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박석호-추풍령싸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계정보)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2번째 줄: 12번째 줄:
 
}}
 
}}
 
=='''정의'''==
 
=='''정의'''==
[[조선]] 중기 무신인 [[정기룡|정기룡(鄭起龍)]] 장군이 [[추풍령전투]]에서 왜군을 격파하여 동료인 [[조경|조경(趙儆)]]을 구출하는 장면<ref>민족정신선양회, 『민족기록화집 제1편 민족기록화(전승편)』, 민족정신선양회, 1984년, 135쪽.</ref>을 담은 [[박석호]]의 민족기록화.
+
1592년([[조선 선조|선조]] 25)에 조선 중기 무신인 [[정기룡]] 장군이 [[추풍령 전투]]에서 왜군을 격파하여 동료인 [[조경]]을 구출하는 장면<ref>민족정신선양회, 『민족기록화집 제1편 민족기록화(전승편)』, 민족정신선양회, 1984, 135쪽.</ref>을 담은 [[박석호]]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설명'''==
 
===작품 소재===
 
===작품 소재===
1592년 3월 14일 [[부산포|부산포(釜山浦)]]에 상륙한 왜군이 북진하자 조정에서는 3월 17일 [[조경|조경(趙儆)]]을 [[우방어사]]로 임명하여 즉시 [[추풍령]]으로 떠나게 하였다. 때마침 [[진주성]] [[훈령봉사]]였던 30세 [[정기룡|정기룡(鄭起龍)]]이 고향인 [[상주]]에서 변보를 듣고 [[조경]] 군진으로 찾아와 종군을 자청하였다. 4월 26일 해질 무렵, 조경과 [[돌격장]]에 임명된 [[정기룡]]이 500여 군졸을 이끌고 [[금산]](지금의 [[추풍령휴게소]] 동쪽)에 올라 군사를 분산시키고 왜적 수백 명을 4월 27일 새벽에 몰살하였다. 날이 밝자 왜군이 우리 군사가 적음을 알고 1만 병력을 투입하여 백병전이 벌어졌다. 그때 [[정기룡]]이 일당백기로 분전하면서 적병에 잡힌 [[조경]]을 구출하였다. 해당 작품은 이와 같은 장면을 담고 있는데, 백마 위에서 장도를 빼들고 있는 인물은 [[정기룡]]이고, 그의 품에 쓰러지듯 안겨있는 이가 [[조경|조경(趙儆)]]이다.
+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박석호-추풍령싸움(정기룡)-1975s.jpg|right|450px]]
 +
1592년 3월 14일 [[부산포|부산포(釜山浦)]]에 상륙한 왜군이 북진하자 조정에서는 3월 17일 [[조경|조경(趙儆, 1541~ 1609)]]을 [[우방어사|우방어사(右防禦使)]]로 임명하여 즉시 [[추풍령]]으로 떠나게 하였다. 때마침 [[진주성]] [[훈련원봉사]]였던 30세 [[정기룡|정기룡(鄭起龍, 1562~1622)]]이 고향인 [[상주]]에서 변보를 듣고 [[조경]] 군진으로 찾아와 종군을 자청하였다.<br/>
 +
4월 26일 해질 무렵, 조경과 [[돌격장]]에 임명된 [[정기룡]]이 500여 군졸을 이끌고 [[금산]](지금의 [[추풍령휴게소]] 동쪽)에 올라 군사를 분산시키고 4월 27일 새벽에 왜적 수백 명을 몰살시켰다. 날이 밝자 왜군이 우리 군사가 적음을 알고 1만 병력을 투입하여 백병전(白兵戰)이 벌어졌다. 그때 [[정기룡]]이 일당백기로 분전하면서 적병에 잡힌 [[조경]]을 구출하였다.<br/>
 +
해당 작품은 이와 같은 장면을 담고 있는데, 백마 위에서 장도를 빼들고 있는 인물은 '''①②⑤ [[정기룡]]'''이고, 그의 품에 쓰러지듯 안겨있는 이가 '''②⑤ [[조경]]'''이다.
  
 
===작품 배경===
 
===작품 배경===
작품의 시간적 배경은 1592년 4월 27일 새벽으로, 작품에서 동틀 무렵의 하늘이 그려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작품의 공간적 배경은 [[추풍령 전투]]가 일어났던 [[금산]](지금의 [[추풍령휴게소]] 동쪽)이다.
+
작품의 시간적 배경은 1592년 4월 27일 새벽으로, 작품에서 '''①②③''' 동틀 무렵의 하늘이 그려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작품의 공간적 배경은 [[추풍령 전투]]가 일어났던 [[금산]](지금의 [[추풍령휴게소]] 동쪽)이다.
  
 
===그림 읽기===
 
===그림 읽기===
34번째 줄: 37번째 줄: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font color="red">'''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font>
+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30/C030.htm "추풍령싸움"(박석호)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30/C030.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52번째 줄: 59번째 줄:
 
| [[추풍령 전투]] || [[추풍령]] || A는 B에서 일어났다 || A edm:happenedAt B
 
| [[추풍령 전투]] || [[추풍령]] || A는 B에서 일어났다 || A edm:happenedAt B
 
|-
 
|-
| [[정기룡]] || [[추풍령 전투]] || A는 B를 주도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정기룡]] || [[추풍령 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정기룡]] || [[1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정기룡]] || [[1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조경]] ||  [[추풍령 전투]] || A는 B를 주도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조경]] ||  [[추풍령 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조경]] || [[행주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조경]] || [[행주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권율]] || [[행주대첩]] ||  A는 B를 주도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서울부산간고속도로준공기념탑]] || [[추풍령]] || A는 B에 위치한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서울부산간고속도로준공기념탑]]  || [[경부고속도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102번째 줄: 104번째 줄:
 
=='''시각자료'''==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현실===
<font color="red">'''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font>
 
  
 
===갤러리===
 
===갤러리===
116번째 줄: 117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웹자원
+
#단행본
#*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3200484 추풍령 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민족정신선양회, 『민족기록화집 제1편 민족기록화(전승편)』, 민족정신선양회, 1984.
 +
#웹 자원
 +
#* 김호동,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3200484 추풍령 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문헌]]

2024년 3월 14일 (목) 14:28 기준 최신판


추풍령싸움
박석호-추풍령싸움(정기룡)-1975s.jpg
작가 박석호
제작연도 1975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전쟁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정의

1592년(선조 25)에 조선 중기 무신인 정기룡 장군이 추풍령 전투에서 왜군을 격파하여 동료인 조경을 구출하는 장면[1]을 담은 박석호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민족기록화 인덱스맵 박석호-추풍령싸움(정기룡)-1975s.jpg

1592년 3월 14일 부산포(釜山浦)에 상륙한 왜군이 북진하자 조정에서는 3월 17일 조경(趙儆, 1541~ 1609)우방어사(右防禦使)로 임명하여 즉시 추풍령으로 떠나게 하였다. 때마침 진주성 훈련원봉사였던 30세 정기룡(鄭起龍, 1562~1622)이 고향인 상주에서 변보를 듣고 조경 군진으로 찾아와 종군을 자청하였다.
4월 26일 해질 무렵, 조경과 돌격장에 임명된 정기룡이 500여 군졸을 이끌고 금산(지금의 추풍령휴게소 동쪽)에 올라 군사를 분산시키고 4월 27일 새벽에 왜적 수백 명을 몰살시켰다. 날이 밝자 왜군이 우리 군사가 적음을 알고 1만 병력을 투입하여 백병전(白兵戰)이 벌어졌다. 그때 정기룡이 일당백기로 분전하면서 적병에 잡힌 조경을 구출하였다.
해당 작품은 이와 같은 장면을 담고 있는데, 백마 위에서 장도를 빼들고 있는 인물은 ①②⑤ 정기룡이고, 그의 품에 쓰러지듯 안겨있는 이가 ②⑤ 조경이다.

작품 배경

작품의 시간적 배경은 1592년 4월 27일 새벽으로, 작품에서 ①②③ 동틀 무렵의 하늘이 그려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작품의 공간적 배경은 추풍령 전투가 일어났던 금산(지금의 추풍령휴게소 동쪽)이다.

그림 읽기

정기룡조경박석호 「추풍령싸움」 1975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박석호-추풍령싸움 박석호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박석호-추풍령싸움 정기룡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박석호-추풍령싸움 조경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박석호-추풍령싸움 추풍령 전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박석호-추풍령싸움 추풍령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추풍령 전투 추풍령 A는 B에서 일어났다 A edm:happenedAt B
정기룡 추풍령 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정기룡 1차 진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조경 추풍령 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조경 행주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5년 박석호박석호-추풍령싸움을 그렸다
1592년 4월 26일-27일 정기룡조경추풍령 전투를 지휘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6.1996379 127.9990456 추풍령추풍령 전투의 발발지이다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민족정신선양회, 『민족기록화집 제1편 민족기록화(전승편)』, 민족정신선양회, 1984, 135쪽.
  2.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전시장관람6 ",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3.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전시장관람6 ",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민족정신선양회, 『민족기록화집 제1편 민족기록화(전승편)』, 민족정신선양회, 1984.
  2. 웹 자원
    • 김호동, "추풍령 전투",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