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최대섭-고려대장경"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계정보)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8번째 줄: 8번째 줄:
 
|유형= 종교
 
|유형= 종교
 
|분류= 유화
 
|분류= 유화
|소장처=미상
+
|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필드수=7
 
|필드수=7
 
}}
 
}}
20번째 줄: 20번째 줄:
 
현존하는 한역대장경(漢譯大藏經) 가운데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는 것은 바로 [[고려대장경|팔만대장경]]으로 알려진 [[고려대장경|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이다. [[초조대장경|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과 [[교장]](敎藏), [[재조대장경|재조대장경(再雕大藏經)]]을 통틀어 [[고려대장경]]이라고 부른다. 본 기록화는 고려대장경 중 어떤 것을 대상으로 하였는지 정확히 알 수 없기에 모두 소개하였다.  
 
현존하는 한역대장경(漢譯大藏經) 가운데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는 것은 바로 [[고려대장경|팔만대장경]]으로 알려진 [[고려대장경|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이다. [[초조대장경|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과 [[교장]](敎藏), [[재조대장경|재조대장경(再雕大藏經)]]을 통틀어 [[고려대장경]]이라고 부른다. 본 기록화는 고려대장경 중 어떤 것을 대상으로 하였는지 정확히 알 수 없기에 모두 소개하였다.  
 
====[[초조대장경]]====
 
====[[초조대장경]]====
현종 2년(1011)부터 선종 4년(1087)년까지 76년에 걸쳐 완성된 고려 최초의 대장경이다. [[초조대장경]] 조성은 현종 2년(1011) 거란의 침입을 계기로 시작되어 선종 4년(1087)까지 76년이라는 시간 동안 이루어졌다. 송나라에서 들어온 '[[개보칙판대장경]](開寶勅版大藏經)'을 저본으로 하였으며 '거란대장경'과 '송조대장경'을 참고해 내용을 추가했다. 이 때 인쇄된 것은 570함(函), 권수는 6000권에 가까웠다.<ref>강명관, 『조선시대 책과 지식의 역사』, 천년의상상, 2014. 59쪽.</ref><br/>
+
1011년(고려 현종 2)부터 1087년(선종 4)년까지 76년에 걸쳐 완성된 고려 최초의 대장경이다. [[초조대장경]] 조성은 1011년 거란의 침입을 계기로 시작되었다. 송나라에서 들어온 '[[개보칙판대장경]](開寶勅版大藏經)'을 저본으로 하였으며 '거란대장경'과 '송조대장경'을 참고해 내용을 추가하였다. 이 때 판각된 양이 570함(函), 권수는 6,000권에 가까웠다.<ref>강명관, 『조선시대 책과 지식의 역사』, 천년의상상, 2014. 59쪽.</ref><br/>
대장경의 조판 작업은  흥국사, 귀법사 등 여러 사원에서 이루어졌으며 그 경판은 흥왕사 대장전(大藏殿)에 한동안 보관되었다가 [[대구 부인사|대구 팔공산의 부인사(符仁寺)]]로 옮겨졌다. 고종 19년(1232) 몽고군의 침입으로 소실되었다.<br/>
+
대장경의 조판 작업은  흥국사, 귀법사 등 여러 사원에서 이루어졌으며 그 경판은 흥왕사 대장전(大藏殿)에 한동안 보관되었다가 [[대구 부인사|대구 팔공산의 부인사(符仁寺)]]로 옮겨졌다. 그러나 고려 고종 19년(1232) 몽고군의 침입으로 소실되었다.<br/>
이후 현재까지 전래된 것이 없다고 알려져 있었으나, 최근 성암고서박물관, 호림박물관, 호암미술관과 개인 등이 약 300여 권을 나누어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일본의 경도 난젠지(南禪寺)와 대마도에 상당량의 초조대장경이 보존되고 있는데, 전체 전래되고 있는 권수가 약 2,000 여권 이상으로 추정된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7046 초조대장경]",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이후 현재까지 전래된 것이 없다고 알려져 있었으나, 최근 성암고서박물관, 호림박물관, 호암미술관과 개인 등이 약 300여 권을 나누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일본의 경도 난젠지(南禪寺)와 대마도에 상당량의 초조대장경이 보존되고 있는데, 전체 전래되고 있는 권수는 약 2,000여 권 이상으로 추정된다.<ref>박상국,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7046 초조대장경]",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교장]](속장경)====
+
 
[[초조대장경]]을 보완하기 위해 대각국사 [[의천]]에 의해 1091년부터 1102년까지 조성된 불경이다. 대각국사 [[의천]]이 중국 유학 중 장소(章疏) 3000천여 권을 수집해 귀국한 뒤 이를 더욱 보강하여 1090년 경 엮어낸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이 그 바탕이다. 흥왕사에 교장도감(敎藏都監)을 설치한 뒤 이 목록을 근거로 1091년 경 조성을 시작하여 1102경에 이르기까지 10년이 넘는 시간 동안 계속되었다.<ref>강명관, 『조선시대 책과 지식의 역사』, 천년의상상, 2014. 59쪽.</ref> 그러나 이 속장경의 판목은 1232년(고종 19) 몽골군의 침입으로 흥왕사가 불타 소실되어, 현재는 일본의 [[동대사]](東大寺) 도서관 등에 인본(印本)이 일부 보관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조선 초에 중수·간행된 것이 순천(順天) [[순천 송광사|송광사]](松廣寺)에 전해오고 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8752&cid=42957&categoryId=42957 속장경]", 한국고중세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교장|속장경]]====
 +
[[초조대장경]]을 보완하기 위해 대각국사 [[의천]](大覺國師 義天, 1055~1101)의 주도로 1091년부터 1102년까지 조성된 불경이다. 대각국사 [[의천]]이 중국 유학 중 장소(章疏) 3,000천여 권을 수집해 귀국한 뒤 이를 더욱 보강하여 1090년 경 엮어낸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이 그 바탕이다. 흥왕사에 교장도감(敎藏都監)을 설치한 뒤 이 목록을 근거로 1091년 경 조성을 시작하여 1102경에 이르기까지 10년이 넘는 시간 동안 계속되었다.<ref>강명관, 『조선시대 책과 지식의 역사』, 천년의상상, 2014. 59쪽.</ref> 그러나 이 속장경의 판목은 1232년(고종 19) 몽골군의 침입으로 흥왕사가 불타는 바람에 소실되었다. 현재는 일본의 [[일본 동대사|동대사]](東大寺) 도서관 등에 인본(印本)이 일부 보관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조선 초에 중수·간행된 것이 순천(順天) [[순천 송광사|송광사]](松廣寺)에 전해오고 있다.<ref>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8752&cid=42957&categoryId=42957 속장경]", 한국고중세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재조대장경]]====
 
====[[재조대장경]]====
1236년부터 1251년까지 [[대장도감]](大藏都監)에서 조성된 대장경판이다. 1232년 몽고군에 의해 불타버린 대장경을 복원하려는 의도에서 1236년부터 조성하기 시작해 16년이란 세월에 걸쳐 1251년 완성한 것이다. 문화재 지정명칭은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陜川 海印寺 大藏經板)이며, 판수(板數)가 8만여 판에 달하고 8만 4천 번뇌(煩惱)에 대치하는 8만 4천 법문(法門)을 수록하였기 때문에 흔히 '팔만대장경'이라 부른다. 또한 [[초조대장경]]을 다시 새겼다는 의미에서 재조대장경이라 부르기도 한다.<br/>  
+
1236년부터 1251년까지 [[대장도감]](大藏都監)에서 조성된 대장경판(大藏經板)이다. 1232년 몽고군에 의해 불타버린 대장경을 복원하려는 의도에서 1236년부터 조성하기 시작해 16년이란 세월에 걸쳐 1251년 완성한 것이다. 문화재 지정명칭은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陜川 海印寺 大藏經板)이며, 판수(板數)가 8만여 판에 달하고 8만 4천 번뇌(煩惱)에 대치하는 8만 4천 법문(法門)을 수록하였기 때문에 흔히 '팔만대장경'이라 부른다. 또한 [[초조대장경]]을 다시 새겼다는 의미에서 ‘재조대장경’이라 부르기도 한다.<br/>  
[[최우]] 등 당시 집권층은 [[대장도감]]을 설치하여 대장경 조성 계획을 수립, 총괄하도록 하였고 따로 [[분사대장도감]]을 두어 산지에서의 나무 조달, 실제 판각 등을 맡도록 하였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2711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최우]] 등 당시 집권층은 [[대장도감]](大藏都監)을 설치하여 대장경 조성 계획을 수립, 총괄하도록 하였고 따로 [[분사대장도감]]을 두어 산지에서의 나무 조달, 실제 판각 등을 맡도록 하였다.<ref>박상국,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2711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작품 배경===
 
===작품 배경===
작품 속에서 대장경 주조가 이루어지고 있는 곳이 정확히 어떤 장소를 가리키는지는 알 수 없으나, '''② 불상'''이나 '''③ 불화'''가 묘사되어 있는 점, ''' ① 경판이 꽂혀 있는 모습'''이 현재 [[합천 해인사]]에 소장되어 있는 [[재조대장경|대장경판]]의 모습과 유사하다는 점 등으로 미루어 볼 때 사찰을 염두에 두고 그려진 것으로 보인다.   
+
작품 속에서 대장경 주조가 이루어지고 있는 곳이 정확히 어떤 장소를 가리키는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② 불상'''이나 '''③ 불화'''가 묘사되어 있는 점, ''' ① 경판이 꽂혀 있는 모습'''이 현재 [[합천 해인사]]에 소장되어 있는 [[재조대장경|대장경판]]의 모습과 유사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사찰을 염두에 두고 그려진 것으로 보인다.   
  
 
=='''시각적 안내'''==
 
=='''시각적 안내'''==
51번째 줄: 53번째 줄: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23/C023.htm "고려대장경"(최대섭)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23/C023.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계정보===
 
===관계정보===
110번째 줄: 118번째 줄:
 
===가상현실===
 
===가상현실===
 
<html>
 
<html>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tutor/Gallery/aks/aksTour.htm" frameborder="0" scrolling="no"></iframe>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3/S001/S001.htm" frameborder="0" scrolling="no"></iframe>
</html>
+
</html><br/>
 +
{{clickable button | [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3/S001/S001.htm 가상 미술관 - 전체 화면 보기] }}
  
 
+
===갤러리===
===사진===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최대섭 고려대장경 스케치01.jpg|[[국가기록원]] 소장 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860&dsid=000000000002&gubun=search 민족기록화1]",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최대섭 고려대장경 스케치01.jpg|[[국가기록원]] 소장 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860&dsid=000000000002&gubun=search 민족기록화1]",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128번째 줄: 136번째 줄: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1981년, 89-94쪽.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1981년, 89-94쪽.
 
#*강명관, 『조선시대 책과 지식의 역사』, 천년의상상, 2014.
 
#*강명관, 『조선시대 책과 지식의 역사』, 천년의상상, 2014.
 +
#웹 자원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03965 초조대장경]",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박상국,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7046 초조대장경]",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8752&cid=42957&categoryId=42957 속장경]", 한국고중세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5560 교장]",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5년 2월 9일.
 +
#*진현종, 『한 권으로 읽는 팔만대장경』, 도서출판 들녘,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27828&cid=42952&categoryId=42952 고려팔만대장경의 성립]", 한 권으로 읽는 팔만대장경,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박상국,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2711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웹자원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 [[분류:문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57461&cid=40942&categoryId=33382 초조대장경]",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7046 초조대장경]",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8752&cid=42957&categoryId=42957 속장경]", 한국고중세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5560 교장]",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27828&cid=42952&categoryId=42952 고려팔만대장경의 성립]", 한 권으로 읽는 팔만대장경,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2711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
 

2024년 3월 14일 (목) 14:25 기준 최신판


고려대장경
최대섭-고려대장경판각-1977s.jpg
작가 최대섭
제작연도 1977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종교
분류 유화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대장경을 주조하는 모습을 그린 최대섭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민족기록화 인덱스맵 최대섭-고려대장경판각-1977s.jpg

현존하는 한역대장경(漢譯大藏經) 가운데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는 것은 바로 팔만대장경으로 알려진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이다.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교장(敎藏), 재조대장경(再雕大藏經)을 통틀어 고려대장경이라고 부른다. 본 기록화는 고려대장경 중 어떤 것을 대상으로 하였는지 정확히 알 수 없기에 모두 소개하였다.

초조대장경

1011년(고려 현종 2)부터 1087년(선종 4)년까지 76년에 걸쳐 완성된 고려 최초의 대장경이다. 초조대장경 조성은 1011년 거란의 침입을 계기로 시작되었다. 송나라에서 들어온 '개보칙판대장경(開寶勅版大藏經)'을 저본으로 하였으며 '거란대장경'과 '송조대장경'을 참고해 내용을 추가하였다. 이 때 판각된 양이 570함(函), 권수는 6,000권에 가까웠다.[1]
대장경의 조판 작업은 흥국사, 귀법사 등 여러 사원에서 이루어졌으며 그 경판은 흥왕사 대장전(大藏殿)에 한동안 보관되었다가 대구 팔공산의 부인사(符仁寺)로 옮겨졌다. 그러나 고려 고종 19년(1232) 몽고군의 침입으로 소실되었다.
이후 현재까지 전래된 것이 없다고 알려져 있었으나, 최근 성암고서박물관, 호림박물관, 호암미술관과 개인 등이 약 300여 권을 나누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일본의 경도 난젠지(南禪寺)와 대마도에 상당량의 초조대장경이 보존되고 있는데, 전체 전래되고 있는 권수는 약 2,000여 권 이상으로 추정된다.[2]

속장경

초조대장경을 보완하기 위해 대각국사 의천(大覺國師 義天, 1055~1101)의 주도로 1091년부터 1102년까지 조성된 불경이다. 대각국사 의천이 중국 유학 중 장소(章疏) 3,000천여 권을 수집해 귀국한 뒤 이를 더욱 보강하여 1090년 경 엮어낸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이 그 바탕이다. 흥왕사에 교장도감(敎藏都監)을 설치한 뒤 이 목록을 근거로 1091년 경 조성을 시작하여 1102경에 이르기까지 10년이 넘는 시간 동안 계속되었다.[3] 그러나 이 속장경의 판목은 1232년(고종 19) 몽골군의 침입으로 흥왕사가 불타는 바람에 소실되었다. 현재는 일본의 동대사(東大寺) 도서관 등에 인본(印本)이 일부 보관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조선 초에 중수·간행된 것이 순천(順天) 송광사(松廣寺)에 전해오고 있다.[4]

재조대장경

1236년부터 1251년까지 대장도감(大藏都監)에서 조성된 대장경판(大藏經板)이다. 1232년 몽고군에 의해 불타버린 대장경을 복원하려는 의도에서 1236년부터 조성하기 시작해 16년이란 세월에 걸쳐 1251년 완성한 것이다. 문화재 지정명칭은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陜川 海印寺 大藏經板)이며, 판수(板數)가 8만여 판에 달하고 8만 4천 번뇌(煩惱)에 대치하는 8만 4천 법문(法門)을 수록하였기 때문에 흔히 '팔만대장경'이라 부른다. 또한 초조대장경을 다시 새겼다는 의미에서 ‘재조대장경’이라 부르기도 한다.
최우 등 당시 집권층은 대장도감(大藏都監)을 설치하여 대장경 조성 계획을 수립, 총괄하도록 하였고 따로 분사대장도감을 두어 산지에서의 나무 조달, 실제 판각 등을 맡도록 하였다.[5]

작품 배경

작품 속에서 대장경 주조가 이루어지고 있는 곳이 정확히 어떤 장소를 가리키는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② 불상이나 ③ 불화가 묘사되어 있는 점, ① 경판이 꽂혀 있는 모습이 현재 합천 해인사에 소장되어 있는 대장경판의 모습과 유사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사찰을 염두에 두고 그려진 것으로 보인다.

시각적 안내

최대섭 「고려대장경」 1977
이 그림에 대한 정보

관련 민족기록화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최대섭-고려대장경 최대섭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최대섭-고려대장경 정부기록 보존소 A는 B에 대여되었다 A ekc:hasExhibitionAt B
최대섭-고려대장경 한국학중앙연구원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최대섭-고려대장경 고려대장경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고려대장경 재조대장경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고려대장경 초조대장경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고려대장경 교장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초조대장경 개보칙판대장경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의천 신편제종교장총록 A는 B를 간행하였다 A dcterms:publisher B
의천 교장 A는 B를 간행하였다 A dcterms:publisher B
교장 신편제종교장총록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교장 순천 송광사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교장 일본 동대사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재조대장경 합천 해인사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재조대장경 대장도감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7년 최대섭최대섭-고려대장경을 그렸다.
1991년 6월 9일-1992년 6월 8일 정부기록 보존소최대섭-고려대장경을 대여하였다.
1998년 12월 30일-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최대섭-고려대장경을 소장하고 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419518 127.099355 정부기록 보존소최대섭-고려대장경을 대여하였다.
37.3915557 127.0547403 한국학중앙연구원최대섭-고려대장경을 소장하고 있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미술관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주석

  1. 강명관, 『조선시대 책과 지식의 역사』, 천년의상상, 2014. 59쪽.
  2. 박상국, "초조대장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강명관, 『조선시대 책과 지식의 역사』, 천년의상상, 2014. 59쪽.
  4.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속장경", 한국고중세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5. 박상국,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민족기록화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7. "민족기록화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1981년, 89-94쪽.
    • 강명관, 『조선시대 책과 지식의 역사』, 천년의상상, 2014.
  2. 웹 자원
    • "초조대장경", 『doopedia』online, 두산백과.
    • 박상국, "초조대장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속장경", 한국고중세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교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5년 2월 9일.
    • 진현종, 『한 권으로 읽는 팔만대장경』, 도서출판 들녘, 2007. 온라인 참조: "고려팔만대장경의 성립", 한 권으로 읽는 팔만대장경,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박상국,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