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례 화엄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3번째 줄: | 23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 | + | 2009년 12월 21일 사적 제505호로 지정되었으며,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 본사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58602 화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화엄사 창건에 관한 여러 가지 설=== | |
− | + | # 『[[동국여지승람|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 따르면, "시대는 분명하지 않으나, 연기(煙氣)라는 승려가 세웠다"고만 기록하고 있다.<ref>김상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4785 구례 화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중관대사(中觀大師 | + | # [[해안|중관대사 해안(中觀大師 海眼)]]이 1636년([[조선 인조|인조]] 14년)에 쓴 『호남도구례현지리산대화엄사사적(湖南道求禮縣智異山大華嚴寺事蹟)』 등의 모든 사적기들은 “544년(진흥왕 5) 인도의 승려인 [[연기|연기조사(緣起祖師)]]가 세웠다”고 기록한다.<ref>김상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4785 구례 화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구례속지(求禮續誌)』에는 “[[신라 진흥왕|진흥왕]] 4년에 [[연기|연기조사]]가 세웠으며, [[백제 법왕]]이 3,000명의 승려를 주석하게 하였다”고 부연하고 있다.<ref>김상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4785 구례 화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러나 삼국시대에는 백제 땅에 속했던 화엄사를 [[자장|자장(慈藏)]]이 중건할 수 있었을까 하는 점, 그리고 양식으로 보아 현존 화엄사의 석조물이 모두 8세기 후반부터 9세기에 걸쳐 조성되었다고 하는 점 등, 창건과 중건을 둘러싼 의문이 일찍부터 제기되어 왔다.<ref>김상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4785 구례 화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그러나 이와 같은 의문은 1978년 [[신라 경덕왕]] 대의 『신라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新羅白紙墨書大方廣佛華嚴經)』이 발견되면서 완전히 풀렸다. | |
+ | 이 사경의 발문에 따라 [[연기]]는 [[경주 황룡사|황룡사(皇龍寺)]]의 승려로서 754년([[신라 경덕왕|경덕왕]] 13) 8월부터 화엄경사경을 만들기 시작해 이듬해 2월 완성시켰던 실존 인물임이 밝혀졌다. 그리하여 창건 연대가 [[신라 진흥왕]](재위 540-576, 신라 제24대 왕) 때가 아닌 [[신라 경덕왕|경덕왕]](재위 742-765, 신라 제35대 왕) 때이고, 아울러 [[자장]] 및 [[의상]]의 중수 또한 사실이 아님이 입증되었다. 다만, 8세기보다 앞선 어느 시기부터 이 터에 가람이 있었고 그것이 [[연기|연기조사]] 대에 이르러 대가람으로 확장되었다고 볼 수도 있다.<ref>김상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4785 구례 화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대개의 절은 대웅전을 중심으로 가람을 배치하지만, 이 절은 | + | ===역사=== |
+ | 『[[사지|사지(寺誌)]]』에서는 당시의 화엄사는 가람 8원(院) 81암(庵) 규모의 대 사찰로 이른바 화엄 불국세계(佛國世界)를 이루었다고 한다. 신라 말기에는 [[도선|도선국사(道詵國師)]]가 중수하였고 고려시대에 네 차례 중수를 거쳐 보존되어 오다가 [[임진왜란]] 때 전소하고 승려들 또한 학살당하였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58602 화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 ===화엄사의 특징=== | ||
+ | 대개의 절은 대웅전을 중심으로 가람을 배치하지만, 이 절은 [[구례 화엄사 각황전|각황전(覺皇殿)]]이 중심을 이루어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을 주불(主佛)로 공양한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58602 화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 ===경내 문화재=== | ||
+ | 주요 문화재로는 국보 제12호인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석등(石燈)]], 국보 제35호인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사사자삼층석탑(四獅子三層石塔)]], 국보 제67호인 [[구례 화엄사 각황전|각황전]]이 있으며, 보물 제132호인 [[구례 화엄사 동 오층석탑|동 오층석탑(東 五層石塔)]], 보물 제133호인 [[구례 화엄사 서 오층석탑|서 오층석탑(西 五層石塔)]], 보물 제300호인 [[구례 화엄사 원통전 앞 사자탑|원통전 앞 사자탑(獅子塔)]], 보물 제299호인 [[구례 화엄사 대웅전|대웅전]]이 있다. 부속 암자로는 구층암(九層庵)·금정암(金井庵)·지장암(地藏庵)이 있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58602 화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
+ | *'''구례 화엄사에서 구족계를 받은 형미의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D017/monk_hyeongmi.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50번째 줄: | 56번째 줄: | ||
|- | |- | ||
| [[구례 화엄사]] || [[연기]]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 [[구례 화엄사]] || [[연기]]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
+ | |- | ||
+ | | [[구례 화엄사]] || [[각성]] || A는 B가 중창하였다 || A ekc:renovator B | ||
+ | |- | ||
+ | | [[도선]] || [[구례 화엄사]] || A는 B에서 출가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형미]] || [[구례 화엄사]] || A는 B에서 계를 받았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개청]] || [[구례 화엄사]] || A는 B에서 출가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구례 화엄사 각황전]] || [[구례 화엄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구례 화엄사 각황전]] || [[구례 화엄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79번째 줄: | 93번째 줄: | ||
|- | |- | ||
| || [[연기]]가 [[구례 화엄사|화엄사]]를 창건하였다 | | || [[연기]]가 [[구례 화엄사|화엄사]]를 창건하였다 | ||
− | + | |- | |
+ | |2009년 || 사적 제505호로 지정되었다 | ||
|} | |}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 | ===가상현실=== | ||
+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D028/hwaeom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br/> | ||
+ | {{clickable button|[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D028/hwaeomsa.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영상=== | ===영상=== | ||
94번째 줄: | 114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 |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58602 화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 김상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4785 구례 화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승탑비문 Top icon}} | {{승탑비문 Top icon}} |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사찰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사찰]] |
2024년 4월 12일 (금) 00:31 기준 최신판
구례 화엄사 (求禮 華嚴寺) |
|
대표명칭 | 구례 화엄사 |
---|---|
영문명칭 | Hwaeomsa Temple, Gurye |
한자 | 求禮 華嚴寺 |
주소 |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로 539 |
문화재 지정번호 | 사적 제505호 |
문화재 지정일 | 2009년 12월 21일 |
관리자 | 구례 화엄사 |
교구정보 | 대한불교조계종 |
창건자 | 연기(緣起) |
경내문화재 | 구례 화엄사 각황전,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 구례 화엄사 대웅전, 구례 화엄사 동 오층석탑, 구례 화엄사 서 오층석탑,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 구례 화엄사 원통전 앞 사자탑, 구례 화엄사 화엄석경, 구례 화엄사 대웅전 삼신불탱, 구례 화엄사 보제루, 구례 화엄사 영산회괘불탱,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 |
|
목차
정의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에 위치한 사찰로,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 본사이다.
내용
2009년 12월 21일 사적 제505호로 지정되었으며,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 본사다.[1]
화엄사 창건에 관한 여러 가지 설
-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 따르면, "시대는 분명하지 않으나, 연기(煙氣)라는 승려가 세웠다"고만 기록하고 있다.[2]
- 중관대사 해안(中觀大師 海眼)이 1636년(인조 14년)에 쓴 『호남도구례현지리산대화엄사사적(湖南道求禮縣智異山大華嚴寺事蹟)』 등의 모든 사적기들은 “544년(진흥왕 5) 인도의 승려인 연기조사(緣起祖師)가 세웠다”고 기록한다.[3]
- 『구례속지(求禮續誌)』에는 “진흥왕 4년에 연기조사가 세웠으며, 백제 법왕이 3,000명의 승려를 주석하게 하였다”고 부연하고 있다.[4]
그러나 삼국시대에는 백제 땅에 속했던 화엄사를 자장(慈藏)이 중건할 수 있었을까 하는 점, 그리고 양식으로 보아 현존 화엄사의 석조물이 모두 8세기 후반부터 9세기에 걸쳐 조성되었다고 하는 점 등, 창건과 중건을 둘러싼 의문이 일찍부터 제기되어 왔다.[5]
그러나 이와 같은 의문은 1978년 신라 경덕왕 대의 『신라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新羅白紙墨書大方廣佛華嚴經)』이 발견되면서 완전히 풀렸다. 이 사경의 발문에 따라 연기는 황룡사(皇龍寺)의 승려로서 754년(경덕왕 13) 8월부터 화엄경사경을 만들기 시작해 이듬해 2월 완성시켰던 실존 인물임이 밝혀졌다. 그리하여 창건 연대가 신라 진흥왕(재위 540-576, 신라 제24대 왕) 때가 아닌 경덕왕(재위 742-765, 신라 제35대 왕) 때이고, 아울러 자장 및 의상의 중수 또한 사실이 아님이 입증되었다. 다만, 8세기보다 앞선 어느 시기부터 이 터에 가람이 있었고 그것이 연기조사 대에 이르러 대가람으로 확장되었다고 볼 수도 있다.[6]
역사
『사지(寺誌)』에서는 당시의 화엄사는 가람 8원(院) 81암(庵) 규모의 대 사찰로 이른바 화엄 불국세계(佛國世界)를 이루었다고 한다. 신라 말기에는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중수하였고 고려시대에 네 차례 중수를 거쳐 보존되어 오다가 임진왜란 때 전소하고 승려들 또한 학살당하였다.[7]
화엄사의 특징
대개의 절은 대웅전을 중심으로 가람을 배치하지만, 이 절은 각황전(覺皇殿)이 중심을 이루어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을 주불(主佛)로 공양한다.[8]
경내 문화재
주요 문화재로는 국보 제12호인 석등(石燈), 국보 제35호인 사사자삼층석탑(四獅子三層石塔), 국보 제67호인 각황전이 있으며, 보물 제132호인 동 오층석탑(東 五層石塔), 보물 제133호인 서 오층석탑(西 五層石塔), 보물 제300호인 원통전 앞 사자탑(獅子塔), 보물 제299호인 대웅전이 있다. 부속 암자로는 구층암(九層庵)·금정암(金井庵)·지장암(地藏庵)이 있다.[9]
지식관계망
- 구례 화엄사에서 구족계를 받은 형미의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구례 화엄사 | 연기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구례 화엄사 | 각성 | A는 B가 중창하였다 | A ekc:renovator B |
도선 | 구례 화엄사 | A는 B에서 출가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형미 | 구례 화엄사 | A는 B에서 계를 받았다 | A edm:isRelatedTo B |
개청 | 구례 화엄사 | A는 B에서 출가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구례 화엄사 각황전 | 구례 화엄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 | 구례 화엄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구례 화엄사 동 오층석탑 | 구례 화엄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구례 화엄사 서 오층석탑 | 구례 화엄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 | 구례 화엄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구례 화엄사 원통전 앞 사자탑 | 구례 화엄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구례 화엄사 보제루 | 구례 화엄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구례 화엄사 영산회괘불탱 | 구례 화엄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구례 화엄사 대웅전 | 구례 화엄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구례 화엄사 대웅전 삼신불탱 | 구례 화엄사 대웅전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 | 구례 화엄사 대웅전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연기가 화엄사를 창건하였다 | |
2009년 | 사적 제505호로 지정되었다 |
시각자료
가상현실
영상
- 대한불교조계종조계사, "구례 화엄사", YouTube, 게시일: 2012년 7월 13일.
주석
- ↑ "화엄사",
『두산백과』online . - ↑ 김상현, "구례 화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상현, "구례 화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상현, "구례 화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상현, "구례 화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상현, "구례 화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화엄사",
『두산백과』online . - ↑ "화엄사",
『두산백과』online . - ↑ "화엄사",
『두산백과』online .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