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 인각사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5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9번째 줄: | 19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경상북도 군위군 | + |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에 있는 절터. |
=='''내용'''== | =='''내용'''== | ||
− | + | 인각사(麟角寺)의 창건과 관련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 하나는 642년에 [[의상|의상(義湘, 625-702)]]이 창건했다는 것이고, 또 하나는 643년에 [[원효|원효(元曉, 617-686)]]가 창건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642년이면 [[의상]]이 불과 18세 때이고, [[원효]]가 648년에 [[경주 황룡사|황룡사(皇龍寺)]]에서 출가한 것으로 알려져있어 두 가지 설 모두 신빙성이 떨어진다.<ref>사찰문화연구원, 『전국사찰총서16 - 경북의 전통사찰Ⅲ』, 사찰문화연구원, 2001, 136쪽.</ref>1991년 말 경북대학 박물관에서 실시한 발굴조사를 통해 대웅전터로 추정되는 기단부에서 통일신라시대의 유구가 확인되어 신라 말기에는 이미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3742 군위 인각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 |||
− | |||
− | <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3740000,37 군위 인각사지 | + | 이후 고려 때 크게 중창하였고, [[일연|일연(一然)]]이 1284년(충렬왕 10)부터 5년간 이 절에서 머물며 『[[삼국유사|삼국유사(三國遺事)]]』를 지은 장소로 널리 알려져 있다. 1992년 이후 5차에 걸친 발굴조사를 마쳤고, 이를 토대로 2010년부터 2017년까지 8년간 국비 등 총 113억 원을 투입하여 인각사 복원사업을 추진중이다.<ref>"[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4441 인각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지금 인각사에는 법당과 두 채의 건물이 남아 있으며, 중요문화재로 인각사 보각국사 탑과 비가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3740000,37 군위 인각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검색』<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 =='''지식 관계망'''== | ||
+ | *'''보각국사 일연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74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D004/monk_bogak.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https://dh.aks.ac.kr/Encyves/Graph/D004/stele_bogak_gunwi.htm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지식관계망] | ||
− | |||
− | |||
===관련항목=== | ===관련항목===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 || | + | |[[군위 인각사지]] || [[군위 인각사]] || A는 B의 터이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 [[군위 인각사지]] || A는 B에 있다 || | ||
+ | |- | ||
+ |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 [[군위 인각사지]] || A는 B에 있다 || | ||
+ | |- | ||
+ | |[[군위 인각사 삼층석탑]] || [[군위 인각사지]] || A는 B에 있다 || | ||
+ | |- | ||
+ | |[[군위 인각사 미륵당 석불좌상]] || [[군위 인각사지]] || A는 B에 있다 || | ||
+ | |- | ||
+ |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 || [[군위 인각사지]] || A는 B에 있다 || | ||
+ | |- | ||
+ | |[[일연]] || [[군위 인각사지]]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 ||
+ | |- | ||
+ |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 [[일연]]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
+ | |- | ||
+ | |[[삼국유사]] || [[군위 인각사지]] || A는 B와 관련있다 || | ||
|- | |- | ||
|} | |} | ||
44번째 줄: | 64번째 줄: |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 |- | ||
− | | || | + | |1284년 || [[일연]]이 [[군위 인각사]]에 주석하며 [[삼국유사]]를 저술하였다 |
+ | |- | ||
+ | |1289년 || [[일연]]이 [[군위 인각사]]에서 입적하였다 | ||
+ | |- | ||
+ | |1362년 || [[군위 인각사]]에 무무당이 건립되었다 | ||
+ | |- | ||
+ | |1407년 || [[군위 인각사]]가 자복사찰로 지정되었다 | ||
+ | |- | ||
+ | |1890년 ||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가 훼손되었다 | ||
+ | |- | ||
+ | |1992년 || [[군위 인각사지]]에 대한 발굴조사가 시작되었다 | ||
+ | |- | ||
+ | |2010년 || [[군위 인각사지]]에 대한 복원사업이 시작되었다 | ||
|} | |} | ||
51번째 줄: | 83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 | * 김진덕, 「군위 인각사지 5차발굴조사 개보」, 신라사학보 15호, 2009, 271~296쪽. | |
− | + | * 박기용, 『문학:명저의 탐방; 삼국유사의 산실 인각사』, 선비문화 1권 0호, 2004. | |
+ | * 사찰문화연구원, 『전국사찰총서16 - 경북의 전통사찰Ⅲ』, 사찰문화연구원, 2001. | ||
+ | * 황원갑, 『고승과 명찰』, 바움, 2010. | ||
+ | * 이민수(역), 『신증동국여지승람』제 27권 경상도 의흥현, 1969. 온라인 참조: "[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K&url=/itkcdb/text/nodeViewIframe.jsp?bizName=MK&seojiId=kc_mk_g012&gunchaId=av027&muncheId=01&finId=005&NodeId=&setid=453558&Pos=32&TotalCount=49&searchUrl=ok 의흥현]", 신증동국여지승람 제 27권 경상도 의흥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고전종합DB』<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고전번역원. | ||
+ | * "[http://www.ggbn.co.kr/news/articleView.html?idxno=9551 ⑬군위 인각사]" 『금강신문』, 작성일: 2009년 3월 20일. |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6692 군위인각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4441 인각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사전 』<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3742 군위 인각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승탑비문 Top icon}} | {{승탑비문 Top icon}} |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사찰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사찰]] |
2024년 4월 12일 (금) 00:43 기준 최신판
군위 인각사지 (軍威 麟角寺址) |
|
대표명칭 | 군위 인각사지 |
---|---|
한자 | 軍威 麟角寺址 |
주소 |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삼국유사로 250(화북리 612) |
문화재 지정번호 | 사적 제374호 |
문화재 지정일 | 1992년 05월 28일 |
교구정보 | 대한불교조계종 |
건립시기 | 642년 |
경내문화재 |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군위 인각사 삼층석탑, 군위 인각사 미륵당 석불좌상,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 |
|
정의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에 있는 절터.
내용
인각사(麟角寺)의 창건과 관련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 하나는 642년에 의상(義湘, 625-702)이 창건했다는 것이고, 또 하나는 643년에 원효(元曉, 617-686)가 창건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642년이면 의상이 불과 18세 때이고, 원효가 648년에 황룡사(皇龍寺)에서 출가한 것으로 알려져있어 두 가지 설 모두 신빙성이 떨어진다.[1]1991년 말 경북대학 박물관에서 실시한 발굴조사를 통해 대웅전터로 추정되는 기단부에서 통일신라시대의 유구가 확인되어 신라 말기에는 이미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2]
이후 고려 때 크게 중창하였고, 일연(一然)이 1284년(충렬왕 10)부터 5년간 이 절에서 머물며 『삼국유사(三國遺事)』를 지은 장소로 널리 알려져 있다. 1992년 이후 5차에 걸친 발굴조사를 마쳤고, 이를 토대로 2010년부터 2017년까지 8년간 국비 등 총 113억 원을 투입하여 인각사 복원사업을 추진중이다.[3] 지금 인각사에는 법당과 두 채의 건물이 남아 있으며, 중요문화재로 인각사 보각국사 탑과 비가 있다.[4]
지식 관계망
- 보각국사 일연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군위 인각사지 | 군위 인각사 | A는 B의 터이다 | A edm:isRelatedTo B |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 군위 인각사지 | A는 B에 있다 | |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 군위 인각사지 | A는 B에 있다 | |
군위 인각사 삼층석탑 | 군위 인각사지 | A는 B에 있다 | |
군위 인각사 미륵당 석불좌상 | 군위 인각사지 | A는 B에 있다 | |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 | 군위 인각사지 | A는 B에 있다 | |
일연 | 군위 인각사지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 일연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삼국유사 | 군위 인각사지 | A는 B와 관련있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284년 | 일연이 군위 인각사에 주석하며 삼국유사를 저술하였다 |
1289년 | 일연이 군위 인각사에서 입적하였다 |
1362년 | 군위 인각사에 무무당이 건립되었다 |
1407년 | 군위 인각사가 자복사찰로 지정되었다 |
1890년 |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가 훼손되었다 |
1992년 | 군위 인각사지에 대한 발굴조사가 시작되었다 |
2010년 | 군위 인각사지에 대한 복원사업이 시작되었다 |
주석
- ↑ 사찰문화연구원, 『전국사찰총서16 - 경북의 전통사찰Ⅲ』, 사찰문화연구원, 2001, 136쪽.
- ↑ "군위 인각사지",
『두산백과』online . - ↑ "인각사",
『조선왕조실록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군위 인각사지,
『문화재검색』online , 문화재청.
참고문헌
- 김진덕, 「군위 인각사지 5차발굴조사 개보」, 신라사학보 15호, 2009, 271~296쪽.
- 박기용, 『문학:명저의 탐방; 삼국유사의 산실 인각사』, 선비문화 1권 0호, 2004.
- 사찰문화연구원, 『전국사찰총서16 - 경북의 전통사찰Ⅲ』, 사찰문화연구원, 2001.
- 황원갑, 『고승과 명찰』, 바움, 2010.
- 이민수(역), 『신증동국여지승람』제 27권 경상도 의흥현, 1969. 온라인 참조: "의흥현", 신증동국여지승람 제 27권 경상도 의흥현,
『한국고전종합DB』online , 한국고전번역원. - "⑬군위 인각사" 『금강신문』, 작성일: 2009년 3월 20일.
- "군위인각사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인각사",
『조선왕조실록사전 』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군위 인각사지",
『두산백과』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