. | ||
212번째 줄: | 266번째 줄: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70532&cid=40942&categoryId=33380 긍양]",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70532&cid=40942&categoryId=33380 긍양]",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4&cp_code=rp0703&index_id=rp07030128&content_id=rp070301280001&search_left_menu=2 긍양]", 디지털 삼국유사 사전 박물지 시범개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원형라이브러리』<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4&cp_code=rp0703&index_id=rp07030128&content_id=rp070301280001&search_left_menu=2 긍양]", 디지털 삼국유사 사전 박물지 시범개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원형라이브러리』<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 ||
+ | *김영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6115 희양산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승탑비문 Top icon}} | {{승탑비문 Top icon}}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
− | |||
[[분류:승려]] | [[분류:승려]] | ||
− |
2024년 4월 12일 (금) 00:48 기준 최신판
긍양(兢讓) | |
대표명칭 | 긍양 |
---|---|
한자 | 兢讓 |
생몰년 | 878년-956년 |
시호 | 정진(靜眞) |
탑호 | 원오(圓悟) |
이칭 | 백암화상(伯巖和尙), 봉종대사(奉宗大師), 증공대사(證空大師) |
성씨 | 왕씨(王氏) |
출신지 | 충청남도 공주 |
승탑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 |
승탑비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
목차
정의
신라 말 고려 초의 승려.
내용
가계와 탄생
정진대사 긍양(靜眞大師 兢讓)은 878년(헌강왕 4) 충청남도 공주에서 태어났다. 속성은 왕씨(王氏)로 할아버지는 숙장(淑長), 아버지는 양길(亮吉)이고, 어머니는 김씨(金氏)다. 긍양의 고조와 증조부 때부터 군읍(郡邑)의 토호였으므로, 집집마다 그를 모르는 사람이 없었다고 한다.[1]
대사의 휘는 긍양(兢讓)이요 속성은 왕씨로 공주 사람이다. 할아버지는 숙장(淑長)이고, 아버지는 양길(亮吉)인데, 두 분 모두 인의(仁義)에 힘써 자신을 이루려는 마음을 지녔으며, 덕을 쌓고 공을 넉넉히 하여 자손에 넘겨주는 업(業)을 귀하게 하였다. 힘을 다해 관직에 복무했고, 서리와 눈을 품은듯 마음을 깨끗이 하였다. 마을에서는 사람들이 어른이라 칭하였고, 이웃 마을에서는 명예를 잘 지켜 현명한다는 소리를 들었다. 고조·증조는 모두 군읍(郡邑)의 호부(豪富)로서 그 집안(戶)을 알기 어렵지 않으므로 싣지 않는다. 어머니는 김씨이다. 여자의 공에 대해서는 상대할 사람이 없을 정도이고, 아내의 도리에 대해서도 규범이 있었다. 머리카락을 자르는 심정으로 순순히 정을 지키려 하였고, 학문을 중도에 그만두는 것을 경계하여 절개에 힘썼다. 스님과 부처님께 공경을 다하였고, 시부모 섬기기에 예를 다하였다. | ||
출처: 임세권, 이우태,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한국국학진흥원, 2014, 18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
탄생 설화
긍양의 어머니는 어느 날 밤, 별이 흘러와서 품으로 들어오는 꿈을 꾸고 임신을 했다.[2]
꿈에 유성이 품속에 들어 왔는데 크기가 항아리만했고, 색은 누런 윤택이 났다. 이로 인하여 임신하였다. 이 때문에 냄새난다는 음식을 끊고 삼가며 보호하기에 힘써 태교를 끊지 않았는데 기간이 좀 지나 태어났다. | ||
출처: 임세권, 이우태,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한국국학진흥원, 2014, 18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
유년기
긍양은 타고난 모습이 특이했으며 어려서부터 나이든 사람처럼 점잖았다.[3]
대사는 타고난 성품이 특이하였고, 마음과 얼굴 빛이 아름답고 기묘했다. 아이일 때부터 일곱살 무렵에 이를 때까지 어린애 같은 행동이 없어서 마치 나이든 것 같았다. 앉을 때에는 반드시 가부좌를 하고 행할 때는 모름지기 합장을 하였다. 모래를 모아 담을 쌓으면 불탑과 비슷한 것을 만들었고, 나뭇잎으 모으고 꽃을 따면 공양하는 공구(供具)와 비슷한 것을 만들어 진열하였다. 공부할 나이에 이르러서는 날마다 경전을 끼고 있었따. 집에서는 시와 예를 배웠고, 학교 강당에 가서는 강론을 들었는데, 가죽 끈이 세 번 끊어질 정도로 열심히 공부하여 (漢代의) 구류가(九流家)보다 더하다고 할 수 있었다. | ||
출처: 임세권, 이우태,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한국국학진흥원, 2014, 18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
출가수행
긍양은 공주 남혈원(南穴院)으로 가서 여해선사(如解禪師)의 제자가 되어 출가했다.
어머니와 아버지에게 간절히 아뢰어 출가(出家)하여 입도할 것을 진실로 청하였다. (그리하여) 공주 서혈원(西穴院) 여해선사(如解禪師)에게 출가하여, 머리를 깎고, 몸을 머물렀다. 뜻은 아침에 듣는 데 두었고 배움은 날마다 넘치기를 기대하였다. 실로 배전의 공을 들었으니 누가 감이 더디다 하겠는가? 상량이 무너지고, 종이 깨지는 듯한 소리가 들렸다. 이에 혁혁(赫赫)의 빛남을 알게 되었고, 돌오(突奧)의 빛살도 엿보게 되었다. 사방으로 세 벗(三友)를 택하였다. | ||
출처: 임세권, 이우태,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한국국학진흥원, 2014, 18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
897년(진성왕 10), 계룡산 보원정사(普願精舍)에서 계를 받았다.
마침내 건령 4년(897, 진성왕 10) 계룡산 보원정사(普願精舍)에서 지범(持犯)을 품은 연후에 하안거(夏安居: 坐雨)를 할 때에는 마음을 굳히고, 구름 위에 누운듯 생각을 간절히 하여 계율(戒珠)를 지키는 데에는 비길 사람이 없었고, 지혜의 칼을 가는 데에는 더 굳은 것이 없었다. | ||
출처: 임세권, 이우태,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한국국학진흥원, 2014, 19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
또한 서혈원(西穴院)으로 가서 양부선사(楊孚禪師) 밑에서 수행하였다.
법을 구하는 데 부지런하였고, 머물러 있지 않고 사방을 돌아다녔다. 마침내 서혈원의 양부선사를 찾아갔다. 선사는 반갑게 맞이하고 적심으로 접대하였다. 거문고와 북으로 말미암아 공자의 문하에서 열 명의 능한 사람의 이름도 알았고, 세 가지 예의를 펼칠 때도 있었다. 마음에 남기는 데 게을리하지 않았고, 봉양하는 데 오직 힘썼다. | ||
출처: 임세권, 이우태,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한국국학진흥원, 2014, 19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
구법 유학
긍양은 899년(효공왕 3) 당나라로 건너가 석상경제(石霜慶諸)의 제자인 곡산도연(谷山道緣)을 친견했다. 긍양은 도연에게 경제의 가르침에 대해 물었는데, "대대로 일찍이 계승되지 않았다."는 도연의 대답에 크게 깨달았다. 그 뒤, 문수보살을 친견하기 위해 오대산으로 가는 도중 관음사에 머물렀는데, 갑자기 얼굴에 독창이 생겨 치료가 불가능하게 되었다. 홀로 열반당(涅槃堂)에 머물면서 일심으로 관음염불을 하는데, 한 노승이 나타나 숙원을 가진 사람의 원한 갚음이라 하면서 정성껏 씻어주었는데 그 후 독창이 깨끗이 나았다. 그 뒤, 오대산·운개산(雲盖山)·동산(洞山) 등지를 순례한 뒤 924년(경애왕 1) 전주(全州) 희안현(喜安縣, 전북 부안군) 포구로 귀국했다.[4]
곡산에 찾아가서 도연화상(道緣和尙)을 뵈었다. (도연화상은) 석상(石霜)의 올바른 계승자(適嗣)이다. (대사가 도연화상에게) 물었다.
"석상의 종지는 어떠합니까?" "대대로 전승되지 않았다." 대사는 말을 마치자 크게 깨달았다. 마침내 묵묵한 가운데 현묘한 기틀에 이르는 것을 얻었고, 비밀스런 심인(心印)을 몰래 전해 받았으니, 마치 진나라 황제의 거울에 비치는 것 같았고, 황제의 구슬을 찾은 것 같았다. 하나의 진실을 깊이 탐구하기 위해서 일찍이 삼매(三昧)의 경지에 빠졌다. 푸름과 붉음이 색을 막고 구슬과 불이 빛을 비추는 듯하였다. (마침내) 선문(禪門)의 영수가 되었고, 법원(法苑)의 생황과 큰 종과 같은 지위를 점하였으니 어찌 세기만 할 뿐이겠는가, 실로 강인하다. ...(중략)... 양 용덕(龍德: 後梁 末帝의 연호) 4년(924, 경애왕 1) 곡산(谷山)을 뛰어나와 유대(幽代)로 길을 자았다. 오대산(五臺)에 가서 참례하였고, 성스런 자취는 멀어도 찾아갔다. 만 리 험한 길을 지나 관음사에 이르렀다. 잠시 쉬려 하니 밤낮이 아스라히 지나갔다. 문득 얼굴에 붉은 부스럼이 나서 (여러 곳에) 참례하고 찾아볼 수가 없었다. 주후와 같은 명의의 비술을 만나더라도 병을 낫게 하는 공을 도울 수 없었다. 오랫동안 없어지지 않고, 점점 위독해졌다. 마침내 홀로 앉아 열반에 들려고 다우이에 앉아서 보살을 외웠다. 마음이 경각에 달했을 때, 한 노승이 문으로 들어왔다. "네가 이르고자 하는 곳은 어디며, 고통스러워하는 바는 무엇이냐?" "바다 끝에서 와서 오랫동안 강남에 있었는데, 이와 같이 독창에 걸려, 마음이 편하지 않다." "근심하고 괴로워하지 말라. 오랫동안 원통해해서 그렇게 된 것이다." 하고 물을 부어 주니, 마치 단 술로 씼은듯 완쾌되었다. "나는 이 산의 주인이다. 잠시 와서 위로코자 한 것이다. 장차 지킬 것을 부지런히 하고, 필요하면 (여기저기) 돌아다녀라." 말을 마치자 돌아갔다. 마치 꿈에서 깬 듯이 소활했고, 피부는 다친 곳이 없었으며, 부스럼 역시 없어졌다. 대개 대사가 몸소 청량한 계율(淸凉)을 실천하고 친히 덕이 높은 사람(妙德)들을 보아, 일찍부터 구씨(龜氏)의 종지를 이어 과연 성왕을 빈 것이 아니겠는가. 불가사의한 것이 이와 같았다. 그 후 서쪽으로 운개(雲盖)에 가 보았고, 남쪽으로는 동산(洞山)에 가 보았다. 경치가 특이한 곳은 반드시 찾아갔고, 덕이 높은 승려들은 반드시 찾아뵈었다. 후당 동광(同光: 後唐 莊宗의 연호) 2년(924, 경애왕 1) 7월에 전주 희안현 포구로 돌아왔다. |
||
출처: 임세권, 이우태,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한국국학진흥원, 2014, 19-21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
활동
927년(경순왕 1)에는 스승인 양부선사(楊孚禪師)가 주석했던 강주(康州) 백엄사(伯嚴寺)에 머물렀다.[5]
강주 백암사로 옮기었으니, 이 곳은 서혈원의 옛 스승(楊孚禪師)이 창건한 곳이었다. 선사(先師)들이 세상을 버리고, 법장(法匠)들이 참됨에 돌아가면서, 문인(門人)들은 안앙(安仰)의 슬픔이 많았고, 신사(信士)들은 귀의하지 못한 탄식을 발하였다. 하물며 구름같이 높은 산과 연기같이 높다란 고개에서 사계절의 변하는 자태가 더욱
높아지고, 소나무와 대나무가 흔들리는 소리처럼 백 가지 퉁소 소리가 조화롭게 읊조리는 소리가 끊어지지 않아, 우리나라에서도 빼어났을 터인데, 중국의 종지를 잘 전했음에랴. |
||
출처: 임세권, 이우태,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한국국학진흥원, 2014, 21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
경애왕은 긍양의 덕을 찬탄하여 서신과 함께 '봉종대사(奉宗大師)'라는 호를 내려주었다.[6]
신라의 경애왕이 멀리서 대사를 모시고 큰 뜻을 헤아려 정리코자 하였다. 혼란스런
때여서, 선(禪)의 가르침을 받들고자 하여, 사신을 통해 글을 보냈다. "삼가 대사께서는 일찍이 큰 바다를 건너 멀리 조계에 가서, 마음 속의 비인(秘印)을 전하고 턱밑의 밝은 구슬을 찾았으며, 지혜의 횃불을 계속 비추어 널리 미혹한 무리들의 길을 인도한다고 들었습니다. 그리하여 강물과 같은 넓은 선(禪)은 날로 넘치고, 산과 같이 높은 법(法)은 높고 높다고 합니다. 계령(鷄嶺)의 오묘한 바람이 구림(鳩林)의 먼 땅에까지 퍼지기를 기대합니다. 한 나라가 의지하는 것은 천 년에 한 번 만나는 것이라고 합니다." 임금이 특별히 불러 봉종대사라 하였다. 대사는 바다같이 받아들여 거부하고 어그러뜨리는 바가 없었으니, 잘 이끄는 공이 이처럼 넓었으며, 근기를 보는 도리를 더욱 신중히 했던 것이다. |
||
출처: 임세권, 이우태,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한국국학진흥원, 2014, 22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
935년(경순왕 9) 희양산으로 가서 봉암사를 중창했고, 이곳에 머물면서 선실(禪室)을 구축하고 제자들을 가르쳐 희양산문을 확립했다.[7]
대사가 봉암사에 거주하니, 참새가 뛰어 나는 것처럼 기뻐하였다. 저 산봉우리를 넘어 산의 뒷면을 보니, 비취빛 나는 산봉우리는 여러 층을 이루었고, 붉은 빛 나는 절벽은 여러 겹을 둘렀다. 적들의 불지름으로 재만 날고 있었지만, 겹겹 산봉우리와 산 개울은 그 모양을 바꾸지 않았고, 절 마당과 승방 등은 반쯤 타 가시밭과 같았다. 우뚝 서 있는 것을 보니 거북이 돌을 지고 선사의 덕에 대한 명(銘)을 새긴 것이었고, 높고 큰 것을 보니, 불상을 금으로 주조한 것으로서 신령스런 빛을 비추고 있었다. 선조의 덕을 사모하여 서술하고자 하는 뜻이 더욱 예리해지니, 어찌 반드시 잇고자 하는 공을 사양하겠는가! 가섭이 진흙을 밟던 것을 생각하고 건련이 땅을 쓸던 것을 본받아, 선방을 수리하고, 배울 이들을 이끌어 내는데, 춥고 따뜻함을 미처 옮기지 못했는데도 대나무와 갈대처럼 열을 이루었다. 대사는 사람을 이끄는 데 게을리하지 않았고, 만물을 이롭게 하는 공이 있었다. 상인들도 절로 데려와 쉬게 하고, 가난한 사람들도 모두 절로 돌아오게 하였다. 나무를 줄지어 심어 놓은 곳에 향나무의 향이 매우 높았고, 뜰 가득히 연꽃들이 풍성하였다. 선사들과 조사들의 풍모를 크게 넓히고, 법왕의 가르침을 밝게 비치었다. 은혜를 골고루 미쳐 구제하였고, 덕을 보면 빛과 조화를 이루었다. 비록 산 가운데서 조용하고 묵묵히 지키고 있었지만, 역내에서는 맹렬한 위세를 보이셨고, 마귀들을 누르는 기술을 은근히 떨치셨다. 돕고 따르는 공을 널리펴서 마침내 개미처럼 모인 흉악한 무리들과 뱀처럼 달아난 역당(逆黨)들을 우매한 성품을 가진 사람들로 바꾸었고, 강폭한 마음을 갖지 말게 하니, 점점 다투려는 마음을 없애고 각각 편안하게 살 것을 기약하였다. | ||
출처: 임세권, 이우태,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한국국학진흥원, 2014, 22-23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
고려 태조가 후삼국을 통일하자, 긍양은 스스로 개경에 가서 태조를 만났다. 이때 태조는 긍양과 더불어 대장경(大藏經)을 사경하여 개경과 서경에 나누어 안치하는 일에 대해 논의했다. 정종에게 마납가사(磨衲袈裟) 한 벌과 사경한 의희본(義熙本) 『화엄경(華嚴經)』 8질을 받기도 했다.[8]
"현장법사가 서역에 두루 돌아다니다가 다시 장안(咸京)에 돌아와서, 불경을 번역해 내고 귀중품을 보관하는 창고에 비밀히 두었습니다. 정원(貞元: 唐 德宗의 연호, 785-804) 연간 이래로 다시 경론들의 본(本)을 만들어 점점 많아졌기 때문에 근년에 문구를 사신으로 보내어 대장경 진본과 바꾸어 오도록 하여, 항상 기원하여 많은 경전을 읽어 널리 퍼지게 했습니다. 요즈음 다행히 병화가 꺼져, 불교의 가르침을 진작시킬 수 있습니다. 대장경 한 본을 다시 복사하게 하여 개경과 서경 양도(兩都)에 나누어 두려고 하는데, 뜻이 어떻습니까?"
"실로 공덕이 되는 일입니다. 무상보리를 막지 않고 경전을 펴 아름다움을 널리 펴는 것이니, 부처를 믿는 마음이라 할 만합니다. 부처님의 은혜와 왕의 교화함이 땅만큼 오래 가며 하늘만큼 높을 것입니다. 복됨과 이로움은 가없고, 공덕과 이름은 썩지 않을 것입니다." |
||
출처: 임세권, 이우태,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한국국학진흥원, 2014, 24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
951년(광종 2) 봄 긍양은 왕의 친서를 받고 개경에 갔다. 광종은 긍양을 영접하여 호국제석원(護國帝釋院)에 모신 뒤 특별히 공양을 올리고 나라를 다스리는 정도(政道)에 대해 물었고, 그 해 4월에는 사나선원(舍那禪院)으로 이주하게 하여 '증공대사(證空大師)'라는 호를 올렸다.[9]
(대사의 일행이) 경기 지역으로 길을 잡아 들어올 때, (광종은) 여러 절의 승려들과 조정 가득히 있는 신하들로 하여금 서울 거리로 인도하고, 길가에 뒤따르도록 하여, 호국제석원(護國帝釋院)이 자리잡은 곳으로 찾아가게 하였다.
다음날 아침 □□□위에서 궁궐문을 크게 열고, 깨끗한 방을 특별히 마련하여 친히 구름같이 부드럽게 맞이하였다. 특별히 가는 대로 만든 집을 만들어, 평소의 정성을 들여 우러렀고, 정치의 도에 대하여 자문하였다. 대사가 천자를 찾아가 마음을 좋은 곳에 돌리고자 하였다. 망언지언(忘言之言)을 이야기하였고, 무설지설(無說之說)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니, 어찌 홀로 도의 멋에 의지하여 정치의 풍토를 이끌었다 하지 않겠는가. 군주를 보필하고 백성을 구제하는 공을 아름답고 크게 하여, 마침내 귀의코자 하는 간절함에 부합되었다. 그 해 4월 사나선원으로 옮겨 거주하셨다. ...(중략)... "옛날에 진나라 왕은 혜원을 만나 마음을 다하여 예로써 공경하였고, 오나라 왕은 승려 승회(僧會)를 만나 예로써 귀의하였습니다. (이런 일들을) 사람과 하늘이 함꼐 전하니, 예나 지금이나 아름다운 일입니다. 과인의 덕이 비록 지난 명석한 사람에게는 부끄러운 점은 있지만, 불문을 공경히 하는 데 뜻을 두어, 부지런히 힘써 행동하고, 빨리 마음을 닦고자 합니다. 대사는 우담화가 한 번 나타난 듯하고, 지혜의 해가 거듭 밝히는 듯 하여, 한 번 쳐다보면 번뇌가 스스로 없어지는 것 같고, 말씀하시는 입술을 보면 속세의 수고로움이 모두 없어지는 듯합니다. 많은 사람의 인과로 금세에 다시 만났으니, 감히 지극한 마음을 열어 맑은 덕을 우러러 듣고자 합니다. 스승됨의 예를 펼쳐 오랜 인연이 이루어지기 바랍니다." 몸소 절에 찾아와, 얼굴에 거듭 간절한 뜻을 나타내고, 엎드려 자애로운 가르침을 바랬으며, 우러러 진실로 바래, 스스으이 도를 밝히기를 청하였다. 공경히 호를 높여 증공대사라 하였다. |
||
출처: 임세권, 이우태,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한국국학진흥원, 2014, 26-27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
주(周) 광순(廣順: 後周 太祖의 연호) 3년(953, 광종4) 가을 옛 산으로 돌아갔다. 임금께서 옷을 들고 자리를 피하는 예의로 더해 줄 것을 청하여 (뜻을) 바꾸려 하였다. 멀리서 높은 정성을 다하였으나, 어찌 세속의 일을 잊어버리지 않을 수 있으리요. 몸소 법을 끌어내어 울면서 산으로 가는 (대사의) 행장을 보냈다. | ||
출처: 임세권, 이우태,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한국국학진흥원, 2014, 27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
입적
956년(광종 7) 긍양은 봉암사에서 나이 79세, 법랍 60세로 입적했다.
현덕(顯德: 後周 世宗의 연호) 3년(956, 광종 7) 가을 8월 19일 갑자기 무리들에게 말하였다.
"나는 서쪽에서 배우고 동쪽으로 돌아왔다. 36년 동안 이 산을 택해 머물면서 (사람들을) 이끌어 왔다. 푸른 산과 흰 구름을 빌어 미혹하여 길을 잃은 무리들을 인도해 왔다. 매번 옥 같은 게소을 찾아내어, 나라를 돕고, 인연을 복되게 하였다. 지금 바람 앞의 촛불과 같고, 물방울과 같아 오래 갈 수도 없고, 다시 만들기도 어렵다. 나는 가려 한다. 각자 자신의 마음을 잡아, 부처의 가르침을 힘써 좇도록 하여라." 또 전법제자 중 맨 처음에 선 형초선사에게 일러 주었다. "너는 선방(禪室)을 지어 계속 등을 전하도록 하여라. 오로지 광전(光前)을 일삼을 것이며, 서로 부촉하려는 자들을 타락시키지 말아라." 말을 마치자 그대로 앉아서 돌아가셨다. 누린 나이는 79세이고, 승려가 되신 지는 60년이다. |
||
출처: 임세권, 이우태,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한국국학진흥원, 2014, 27-28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
광종은 '정진대사(靜眞大師)'라는 시호와 '원오지탑(圓悟之塔)'이라는 탑명을 하사했으며, 영정 1위를 제작하고 공양을 베풀었다. 탑비는 965년(광종 16)에 세워졌다.
임금이 듣고 애통해하며 침전에서 곡(哭)을 하였다. 이에 좌승유 대덕 담유, 원윤 수전중감 한윤필 등을 사신으로 보내어 글과 □□으로 조의를 표하였고, 곡식과 향으로 부의하였다. 또 시호탑명사·원보 김준암, (시호탑명) 사부 좌윤 전광평시랑 김정범 등을 보내어 깨끗한 시호를 내려 '정진대사 원오지탑'이라 하였다. 이에 해당 관청에 명하여 진영(眞影) 1포를 비단 위에다 금가루를 뿌려 그리라고 하였는데, 하루도 되지 않고 만들어 제액을 찬술하였다. 그리하여 우승유 대덕 종예, 정보 김영, 정위 병부경 김영우 등에게 명하여 진영을 잘 운송해 오게 하여 영(營)과 겸하여 재를 설하니, 마치 □□□□□□□과 같았다. 장사를 지내는 예의가 이처럼 뛰어났고, 대사를 섬기는 도리가 이처럼 빛났다.
...(중략)... 문하승이 표를 올려, 비를 세우고 공적을 기록하여 썩지 않고 빛나도록 하자고 청하였다. 임금께서 허락하셨다. 이에 석판을 구하고자 하였는데, (구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남해 바닷가에 있는 여미현에 명하여 돌을 캐서 배로 운반하고자 하였다. 그 수고비를 계산하고자, 사람을 보내어 그 곳에 가서 역에 대해 의논하고 공을 일으키는데, 어찌 천만뿐이겠는가! (그러던 중에) 문인이 본산 기슭에서 석판을 하나 캐어 냈는데, 그 모양은 넓고 크고, 색은 청백색이 나는 것이었다. 쪼고 가는 번거로움도 없는데도, 허물되는 곳이 없어 사람을 번거롭게 하지 않았다. 아름다운 공을 이룬 것이라 하여 갖추어 표를 올려 보냈더니, 왕이 듣고 기쁘게 허락하였다. 지금 이 절 내에는 옛 선사의 법갈이 있다. 신라 말에 전 진사 최치원이라는 자가 글을 썼다. 그 돌 역시 남해로부터 왔다. 지금 역사에 대해서 말이 많은데, 그렇기 때문에 흥미롭다. 글을 위로부터 아래로 써내려 가는 것이 대나무를 쪼개는 것과 같았으며, 남산에서 연구하여 파도를 말리는 듯하였으니, 동해에서 어찌 준비할 수 있겠는가라는 등의 말이 모두 기록되어 있다. |
||
출처: 임세권, 이우태,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한국국학진흥원, 2014, 28-29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
희양산문의 개산조
기존의 학자들은 『선문조사예참의문(禪門祖師禮懺儀文)』 등의 문헌에 '희양산조사 산신현청도헌국사(曦陽山祖師 山神現請道憲國師)'라고 기록된 것을 토대로, 도헌을 희양산문의 조사 및 개산조로 보아왔다. 그러나 도헌과 긍양의 행적을 기록한 비문에 의하면, 도헌은 긍양보다도 먼저 봉암사를 세우기는 하였으나 극히 일시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희양산문의 개산은 도헌의 법손이 되는 긍양이 935년에 희양산으로 가서 이미 허물어진 봉암사 터에서 새로 절을 일으켜 봉암사라 하고, 제자들을 일깨워 불조(佛祖)의 가르침을 크게 선양함으로써 이루어졌다. 긍양은 봉암사에서 태조와 혜종·정종·광종의 존경과 믿음을 받았으며, 형초(逈超) 등 많은 제자를 배출하여 희양산의 선풍을 확립시켰다.[10]
지식 관계망
- 정진대사 긍양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 긍양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 | 긍양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A ekc:isStupaOf B |
여해 | 긍양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긍양 | 공주 남혈사 |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긍양 | 보원정사 | A는 B에서 계를 받았다 | A edm:isRelatedTo B |
양부 | 긍양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도연 | 긍양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긍양 | 형초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긍양 | 합천 백엄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긍양 | 신라 경애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문경 봉암사 | 긍양 | A는 B가 중건하였다 | A ekc:renovator B |
희양산문 | 긍양 | A는 B가 개창하였다 | A ekc:founder B |
긍양 | 고려 태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긍양 | 고려 정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긍양 | 고려 광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긍양 | 개성 사나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긍양 | 문경 봉암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긍양 | 문경 봉암사 | A는 B에서 입적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878년 | 긍양 출생 |
897년 | 긍양은 계룡산 보원정사에서 계를 받았다. |
899년 | 긍양은 당나라로 건너갔다. |
924년 | 긍양은 당나라에서 귀국하였다. |
927년 | 긍양은 합천 백엄사에 주석하였다. |
935년 | 긍양은 문경 봉암사를 중창하고, 희양산문을 확립하였다. |
951년 봄 | 긍양은 고려 광종의 친서를 받고 개경에 갔다. |
951년 4월 | 긍양은 개성 사나사에 주석하였으며, 고려 광종으로 부터 '증공대사(證空大師)'라는 호를 받았다. |
953년 | 긍양은 문경 봉암사로 돌아가 주석하였다. |
956년 | 긍양 입적 |
965년 | 긍양의 탑비가 건립되었다. |
주석
- ↑ "긍양", 디지털 삼국유사 사전 박물지 시범개발,
『문화원형라이브러리』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 ↑ "긍양", 디지털 삼국유사 사전 박물지 시범개발,
『문화원형라이브러리』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 ↑ "긍양", 디지털 삼국유사 사전 박물지 시범개발,
『문화원형라이브러리』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 ↑ 김위석, "긍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긍양", 디지털 삼국유사 사전 박물지 시범개발,
『문화원형라이브러리』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 ↑ 김위석, "긍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긍양", 디지털 삼국유사 사전 박물지 시범개발,
『문화원형라이브러리』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 ↑ "긍양", 디지털 삼국유사 사전 박물지 시범개발,
『문화원형라이브러리』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 ↑ "긍양", 디지털 삼국유사 사전 박물지 시범개발,
『문화원형라이브러리』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 ↑ 김영태, "희양산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한국국학진흥원, 2014.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0",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 누리미디어. -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이지관,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 원오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고려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440-513쪽.
-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긍양",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김위석, "긍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긍양",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긍양", 디지털 삼국유사 사전 박물지 시범개발,
『문화원형라이브러리』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 김영태, "희양산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